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하게 추워진 날씨에 바람도 더 차가워졌다. 체내 수분이 적고 피지 분비 기능이 떨어진 40~50대에겐 겨울은 가려운 계절이다.
피부는 각질층을 통해 수분을 유지하는데 건조하여 습도가 떨어지면 이 각질이 들뜨고 갈라지기 때문이다.
‘건선(乾癬, Psoriasis)’은 피부가 건조해서 생기는 단순 피부질환으로 오해받지만 면역학적 만성질환으로 전염성은 없다.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유전적 소인이 있는 환자에게 외상이나 감염과 같은 환경적 자극이 발생하면 건선이 유발하는 것으로 거론되고 있다.
대한건선학회에 따르면 건선은 세계적으로 3%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비슷한 1~2% 수준의 유병률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
실제 한국의 건선 환자수는 2022년 15만4399명으로 전체 환자 중 약 68%가 활발하게 사회 활동을 하는 20~50대에서 발병하고 있다.
건선은 주로 팔꿈치·무릎·엉덩이·머리에 경계가 명확한 붉은 반점과 함께 은백색 비늘로 덮이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생긴 발진은 주위에서 생긴 발진들과 합쳐져 점점 커지면서 주위로 퍼져나간다. 은백색 비늘은 긁을 때나 옷을 벗을 때 비듬처럼 후드득 떨어지기도 한다. 특히 추워지면 증상이 심해진다.
건선은 증상이 평생 악화와 호전을 반복한다. 건선을 잘 치료하다가도 증상이 완화되면 다 나았다고 생각하고 방치하여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피부과 권순효 교수는 “건선의 치료 목적은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건선 병변을 정상화하고 이를 오래 유지하는 것”이라며 “지속적인 피부 및 건강관리를 통해 건선 병변이 없는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피부건조증이란 피부의 수분과 지질(기름막)이 감소하면서 피부에 하얀 각질 등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겨울에 춥고 건조하여 피부 신진대사가 떨어지고 실내도 난방으로 고온 건조하면 피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수분량이 많아져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면서 발생한다.
중장년층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데 나이 55세를 지나면 피부 장벽의 회복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주거환경의 변화로 인한 과도한 난방, 잦은 목욕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젊은 층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피부건조증은 주로 팔‧다리의 폄부위, 골반 및 허리, 옆구리, 손등, 정강이 등에 발생한다.
피부건조증이 발생하면 피부가 당기는 느낌이 들고 가려움증이 동반되는데 가렵다고 긁게 되면 피부에 상처가 발생한다.
심한 경우엔 붉은 반점(홍반)이 심해지고 붓고 진물이 나는 ‘건성습진’으로 악화할 수 있다.
피부건조증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치료는 염증의 유무로 달라지는데 염증 소견 없이 건조한 피부만 있다면 보습제의 잦은 도포만으로도 개선할 수 있다.
목욕 기름과 오트밀 팩도 도움이 되는데 목욕 후 3분 이내 즉시 충분한 양을 바르는 것이 좋다.
건선과 달리 피부건조증은 적절한 보습과 적절한 실내환경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난방으로 건조한 경우 가습을 하여 50~60% 습도를 유지하고 실내 온도는 변화는 크지 않도록 한다.
목욕은 시간과 횟수를 줄이며 약산성 세정제를 사용하고 너무 뜨거운 물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권순효 교수는 “알코올과 카페인은 신체 수분을 배출하는 기능이 있다”며 “알코올,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도 피부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이영주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