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부본맥, 잡병길흉맥, 옹저맥 등 환자를 제대로 맥진하는 방법
먼저 각 장부의 정상 맥만 제대로 알면 어렵지 않기 맥진할 수 있어
많은 한의사들이 진맥에 어려움을 느낀다. 각종 한의관련 서적에 맥 관련 설명이 추상적이기도 하고 예전 설명이 현대인에게 잘 와 닿지 않아서 일 것이다. 그래서 많은 한의사들이 환자 앞 에서 맥을 잡기는 하지만 실제로 진료에 직접 연결시키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한다.
맥을 공부하려고 다부지게 마음 먹어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한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때 방약합편의 장부본맥을 먼저 공부하고 제대로 실천만 해도 맥에 대한 어느 정도의 개인적 안목이 생긴다.
또한 한의사가 치료를 해도 무방한 병증인지, 아니면 양방 전문의에게 환자를 보내는 것이 나을지 등도 치료 전에 알아볼 수 있다. 이번 호부터는 간단하게 맥에 대한 살펴 보기로 하겠다.
▲장부본맥(臟腑本脈)
심(心): 맥상(脈象)은 부(浮), 대(大), 산(散)한데, 이것이 본래의 기능이다.
간(肝): 맥이 현(弦)하다가 부드러워지면 잔병이 없는 것이다.
신(腎): 본맥은 침(沉), 석(石)한데, 활(滑)형을 띠기도 한다.
폐(肺): 맥이 부(浮), 삭, 단(短)하면 평맥으로 삼는다.
비(脾): 맥은 본래 완(緩)해서 잘 나타나지 않는다.
명문(命門): 맥은 침(沉), 실(實)한 것을 가장 좋게 여긴다.
▲ 잡병길흉맥
중풍의 맥이 부하고 완한 것은 길하나 급하고 빠른 것은 흉하다. 상한의 맥은 열병인데도 땀이 안 날 경우 강한 것이 좋으나 땀이 난 후에 번조하고 맥이 대하면 사기가 경각에 임한 것이다.
서(暑)가 기를 상하면 맥이 허해지고 신열이 난다. 맥이 현, 홍, 규, 지하면 체상이 형편 없어진다. 습이 혈을 상하면 맥이 완, 세, 삭해진다.
허화의 맥은 부, 삭하고 실화의 맥은 침, 대하다. 음식으로 내상하면 기구맥이 급활하다. 노역으로 내상하면 비(脾)맥이 아주 약해지는데 맥침(沉)이 바로 이것이다. 기(氣)병에서 맥이 색약하면 다스리기 어렵다. 실혈로 인한 제증의 맥은 침, 세한 것이 좋다.
만일 부, 대맥이 나타나면 후에 반드시 다스리기 어려워진다. 울증의 맥은 모두 침한데 맥활하면 담울이고 맥긴하면 식울이나 기울이고 맥색하면 혈울이고 맥규삭하면 화울이고 맥세하면 습울이다.
허로의 맥은 현, 대하다. 노채(勞瘵)의 맥은 삭하다. 제풍에 현훈하면 상맥(척맥)은 실하고 하맥(촌맥)은 허하다.
두통이 양증이면 맥이 현한데 병증에 따라 여러 맥이 있다. 신궐하면 맥이 현견하고 전두통은 단색하다. 귓병은 신허하므로 그 맥은 지유하다. 치통도 병인이 귓병과 같이 신허에 있으므로 척맥이 유하고 대하다.
통풍의 맥이 침, 현한 것은 간, 비가 습을 받은 것이고, 소음경락에 속하는 통풍의 맥은 약, 부하다. 풍혈철급은 삼음경락에 속하는 통풍이다. 비의 맥은 부, 색하고 긴하다. 해수에서는 부맥이 많다. 이는 폐기가 모이고 위(胃)기가 열린 탓인데. 맥이 침, 세하면 약간 위험하고 부, 유하면 다스리기 쉽다. 또 하수의 맥은 오장과도 관련이 있으니 각 본부를 보라.
곽란의 증후에서 맥이 대하면 궐역임을 의심하지 말고 맥이 지, 미하면 이는 가히 두려운 것이다. 심복통의 맥은 아홉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세, 지한 것은 길맥이고 부, 대하면 복통이 오래간다.
학질의 맥은 현맥으로부터 시작하는데 대하고 산해지면 위험하다. 설사하리의 맥이 침, 소, 활, 약, 실, 대, 부, 홍한 데다가 발열하면 나쁘다. 비만의 맥은 활, 대한 것인데, 미색해지면 몸이 쇠약해진다. 오달의 실열의 맥은 반드시 흉, 삭하고 색, 미한 것은 허열에 속하는데 갈증이 발하는 것을 일절 꺼린다.
