소건중탕은 『상한론』과 『금궤요략』에 소개되어 있는 처방으로 계지탕에 작약을 두 배로 증량하고 이당을 추가해 만들어졌다. 이 처방은 상한으로 인한 태음의 병증은 물론 과로, 스트레스, 섭생부절제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허로를 치료한다. 여기서 ‘태음 병증’은 복만하고 토하고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설사가 더욱 심하고 때때로 배가 아픈 증상을 의미한다.
계지탕과 소건중탕은 평소에 식사량이 보통이거나 적은 사람에게 알맞은 처방이다. 체질이론에 의하면 소음인, 태양인, 소화력이 약한 태음인이 이에 해당한다.
이 처방들은 ‘영약위강’을 회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외감풍한에 의한 사기의 공격에 대항하기 위해서 기혈이 체표 쪽으로 많이 쏠리게 되면 체표에 위기가 보강되고 위강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장위의 기혈이 감소되고 소화능력이 약해지고 영양상태가 줄어들고 소화기 쪽에는 영약의 상태가 된다.
*소건중탕(小建中湯) 처방구성: 계지 감초 대조 생강 各 6g, 작약 12g, 이당 12~40g
▲ 약물기능 및 진단
만일 평소에 소화력이 양호한 사람이 과로로 인하여 허로가 발생했을 때 소건증탕 관련 처방을 쓰려고 한다면, 소건중탕에 숙지황이 추가된 인삼양영탕 또는 쌍화탕등을 적용할 수 있다.
외감의 경우에는 증상에 따라서 계지탕에 석고가 들어있는 계지이월비일탕(계지 작약 마황 자감초 대조 각3g 생강 석고 各4g) 또는 생지황이 들어있는 구미강활탕 등을 쓸 수 있을 것이다. 이들도 모두 영위불화를 개선할 수 있는 처방들이다.
▷군제: 이당. 다른 약물 용량의 2~3배가 되고 이 처방의 군제가 된다. 이것은 감온한 기미를 가지고 있어 중초를 온보하고 비위의 허한을 회복시키고, 장위의 만성 염증과 궤양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한다.
▷신제: 작약. 고산한 성격으로 인하여 기혈을 수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풍한때문에 체표에 나갔던 기혈을 소화기 쪽으로 들어오게 만들고 이것은 소화기능과 함께 영양 상태를 개선한다. 따라서 이 두 약물의 협조와 조화에 의해서 계지탕과 소건중탕이 영약위강를 회복할 수 있다.
음혈을 자양하고 산미로써 기혈을 수렴하므로 조화영위에 관여하고 땀을 그치게 하며 장위의 긴장한 근육을 이완시키고 복통을 개선한다. 그래서 장위의 기능을 회복하고, 수족의 근육과 관절의 통증을 완화한다.
▷신제: 계지. 신온한 기미로써 양을 도와서 경락과 혈맥을 따뜻하게 하고 기혈의 순행을 활성화시키며 아울러 정신을 고양시킨다. 이는 작약과 함께 작용함으로써 영위를 조화시키고 상한과 허로를 치료한다. 신온한 속성에 의해서 신체의 양의 기능을 촉진하는 약물이기 때문에 기혈이 체표 쪽에 좀 더 많이 공급되고 순환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풍한의 사기가 땀과 소변을 통해서 모두 용이하게 배출되게 한다.
▷좌제: 감초. 감미로써 익기하고 좌제로 활동하고 다른 약물들의 서로 다른 기능을 중재하고 사제의 역할도 한다.
▷좌제: 생강과 대조. 건비하고 화위한다. 이들은 영위를 조화함으로써 계지와 작약을 돕고 좌약의 기능을 담당한다.
▷진단: 복진했을 때 작약의 치증인 복직근연급이 확인되고 계지의 치증인 두통, 가슴에서 상승하는 역기, 하지 한랭감, 소변실조가 나타난다. 그리고 기혈부족으로 인한 심계, 한출, 피로감등이 보인다. 맥박은 약하고 부하거나 현하고 가늘고, 설태는 보통 얇고 희다.
▲ 원전내용 및 해석
“傷寒 陽脈澁 陰脈絃 法當腹中急痛者 先與小建中湯 不差者 小柴胡湯主之” -『傷寒論』.
-상한병에 걸렸을 때, 양맥이 삽하고 음맥이 현하면 법에 따라서 복통이 있다. 먼저 소건중탕을 주고, 차도가 없으면 소시호탕으로 다스린다.
“傷寒二三日 心中悸煩者 小建中湯主之”- -『傷寒論』.
-상한병에 감염된 지 2~3일에 심장이 두근거리고 번조가 있으면 (小建中湯)으로 다스린다.
“虛勞 裏急 悸 衂 腹中痛 夢失精 四肢痠疼 手足煩熱 咽乾口燥 小建中湯主之” -『金匱要略』.
-허로의 병으로 인하여 복중의 당기는 통증, 계, 뉵 복통 유정, 사지산동, 수족번열, 목 안과 입 안이 건조하면 소건중탕으로 다스린다.
“婦人腹中諸病痛者 當歸芍藥散主之 小建中湯亦主之”- 『金匱要略』.
-부인이 복중의 여러 병으로 인하여 통증이 있으면 당귀작약산으로 다스리고 소건중탕으로도 다스린다.
▲ 적용 및 감별
▷적용: ①소화력이 약한 사람의 빈번한 변비 ②소아들의 복통, 식욕부진, 두통, 과민 증상, 변비 ③위장이 약하고 무기력한 사람의 신경증상 ④과로, 운동 후의 피로와 근육통 ④허약한 사람의 위산과다, 위산결핍, 만성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 등 ⑤소화력이 약하고 복직근연급이 뚜렷하고 맥박이 약한 사람에게 나타나는 여러 증상(무릎 통증, 요통, 조루, 발기부전, 유정 등)에 사용
▷감별: ①보중익기탕-소건중탕을 쓸 수 있는 허로의 증상으로서 소화력이 약하고 무기력하지만 복직근연급이 없으면 보중익기탕을 쓸 수 있다.
②당귀건중탕/황기건중탕-소건중탕 증상에 혈증이 있고 마비, 또는 저리는 증상이 있으면 당귀건중탕(소건중탕+당귀)을 쓰고, 자한, 도한의 증상이 있으면 황기건중탕(소건중탕+황기)을 쓴다. 때로는 증상에 따라서 당귀와 황기를 모두 추가한 귀기건중탕을 쓴다.
③인삼양영탕–허로 증상이 있지만 소화력이 심하게 약하지 않고, 또 숙지황의 치증인 제하함몰이 다소간 나타나면, 소건중탕과 사물탕을 합하고 가감해서 만들어진 인삼양영탕을 쓴다.
강주봉 원장(한국 샬롬한의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