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에서 중풍(中風)이라고 일컫는 뇌졸중은 뇌혈관 이상으로 인해 뇌 조직이 손상되며 발생한다. 크게 뇌혈관이 터져서 생기는 출혈성 뇌졸중(뇌출혈)과 뇌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으로 구분된다.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재발이 빈번하게 나타나는데 해외 연구에 따르면 1년 내 재입원율이 대략 31%나 된다. 또한 후유증으로 인한 요로감염, 고관절 골절, 폐렴, 욕창 등과 같은 합병증도 문제가 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뇌졸중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실효성 있는 치료법으로서 침치료의 효과를 다룬 최신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받고 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소장 하인혁) 최성률 한의사 연구팀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가 침치료를 받을 경우 사망 및 합병증에 대한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원인 중에서 뇌졸중이 4위를 차지했다. 실제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는 질환으로 ‘침묵의 살인자’라고도 불린다.
특히 일교차가 큰 시기에는 뇌혈관이 수축하며 뇌졸중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에 요즘과 같은 봄철이면 더욱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기도 하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 코호트(NHIS-NSC)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허혈성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침 치료가 사망률과 합병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했다.
정확한 연구 및 예후 관찰을 위해 발병 1달 이내 사망한 중증 환자나 침 치료를 받은 급성기 환자는 제외했다. 그 결과 침치료군 195명과 침을 맞지 않은 대조군 2104명이 연구 대상자로 선정됐다.
허혈성 뇌졸중에 대한 침치료는 장기간 여러 차례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사망률, 합병증 등에 대한 침 치료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를 반영해 침 치료와 뇌졸중 예후에 대해 시간 의존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를 침치료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해 사망과 주요 합병증의 발생률을 비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하루에 10만명의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척도로 대입해 분석했다. 그 결과 사망률의 경우 침치료군 13.6명, 대조군 25.7명으로 침치료군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합병증 발생률도 침치료군 (35.7명)이 대조군 (55.1명)보다 낮았다. 이외에 요로감염, 위장출혈, 대퇴골절 등 세부 질환의 발생률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 연구팀은 두 집단의 평가지표에 대한 위험비(Hazard Ratio, HR)도 계산했다. 위험비는 실험군의 위험률을 대조군의 위험률로 나눈 것으로 결과값이 1보다 작으면 침치료군의 위험도가 대조군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 결과 침치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사망(0.32), 합병증(0.34)에서 위험비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요로감염의 경우 위험비가 0.24로 매우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위험비는 환자가 침 치료를 받은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침치료가 허혈성 뇌졸중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률을 낮춰 생존율을 높인 것으로 해석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최성률 한의사는 “이번 논문은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허혈성 뇌졸중 치료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를 보여준 연구이다”며, “장기간 실시하는 뇌졸중 침치료의 시간 의존적 특성을 연구에 반영해 보다 정확한 치료 효과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Healthcare (IF=1.58)’ 4월호에 게재됐다.(자료=자생한방병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