창만의 맥이 현하면 토(脾, 胃)가 목(肝, 膽)의 제어를 받는 증이다. 맥이 부하면 허창해지고, 맥이 긴하면 중실증이고, 맥이 부, 대하면 살 수 있으나, 허, 소하면 위급하다. 조결의 맥은 침, 복함을 의심하지 말라. 유정의 백탁의 맥은 척맥에서 징험한다. 또, 심허로 인한 유정의 맥은 좌촌맥이 단소하다. 유정의 맥이 지하면 살 수 있으나 급질하면 곧 요절한다.
요통의 맥은 침, 현한데, 침, 활하면 고치기 쉽다. 산증의 급맥은 현급하다. 적취가 이위(裏位)에 있어서 발하는 산증의 맥이 뇌급한 자는 살고, 급약한 자는 죽은다. 각기에서는 네 가지의 맥이 있다. 맥이 결하면 기가 양 쪽 척맥을 공격하여, 다스려도 듣지 않고 반드시 죽을 수밖에 없다. 삼소(三消)의 맥은 부, 대한 자는 살고, 소, 미, 색하면 놀랄만큼 형탈된다. 임병의 맥이 세, 삭하면 무방하고, 실, 대하면 잘 낫고 허, 색하면 좋지 않다.
적(積)병의 맥은 침한 경우가 많다. 오장의 적과 육부의 취로서 맥이 실, 강하면 다스릴 수 있으나 침, 세하면 고치기 어렵다. 중독의 경우 맥이 홍, 대하면 살고, 세, 미하면 죽는다. 천급의 맥이 부, 활한 것은 순하고 침, 색한 것은 사지가 한하고, 산맥은 해역증이다.
조잡애기는 오른손의 촌맥과 관맥을 살펴서 긴하고 활하면 다스릴 수 있고, 현하고 급하면 다스리기 어렵다.
구토의 경우 반위로 구토하면 맥이 부, 활한 것은 다스릴 수 있으나, 현 삭, 긴, 색하거나 결장되는 것은 죽는다.
액역의 맥이 부, 완한 것은 심히 위험하고 현, 급한 것은 살 수 있고, 결, 대, 촉, 미 한 것은 반드시 죽는다. 질(痓, 풍병)의 맥은 현직하거나 침세하다. 약간 복, 견하면 아직 괜찮으나 복, 현하면 상한다.
나(癩)병의 맥은 부, 홍한 것이 좋다. 간(癇)질의 맥은 허한 것이 좋다. 양간(陽癇)의 맥은 부하고 음간의 맥은 침침한 것인데 실, 급하면 나쁘다. 수(崇). 사수(邪崇)의 맥은 일정하지가 않은데 무두 담 때문이다.
후비(喉痺)의 맥은 미, 복한 것을 가장 꺼린다. 위병(痿病. 특히 하지를 쓰지 못하고 심하면 전신의 기육이 위축되는 증)은 폐가 허하고 맥은 미, 완한 경우가 많으며 혹 색하거나 긴하거나 세하거나 유하기도 하다.
시궐(尸厥)은 맥이 침, 활하고 몸이 냉하면 반드시 난치하게 되며, 척맥이 침하고 활하면 무서운 결과가 된다. 충(蟲)에 상하며 맥이 긴, 급하면 다스리지 말고 허, 소하면 다스려도 무방하다.
▲ 옹저맥(癰疽脈)
옹저의 맥이 삭, 부하면 양증이고 침하면 음증인데 오한이 나고 열이 난다. 안찰해서 아픈 데가 있고 맥이 홍, 삭하면 이내 화농할 것이고 아프지 않으면 음증이다. 맥이 활, 실, 촉하면 소독하고 허, 유, 지하면 탁리(밖으로 내 몲)해야 한다.
옹저가 터진 후에나 터지기 전에 혹시 맥이 규, 색, 미한 것은 괜찮으나, 이미 터졌는데 맥이 홍, 대한 것은 가히 두렵다. 폐위의 맥은 삭, 허하고 폐옹은 촌맥이 삭, 실하다. 폐옹의 맥이 단, 색한 것은 좋으나 부, 대한 것은 좋지 않다. 장옹의 맥이 활, 삭한 데다 긴맥을 겸하면 성농한 것이다. 열하지 않고 관맥이 규, 색, 긴하면 사하(瀉下)하는 것이 좋다. 대체로 옹저의 맥이 장, 완한 것은 다스리기 쉬우나, 단, 산, 결, 촉, 대할 것 같으면 죽는다.
김용훈 원장(남산당 한의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