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 소개
  • 광고 문의
  • 신문 구독 신청
  • 주소 변경
  • 회원 가입
  • Login
미국 최초 한영 한의전문지, 한의타임즈
Advertisement
  • 홈
  • 뉴스
    • All
    • 미국 한의사 면허
    • 법률, 규정
    • 병원 안전
    • 보수교육/세미나
    • 빌링/ 한의원 경영
    • 양방
    • 임상
    • 종합
    • 학술/ 논문
    • 한의사 윤리
    • 한의타임즈 보수교육
    전통 한약 ‘가감팔물탕’, 면역력 회복 효과 입증!

    전통 한약 ‘가감팔물탕’, 면역력 회복 효과 입증!

    양방 의사와 함께 불임∙난임 협진하면 치료 확률 2배 UP!

    비만과 수면, 그 치명적인 연결고리

    비만과 수면, 그 치명적인 연결고리

    여름철 불청객 ‘냉방병’, 한국엔 있고 미국엔 없다?

    여름철 불청객 ‘냉방병’, 한국엔 있고 미국엔 없다?

    병원 안전(12) 정침법 ② 기본 원칙-자침 및 발침 시 주의사항

    병원 안전(12) 정침법 ② 기본 원칙-자침 및 발침 시 주의사항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52) 현훈, 인구의 3분의 1 일생 중 한 번 이상 경험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52) 현훈, 인구의 3분의 1 일생 중 한 번 이상 경험

    • 미국 한의사 면허
    • 법률, 규정
    • 빌링/ 한의원 경영
    • 한의사 윤리
    • 병원 안전
    • 보수교육/세미나
    • 임상
    • 학술/ 논문
    • 종합
      • 피플/신간소개
      • 한의대
      • 행사/ 행사 후기
    • 양방
  • 임상 칼럼
    • All
    • CBD오일 사용법
    • 강주봉원장
    • 김용훈원장
    • 오세준원장
    • 조병식 원장
    • 조현창원장
    • 홍대선원장
    오세준 원장의 침 치료 원리 ⑦ 삼초론

    오세준 원장의 침 치료 원리 ⑦ 삼초론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22) 습(濕), 조(燥), 화(火)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22) 습(濕), 조(燥), 화(火)

    조병식 원장의 최신 동씨침 (28) 기침 치료의 기본은 ‘건비조습과 청폐화담’

    조병식 원장의 최신 동씨침 (28) 기침 치료의 기본은 ‘건비조습과 청폐화담’

    홍대선 원장의 CBD오일 제대로 사용하기 ④ (終)

    홍대선 원장의 CBD오일 제대로 사용하기 ④ (終)

    조현창 원장의 TEM (58) 부자사심탕∙황련탕, 가장 중요한 감별 핵심은 ‘변비의 정도’

    조현창 원장의 TEM (58) 부자사심탕∙황련탕, 가장 중요한 감별 핵심은 ‘변비의 정도’

    어깨 부위의 구조적 특성 및 이학적 검사

    • 오세준원장
    • 강주봉원장
    • 김용훈원장
    • 조현창원장
    • 조병식 원장
    • 지난 칼럼
      • 통치방
      • 이한옥 교수
      • CBD오일 사용법
      • 홍대선원장
      • 안덕균교수
      • 기타
  • 온라인 보수교육
  • 한의 커뮤니티
    • 보험빌링 정보공유
    • 한의사 구인 구직
    • 한의원 렌트/ 매매
    • 한의 관련 서식
    • 한의 자료실
    • 한의 중고물품
    • 세일 프로모션
  •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6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6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5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5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4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4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3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3월호 전자신문

  • 회원 가입
  • English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뉴스
    • All
    • 미국 한의사 면허
    • 법률, 규정
    • 병원 안전
    • 보수교육/세미나
    • 빌링/ 한의원 경영
    • 양방
    • 임상
    • 종합
    • 학술/ 논문
    • 한의사 윤리
    • 한의타임즈 보수교육
    전통 한약 ‘가감팔물탕’, 면역력 회복 효과 입증!

    전통 한약 ‘가감팔물탕’, 면역력 회복 효과 입증!

    양방 의사와 함께 불임∙난임 협진하면 치료 확률 2배 UP!

