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은 카메라 구조와 비슷하다. 눈의 홍채는 조리개, 수정체는 렌즈, 망막은 필름에 해당한다.노안이란 나이가 들면서 근거리를 당겨보는 줌-인(zoom in)을 담당하는 모양체 근육의 조절력이 떨어져서, 핸드폰이나 신문 등 근거리를 볼 때 불편을 일으키는 증상이다. 젊고 건강한 눈은 모양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빠르게 잘 되므로 거리에 따라 수정체 두께 조절이 용이하다.
하지만 노안 발생 후에는 모양체 근육의 수축력이 약해지고 수정체도 크고 단단해져서, 수정체의 두께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가까운 거리를 이전처럼 잘 보지 못하게 된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등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이 늘면서, 실제로 40대 노안 환자가 흔해졌고 빠르면 30대 후반에 노안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먼 곳과 가까운 곳을 연달아 볼 때 초점이 빨리 맞지 않거나, 독서와 스마트폰 확인 같은 근거리 작업 시 쉽게 피로해지며, 조명이 어둡거나 몸이 피곤할 때 시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느낌을 받는 것이다. 근거리 작업 시 눈을 찡그리거나 돋보기를 착용하면 가까운 곳의 글자가 더 잘 보일 때에도 노안을 의심해볼 수 있다.
노안 여부를 파악하려면 노안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노안 정밀 검사는 원거리·근거리 시력 검사 및 조절 마비 굴절 검사, 조절력 검사, 우세안 검사, 세극등 및 방막검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안 검사 결과 후 원시성 노안, 정시성 노안, 근시성 노안의 정도가 얼마나 심한지 등 노안의 종류에 따라 치료방법도 달라진다. 노안 검사에서 중요한 점은 백내장 발병 여부도 반드시 같이 검사해야 한다는 점이다.
백내장 초기 증상도 노안과 비슷해서 노안 정밀검사에서 백내장이 발견되는 경우도 종종 있고, 최근에는 40대 젊은 백내장 환자도 전에 비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검진으로 노안 확인 후 가장 간단한 노안 해결 방법은 근거리용 돋보기나 다초점 안경 사용이다. 노안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돋보기, 이중-삼중 노안 다초점 렌즈, 다초점 소프트 콘택트렌즈 등을 사용한다.
노안이 심할 때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경우에는 레이저 노안교정술과 다초점 인공수정체삽입술 교정의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된다.
40대 초-중반 연령에 노안과 근시가 동시에 나타나는 근시성 노안이라면, LBV(Laser Blended Vision) 노안 교정술로 레이저(Mel-90)를 이용한 각막 시력 교정술인 노안라식, 노안라섹 등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정밀 검진 및 라이프스타일 점검을 통해 노안 라식과 노안 라섹 중 내게 더 잘 맞는 치료법으로 시술받으면 된다.
40대 후반이나 50대 이상 연령이고 백내장도 발견되어 노안과 백내장을 한꺼번에 개선하고 싶다면, 노안 다초점 인공수정체삽입술이 좋은 치료 대안이다. 노안 다초점 인공수정체삽입술은 심한 원시나 백내장에 노안도 동반된 케이스를 교정하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여겨진다.
백내장 수술 시 혼탁한 수정체를 제거하고, 수정체낭(주머니)를 남겨두고 그 위치에 깨끗한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단초점 렌즈삽입술을 시행할 경우 원거리는 잘 보이지만, 근거리 시력의 개선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다초점 렌즈는 근거리, 원거리 두 군데에서 초점이 맺히므로 백내장과 노안으로 함께 불편함을 느끼는 환자에서, 원-근 시력을 동시에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다초점인공수정체는 개인차에 따라 선명도 저하, 빛번짐, 야간 빛번짐(달무리 현상)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사전검사와 함께 개개인에 대한 맞춤수술 등의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다./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최성훈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