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은 우리 몸의 대사를 담당하는 중요 장기다. 간은 나빠져도 특별한 증상이 없어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다.
간암이나 말기 간 질환으로 간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면 유일한 치료법은 ‘간이식’이다.
간은 재생능력이 뛰어나 관리를 잘하면 나빠졌다가도 다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B·C형 바이러스 간염, 알코올성 간 질환, 지방간 등이 지속돼 말기 간 질환으로 진행되면 정상 간으로 회복하기 어렵다.
간의 정상 기능이 유지되지 않으면 복수, 황달, 피를 토하거나 혼수상태에 빠지는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간이식이 확실한 치료법이다.
간암의 치료법으로 간이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말기 간 질환과 간암이 동반되면, 간암을 해결하더라도 다른 부위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건강한 간을 이식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그 외 드물게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과 같은 약물에 의한 급성 간부전, 소아의 선천성 담도폐쇄 등에서도 간이식이 시행된다.
간암이라면 5cm 미만의 간암이 1개만 있거나 3cm 미만의 간암이 3개 이하일 때 간이식을 받을 수 있다.
최근 간이식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기준이 더 확대되는 추세다.
간 이외 악성종양이 있다면 수술이 어려우므로 수술 전 이에 대한 검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중증 기저질환이 있거나 심한 약물이나 알코올 중독, 진행성 간염이 있는 경우에도 간이식이 어렵다.
간이식은 뇌사자 공여를 통해 간 전체를 이식하는 방법과 가족·친척 공여자를 통해 간의 일부만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으로 나눌 수 있다.
소아나 체구가 작은 성인은 간 전체를 이식할 수 없어 뇌사자 공여자 간이식일 때도 부분 간이식이 시행된다. 생체 간이식 공여자 수술은 보통 간 우엽을 공여한다.
수혜자의 상태에 따라 간의 크기, 혈관 주행 등을 고려해 좌외측구역, 좌엽, 확대우엽 등 변형된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옥주 교수는 “수혜자 수술은 병변이 있는 간을 전부 제거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공여자의 간을 수혜자의 혈관과 담도에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며 “최근에는 공여자 수술이 복강경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공여자의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생체 간이식의 경우 기증자의 안전 보장이 중요하다.
기증자는 원래 간의 30% 이상 남고, 이식받는 환자는 체중의 0.8% 이상의 간을 받으면 비교적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 검사들을 통해 간이식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절차가 꼭 필요하다.
이 교수는 “기존에는 공여자와 간이식을 받는 사람의 혈액형이 같아야 하고 키·몸무게 등 신체 조건이 비슷해야 하는 등 조건이 까다로웠지만 최근 ‘혈장교환술’ 등 관리를 통해 혈액형이 다르더라도 이식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간이식을 받은 환자는 다시 간이 나빠지지 않도록 일상생활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특히 이식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섭취해야 한다.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사람이 많은 곳에 가야 한다면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또 수술 전 B형 간염이 있던 환자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B형 간염 항체주사(헤파빅·헤파불린)를 맞아야 한다.
이 교수는 “운동은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일반인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영양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며 “알코올은 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금주가 권고된다. 한약, 건강보조식품 등은 간에 독성을 유발하므로 섭취를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주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