    비만과 수면, 그 치명적인 연결고리

    비만과 수면, 그 치명적인 연결고리

    여름철 불청객 ‘냉방병’, 한국엔 있고 미국엔 없다?

    여름철 불청객 ‘냉방병’, 한국엔 있고 미국엔 없다?

    병원 안전(12) 정침법 ② 기본 원칙-자침 및 발침 시 주의사항

    병원 안전(12) 정침법 ② 기본 원칙-자침 및 발침 시 주의사항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52) 현훈, 인구의 3분의 1 일생 중 한 번 이상 경험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52) 현훈, 인구의 3분의 1 일생 중 한 번 이상 경험

    • 미국 한의사 면허
    • 법률, 규정
    • 빌링/ 한의원 경영
    • 한의사 윤리
    • 병원 안전
    • 보수교육/세미나
    • 임상
    • 학술/ 논문
    • 종합
      • 피플/신간소개
      • 한의대
      • 행사/ 행사 후기
    • 양방
  • 임상 칼럼
    • All
    • CBD오일 사용법
    • 강주봉원장
    • 김용훈원장
    • 오세준원장
    • 조병식 원장
    • 조현창원장
    • 홍대선원장
    오세준 원장의 침 치료 원리 ⑦ 삼초론

    오세준 원장의 침 치료 원리 ⑦ 삼초론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22) 습(濕), 조(燥), 화(火)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22) 습(濕), 조(燥), 화(火)

    조병식 원장의 최신 동씨침 (28) 기침 치료의 기본은 ‘건비조습과 청폐화담’

    조병식 원장의 최신 동씨침 (28) 기침 치료의 기본은 ‘건비조습과 청폐화담’

    홍대선 원장의 CBD오일 제대로 사용하기 ④ (終)

    홍대선 원장의 CBD오일 제대로 사용하기 ④ (終)

    조현창 원장의 TEM (58) 부자사심탕∙황련탕, 가장 중요한 감별 핵심은 ‘변비의 정도’

    조현창 원장의 TEM (58) 부자사심탕∙황련탕, 가장 중요한 감별 핵심은 ‘변비의 정도’

    어깨 부위의 구조적 특성 및 이학적 검사

    • 오세준원장
    • 강주봉원장
    • 김용훈원장
    • 조현창원장
    • 조병식 원장
    • 지난 칼럼
      • 통치방
      • 이한옥 교수
      • CBD오일 사용법
      • 홍대선원장
      • 안덕균교수
      • 기타
  • 온라인 보수교육
  • 한의 커뮤니티
    • 보험빌링 정보공유
    • 한의사 구인 구직
    • 한의원 렌트/ 매매
    • 한의 관련 서식
    • 한의 자료실
    • 한의 중고물품
    • 세일 프로모션
  •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6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6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5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5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4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4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3월호 전자신문

    한의타임즈 2025년 3월호 전자신문

  • 회원 가입
  • English
No Result
View All Result
미국 최초 한영 한의전문지, 한의타임즈
No Result
View All Result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17) 잡병제강 ② 외감, 내상병은 문증법으로 원인 진단해 각 증상별 방제 선별

hanitimes by hanitimes
6월 13, 2025
in 김용훈원장, 임상 칼럼
0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17) 잡병제강 ② 외감, 내상병은 문증법으로 원인 진단해 각 증상별 방제 선별

△『방약합편』의 ‘잡병제강’편에는 외감 및 내상 병증의 진단법과 이에 해당하는 방제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사진ⓒshutterstock_ KUNG MIN JU

592
SHARES
3.3k
VIEWS
FacebookTwitterLinkdin

남자는 방노 여부, 여자는 월경과 잉태 여부를 각각 확인해야

지난호에서부터 『방약합편』의 잡병제강(雜病提綱)편을 시작했다. 잡병제강은 여러 질환의 원인, 진단 및 각 증상별 치료방제 및 가감약물이 자세하게 상황별로 정리돼 있어 갈무리해두면 임상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지난 7월호에서 다룬 풍(風) 이후의 부분부터 소개하겠다. 환자 문증법 복습을 시작으로 칼럼을 시작하려 한다.

 

▲ 문증법

-내상(內傷)과 외감(外感)을 가려야 한다. 내상은 손바닥이 덥고 입맛을 모르며, 외감은 손등이 덥고 입맛에 변화가 없다.

