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호에서는 『방약합편』에 나온 중풍의 각종 원인과 증상, 방제 등과 함께 필자가 그 동안 환자를 치료했던 처방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번 호도 지난 호에 이어 중풍에 대한 처방 및 침 치료법을 증상별로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다음에 필자가 정리한 내용은 『방약합편』 대증처방-의방활투(方藥合編 對證處方-醫方活套) 편을 참고했다. 또 방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과 처방구성을 찾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 각 방제의 위치를 추가했다.
혹 같은 방제와 비슷한 사용법이 있지만 어떤 표현의 경우, 사용해야 할 상황을 더 자세하게 정리한 내용은 그대로 사용했다. 독자들의 임상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
▷ 중풍 신장풍언어건흘(中風 腎臟風言語蹇吃): 신장에 풍이 들어 ‘언어건흘’ 즉 환자가 말을 더듬는 증상-신력탕(腎瀝湯 上001).
▷ 중풍 설음족폐(中風 舌瘖足癈) 신허기궐부지설하(腎虛氣厥不至舌下): 신장의 기가 너무 쇠해 혀의 뿌리 쪽으로 가지 못해 혀의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않게 돼 나타나는 설음족폐 즉 벙어리증-지황음자(地黃飮子 方上002).
▷ 기혈대허좌우탄탄(氣血大虛左右癱瘓): 기혈이 크게 허해 신체의 좌우로 탄탄증이 나타나는 경우. 탄탄이란 중풍으로 사지를 의도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증을 말한다-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方上003).
▷ 수족풍(手足風), 수지무력(手指無力): 사지에 풍이 들어 손가락에 힘이 빠지는 증상-만금탕(萬金湯 方上004).
▷ 풍허제증(風虛諸症): 풍으로 인한 여러 허증-팔보회춘탕(八補回春湯 方上005).
▷ 치노역태심(治勞役太甚) 혹음식실절(或飮食失節) 신열자한(身熱自汗): 노권상이 심할 경우나 혹 음식을 절제하지 못했을 때 등 체온이 오르고 자한이 나는 경우-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方上022).
▷ 치기혈양허(治氣血兩虛): 기와 혈이 모두 부족한 증-팔물탕(八物湯 方上032).
▷ 치기혈양허(治氣血兩虛): 기와 혈이 모두 부족한 증-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方上033).
▷ 치신수불족(治腎水不足): 신수가 부족한 증상-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方上040).
▷ 보진기허약(補眞氣虛弱) 치기단기소(治氣短氣少): 진기가 허한 것을 보하며 기단 및 기소증을 치료하고자 할 때-사군자탕(四君子湯 方上064).
▷ 통치혈병(通治血病): 모든 혈병에 대한 통치방-사물탕(四物湯 方上068).
▷ 치기허담성(治氣虛痰盛). 허냉(虛冷) 가(加) 건강(乾薑), 육계(肉桂): 기가 허해 담이 성하는 증상을 치료하고자 한다면 건강과 육계를 가한다-육군자탕(六君子湯 方上069).
▷ 치간신허약(治肝腎虛弱) 근련(筋攣) 골통(骨痛) 각슬편고(脚膝偏枯) 냉비(冷痺): 간과 신이 허해 몸의 근맥이 오그라들어 땅겨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근련증 및 다리가 한쪽이 마비가 오는 증상. 찬 기운으로 손발에 감각이 없고 저린 냉비의 치료 시-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方上088).
▷ 치학슬풍(治鶴膝風) 거풍(去風) 순기(順氣) 활혈(活血) 장근(壯筋): 학슬풍 및 거풍, 순기, 활혈, 근을 튼튼하게 해야 할 경우-대방풍탕(大防風湯 方上089).
▷ 일체풍초중(一切風初中) 무한표증(無汗表證): 모든 중풍 초기와 중기, 땀이 나지 않는 표증에 사용-소속명탕(小續命湯 方中 001).
▷ 중부중(中腑中) 수족부인(手足不仁) 선용해표(先用解表): 풍이 부를 침범해 손과 발에 기능상 장애가 와 먼저 해표해야 할 경우-소풍탕(疎風湯 方中002).
▷중부중장(中腑中臟) 선용본약(先用本藥) 후용차조리(候用此調理): 풍이 장과 부에 모두 들은 경우, 다음의 약을 먼저 사용한 뒤 몸을 회복케 해야 한다-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方中003).
▷ 졸중풍인사초성(卒中風人事稍醒) 관절동활후(關節動活後) 용차리기(用此理氣): 갑자기 중풍이 들어 서서히 정신을 잃은 경우, 환자가 각 관절을 움직이는 것을 확인한 뒤 이기 시키고자 할 때-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 方中004).
▷ 사지백절유주자통(四肢百節流注刺痛) 기통처혹종혹홍(其痛處惑腫惑紅): 사지의 모든 관절에 통처가 옮겨가며 자통이 있으며 아픈곳이 부어 오르거나 혹 붉은 빛을 보일 때에 처방-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方中005).
▷ 지절종통(肢節腫痛): 사지관절이 붓거나 아픈 증상-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方中006).
▷ 졸중풍불성인사(卒中風不省人事), 담연옹색(痰涎壅塞), 정신혼궤(情神昏憒), 언어건삽(言語乾澁): 갑자기 중풍으로 인사불성, 담연이 몰려서 막혀있는 것으로 막힌 부위가 답답하며, 기능이 떨어지고 침중(沈重)해지며 입에서 가래나 게거품이 나오는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는 담연옹색, 정신이 흐리멍텅해져 사물을 분간 못하는 정신혼궤, 말을 더듬거리는 언어건삽 증 등-우황청심환(牛黃淸心元 方中007).
▷ 중풍(中風) 구안괘사(口眼喎斜):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方中008).
▷ 중풍(中風) 비액간통(鼻額間痛) 구부가개(口不可開): 중풍으로 코와 이마 사이에 통증이 있으며 입을 벌리지 못하는 증상-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方中009).
▷ 일체풍질선복(一切風疾先服): 모든 풍으로 인한 질환에 먼저 사용-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方中010).
▷ 치일체풍초중(治一切風初中) 무한표실(無汗表實): 모든 땀이 없고 표가 실한 초, 중기 풍병에 사용-소속명탕(小續命湯 方中001).
▷ 치풍중부(治風中腑) 수족부인(手足不仁) 선의해표(先宜海表) 후용(後用) 유풍산(愈風散) 조리(調理): 풍이 부에 들어 손과 발에 감각이 저하됐을 때 먼저 마땅히 해표한 뒤 유풍산으로 조리한다-소풍산(疎風散 方中002).
▷ 사지백절유주자통(四肢百折流注刺痛), 풍습담사혈(風濕痰死血) 소치(所致), 기통처(其痛處) 혹종(或腫) 혹홍(或紅): 사지의 모든 관절에 옮겨가며 자통이 있고 풍, 습, 담, 어혈로 인해 통처가 부어 오르거나 혹은 붉은 색으로 보일 때-소풍활혈탕(疏風活血湯 方中005).
김용훈 원장(남산당 한의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