-오풍하고 얼굴이 번들거리며 땀이 나면 외감상풍(外感傷風)이다.

-오한무한(惡寒 無汗)하면 상한(傷寒)이다.

-불쾌한 열기, 번갈(煩渴)이면 상서(傷暑)다.

-오습(惡濕), 부종(浮腫)증은 상습(傷濕)이다.

-오식(惡食), 심위부(心胃部)가 몹시 아프면 음식상비(飮食傷脾)이다.

-모든 혈증(血症)은 낮에는 경하고 밤에 중하다.

-모든 담증(痰症)은 식사량이 줄어든다.

-모든 수증(水症)은 옆구리가 뻣뻣하고 명치 밑이 몹시 울렁거린다.

-진맥(診脈) 진단(診斷) : 내상(內傷)과 외감(外感)의 유무를 먼저 판단한 뒤 겸증(謙症)의 여부를

판별한 다음 본경차체의 병인지를 알아내야 한다. 이외 현재 복용중인 약과 직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맥으로 입증한다.

 

▲한(寒)

  1. 중한(中寒)하면 땀이 없고, 사지가 부자유스러워 쓰러지는데 총병(蔥餠; 파를 찧어 만든 떡)으로 배꼽을 따뜻 하게한 이후 기해혈에 뜸을 뜬다.
  2. 삼음(三陰)을 빨리 가려보고 하초(下焦)를 덥게 한다. 경락(經絡)을 가리기 어려우면 강부탕(薑附湯)을 달여 먹여 중초를 조리(調理)하여 구급(救急)한 다음 삼음(三陰)을 살핀다.

중완(中脘)이 아프면 태음(太陰)이니 이중탕(理中湯)을 사용하고, 발이 차면 소음(少陰)이니 사역탕(四逆湯)에 오수유(吳茱萸)를 가(加)해 쓰고, 제복부(臍腹部)가 아프면 오적산(五積散)에 오수유(吳茱萸)를 가(加)해 쓴다.

소복부(小腹部)가 아프면 궐음(厥陰)이니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에 오수유(吳茱萸), 오미자(五味子)를 가(加)해 쓴다.

  1. 한기(寒氣)로 인한 감기는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으로 해표(海表)시키고,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으로 화해(和解)시킨다
  2. 한(寒)으로 인한 내상(內傷)은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건강(乾薑), 부자(附子)를 가(加)해 쓴다.

 

▲서(暑)

  1. 서병(暑病)은 발열(發熱), 발한(發汗), 구갈(口渴) 증(症)과 허실(虛實)을 살핀다.
  2. 서병(暑病)은 음양(陰陽) 경락분별(經絡分別)이 매우 어렵다.
  3. 중서(中署), 상서(傷暑), 모서(冒暑; 서사暑邪가 위장에 침입하여 생긴다.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르며 배가 아프면서 물 같은 설사를 하고 메스꺼워하면서 토한다), 복서(伏暑; 여름철에 받은 서습사暑濕邪가 몸 안의 일정한 부위에 잠복해 있다가 가을이나 겨울에 가서 생기는 온병溫病)는 경중(輕重)을 가려서 다스린다.
  4. 서병증(暑病症)은 통증(痛症)이 없다.
  5. 서풍(暑風)으로 사지(四肢)가 나른하고 힘이 없으면 향유산(香薷散)에 강활(羌活)을 가(加)해 쓰거나 육화탕(六和湯)과 소풍산(消風散)을 합방(合方)하여 쓰며, 담열생풍(痰熱生風)하면 육화탕(六和湯)에 소풍산(消風散)을 합방(合方)해 쓴다
  6. 사지(四肢)가 역냉(逆冷)하면 서궐증(暑厥症)이다.
  7. 담화(痰火)로 담천(痰喘)이 생겨 약을 먹을 수 없으면 육화탕(六和湯)에 사향(麝香) 2리를 넣어 조복(調服)한다. 교장(絞腸; 손발이 싸늘해지고 극심한 복통이 나타남)이 되면 급히 염탕(鹽湯)을 먹여 토출(吐出)시켜야 한다.
  8. 서독(暑毒)을 제거하고 비위(脾胃)를 화해(和解)시키면 병증(病症)은 저절로 없어진다.
  9. 한울(寒鬱)이 심하면 반드시 반치(反治)해야 한다. 한냉(寒冷)한 것은 탐하면 여곽탕(茹藿湯) 가 축사(縮砂), 신곡(神曲), 건강(乾薑)하고, 냉물(冷物) 음식을 먹어 내상(內傷)하면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을 쓰며, 복통(腹痛), 구(嘔) 토(吐), 설사(泄瀉)하면 이중탕(理中湯)에 맥아(麥芽), 사인(砂仁)을 가(加)해 쓴다.
  10. 내상(內傷)에 자양제(滋養劑)로 보(補)하면 야위지 않으니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을 쓴다.
  11. 삼복(三伏)에 염증(炎症)은 위험(危險)하니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승마(升麻), 시호(柴胡)를 빼고 작약(芍藥), 맥문동(麥門冬), 오미자(五味子), 황백(黃柏)을 가(加)해 쓴다.

 

▲ 습(濕)

  1. 습(濕)에 의한 병이라 판단되면 내상(內傷)인지, 외감(外感)인지를 가리고, 상(上), 중(中), 하초(下焦)에 병(病)의 소재를 분간한다.
  2. 습기(濕氣)가 처음 들어 왔을 때는 몸이 무겁고, 고단하다.
  3. 상초(上焦)에 습이 있으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데 복령탕(茯笭湯)을 쓴다.
  4. 머리가 묵직하면 창출고(蒼朮膏)를 쓴다.
  5. 비위(脾胃)에 습기(濕氣)가 있어 부종(浮腫), 창만(脹滿)하면 퇴황산(退黃散)을 쓴다.
  6. 설사(泄瀉)하면 출부탕(朮附湯), 삼습탕(滲濕湯)을 쓴다.

7.하초(下焦 – 신(腎), 다리, 허리)에 습기(濕氣)가 들어 소변(小便)이 농탁하면 신착탕(腎着湯)이나, 청아환을 쓴다.

  1. 외증(外症)의 치료는 땀을 약간 내어 경락을 통리(通利)시키는데 오령산(五笭散)에 창출(蒼朮)을 가(加)해 쓴다.
  2. 내증(內症)의 치료(治療)는 소변(小便)을 삼루(滲漏)시키고 대편통리(大便通利)가 묘방(妙方)이니 오령산(五笭散)을 쓰되 황달(黃疸) 이 있으면 인진(茵蔯)을 가(加)하고, 통증(痛症)이 있으면 강활(羌活)을 가(加)한다.
  3. 풍한서습(風寒暑濕) 사기(邪氣)가 겸(兼)하면 습열(濕熱)이 심해지는데, 오적산(五積散)을 쓰고, 습열(濕熱)에는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을 쓴다.
  4. 청열조습보중(淸熱燥濕補中)을 겸(兼)한 처방(處方)은 청조산(淸燥散)을 쓴다.
  5. 비위(脾胃)를 조(燥)하게 하고 습기(濕氣)를 발산(發散)하는 평위산(平胃散)에 상백피(桑白皮)를 가(加)해 사용한다. 상초습(上焦濕)에는 가(加) 창출(蒼朮), 강활(羌活), 상초열(上焦熱)에는 가(加) 황금(黃芩), 중초습(中焦濕)에는 가(加) 저령(豬苓), 택사(澤瀉), 중초(中焦) 열(熱)에는 가(加) 황연(黃蓮), 하초습(下焦濕)에는 가(加) 승마(升麻), 방풍(防風), 하초열(下焦熱)에는 가(加) 방기(防己), 황백(黃柏), 용담(龍痰)을 쓰면 된다.
  6. 실증자(實症者)는 대편(大便)을 다스린다.

 

▲조(燥)

  1. 조증은 내인과 외인이 있는데 양명 병에 속한다.
  2. 모두 금(金)이 화(火)에 싸여 서로 제재(制裁)하기 때문이다.
  3. 피부(皮膚)가 조(燥)해서 주름이 생기고 트면 사물탕(四物湯)에 천궁(川芎)을 빼고, 생맥산(生脈散)과 합방(合方)한 것에 맥문동(麥門冬), 천화분(天花粉)을 가(加)해 쓴다.
  4. 구갈(口渴)이 있으면 생진음(生津飮)을 쓴다.
  5. 변비(便秘)가 되면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을 쓴다.
  6. 풍열(風熱)이 있어도 기(氣)가 허(虛)하고 조(燥)하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쓴다.
  7. 표리(表裏)가 다 조(燥)하면 영위(榮衛)를 윤(潤)하게 하는 통용방(通用方)으로 사물탕(四物湯)에 천궁(川芎)을 빼고 천문동(天門冬), 과루인(瓜蔞仁), 승마(升麻), 홍화(紅花), 감초(甘草)를 가(加)해 쓴다.

1) 풍(風)이 있으면 진교(秦交)를 가(加)하고, 열(熱)이 있으면 황금(黃芩)을 가(加)해 쓰고,

2) 혈증(血症)이 있으면 생지황(生地黃)을 배(倍)하고, 구갈(口渴)이 나면 가(加) 천화분(天花粉), 오미자(五味子)한다.

3) 변비(便秘)가 되면 가(加) 대황(大黃), 욱이인(郁李仁), 마인(麻仁)하고, 음허(陰虛)하면 가(加) 지모(知母), 황백(黃柏)한다.

 

▲ 화(火)

  1. 화병(火病)에는 내외인(內外因)이 있고 허실(虛實)로 나눈다.
  2. 화병(火病)은 성폭(性暴)하고 무상(舞象)한데 본장(本臟)과 본부(本腑)에서 발생(發生)하는 것이 많다.
  3. 실화(實火)는 구갈(口渴)하고 변폐(便閉)하며 열이 간단없이 계속 있다.

-외감(外感)의 화(火)가 표(表)에 있으면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화(火)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으면 소시호탕(小柴胡湯).

-화(火)가 리위(裏胃)에 들어갔으면 대시호탕(大柴胡湯)을 쓴다.

  1. 허화(虛火)는 열(熱)이 있으나입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데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작약(芍藥), 황백(黃柏)을 가(加)해 쓴다.

-대병후(大病後)에 신열(身熱)이 있고 명문맥(命門脈)이 탈양(脫陽)한 표증(表證)은 용(用)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이나 벽력산(壁力散).

-혈허화동(血虛火動)하여 오후에 발열(發熱)하면 용(用) 사물탕(四物湯),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상화(相火)가 몹시 성(盛)하여 기(氣)가 제하(臍下)로부터 발동(發動)하는 경우 감리환(坎璃丸)이나 정기탕(正氣湯)을 쓴다.

-기(氣)가 용천혈(龍泉穴)에서 일어났을 경우에 몹시 피로(疲勞)하고 고달프니 사물탕(四物湯)에 백마(白馬) 경골(脛骨)을 가(加)하여 복용(服用)하고, 외용(外用)으로는 부자(附子)가루를 침으로 개어 발바닥에 바른다. 습열이 울결로 되는 것이 있다.

  1. 실화(實火)는 사(瀉)하고 허화(虛火)는 보(補)하며 중증(重症)은 승양(升陽)시키고, 경증(輕症)은 강화(强化)시킨다.

음식상(飮食傷)으로 울화(鬱火)되는 것은 내상(內傷)으로 인(因)하여 냉(冷)이 생겨 비토(脾土)에서 양기(陽氣)를 막기 때문인데, 사지(四肢)에 열(熱)이 타는 불같이 뜨겁다. 이때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이나 화울탕(火鬱湯)을 쓴다.

  1. 군화(君火), 상화(相火), 민화(悶火) 모두 진정(鎭定)시키고 화해(和解)시켜야 한다.

김용훈 원장(남산당 한의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Tags: #남자방ㄴ노#방약합편#여자월경잉태#잡병제강#한의타임즈
Previous Post

병원 안전 (8) 괄사

Next Post

여름철 무더위 속 ‘건강을 지키는 노하우’

Related Posts

오세준 원장의 침 치료 원리 ⑦ 삼초론
오세준원장

오세준 원장의 침 치료 원리 ⑦ 삼초론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22) 습(濕), 조(燥), 화(火)
김용훈원장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 (22) 습(濕), 조(燥), 화(火)

조병식 원장의 최신 동씨침 (28) 기침 치료의 기본은 ‘건비조습과 청폐화담’
임상 칼럼

조병식 원장의 최신 동씨침 (28) 기침 치료의 기본은 ‘건비조습과 청폐화담’

홍대선 원장의 CBD오일 제대로 사용하기 ④ (終)
CBD오일 사용법

홍대선 원장의 CBD오일 제대로 사용하기 ④ (終)

조현창 원장의 TEM (58) 부자사심탕∙황련탕, 가장 중요한 감별 핵심은 ‘변비의 정도’
임상 칼럼

조현창 원장의 TEM (58) 부자사심탕∙황련탕, 가장 중요한 감별 핵심은 ‘변비의 정도’

임상 칼럼

어깨 부위의 구조적 특성 및 이학적 검사

Next Post
여름철 무더위 속 ‘건강을 지키는 노하우’

여름철 무더위 속 '건강을 지키는 노하우'

보수교육-원리 동씨침(CEU6)

https://www.youtube.com/watch?v=eVT_snOrcHU&t=46s

보수교육-한방미용부항(CEU6)

https://www.youtube.com/watch?v=kaseWhg6eEI&t=36s

한의 커뮤니티

제목 작성일
(애너하임) 한의사 초빙
2025.07.08
(부에나팍) 파트타임 한의사
2025.07.08
(LA한인타운) 한의사 모심
2025.07.08
(부에나팍) 한의사 및 리셉션 모심
2025.07.03
(LA 알라메다 스왑밋) 한의사 모심
2025.06.27
전기침 KWD-808 Multi Purpose Health Device
2025.06.18
(롱비치 인근지역) 한의원 물품 무료나눔
2025.06.17
(Van Nuys) 양로 보건센터 한의사 모심
2025.06.16
(플러튼) 한의사 모심
2025.06.06
(가든그로브) 파트타임 한의사
2025.06.04
(폰타나) 파트타임 한의사
2025.05.16
(LA한인타운) 파트타임 한의사
2025.05.16

문의 및 연락처

* 전화: T. 323-804-5703

* e-메일: thehanitimes@gmail.com

* 주소: 18021 Norwalk Blvd #211

                      Artesia, CA 90701

사무실 운영시간

* 월~금: 오전 9시~오후 6시

* 토: 오전 9시~오후 1시

(사무실 방문전엔 반드시

  전화로 예약 부탁드립니다.)

보수교육-원리 동씨침(CEU6)

https://www.youtube.com/watch?v=eVT_snOrcHU&t=29s

보수교육-음양오행침(CEU6)

https://www.youtube.com/watch?v=UJRHnMAMcgs&t=39s

최근 기사

전통 한약 ‘가감팔물탕’, 면역력 회복 효과 입증!

전통 한약 ‘가감팔물탕’, 면역력 회복 효과 입증!

양방 의사와 함께 불임∙난임 협진하면 치료 확률 2배 UP!

비만과 수면, 그 치명적인 연결고리

비만과 수면, 그 치명적인 연결고리

Theme By Hani Times (https://hanitimes.com/) Copyright © 2022 - All Right Reserved

Welcome Back!

Login to your account below

Forgotten Password?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

Log In
No Result
View All Result
  • 로그인
  • 연회원 등록
  • 홈
  • 뉴스
    • 미국 한의사 면허
    • 법률, 규정
    • 병원 안전
    • 보수교육/세미나
    • 빌링/ 한의원 경영
    • 양방
    • 임상
    • 종합
      • 피플/신간소개
      • 한의대
      • 행사/ 행사 후기
    • 학술/ 논문
    • 한의사 윤리
  • 온라인 보수교육
  • 임상 칼럼
    • 강주봉원장
    • 김용훈원장
    • 안덕균교수
    • 오세준원장
    • 조현창원장
    • 홍대선원장
    • 지난 칼럼
      • 통치방
      • 이한옥 교수
      • CBD오일 사용법
      • 기타
  • 전자신문
  • 한의 커뮤니티
    • 한의사 구인 구직
    • 한의원 렌트/ 매매
    • 한의 자료실
    • 한의 중고물품
    • 한의 관련 서식
    • 세일 프로모션
  • English

Theme By Hani Times (https://hanitimes.com/) Copyright © 2022 -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