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보건과 연관된 감염(HAIs)은 환자가 다른 질병 상황으로 인해 의료 보건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염이다. 이러한 감염은 병원, 외래환자 센터, 커뮤니티 클리닉 등 의료 보건 시설에서 치료를 받은 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세균, 곰팡이, 그리고 바이러스 등 광범위하다. 다음은 보다 보편적이며, 치료용 시침과 기타 임상 절차와 관련이 있는 의료 보건과 연관된 감염(HAIs) 중 일부를 소개한 것이다.
결핵
결핵(TB)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야기된다. 결핵균은 항산균으로서 밀랍 같은 외막이 있으며, 공기를 통해 전파되고 최고 12 주에 달하는 긴 잠복 기간을 지녔다. (40,41)
미국에서 2014 년에 보고된 결핵 사례는 총 9,421 건이다. 이는 10 만 명 당 2.96 건의 사례가 발생했다는 수치이다. 보고된 결핵 사례와 발생 수치 모두 감소하였으며, 2013 년과 비교할 때 각각 1.5 %와 2.2% 감소하였다. 2014 년에 보고된 결핵 사례 수는 1953 년에 미국 전국 보고 제도가 시작된 이래 기록된 가장 낮은 수치이다. (42)
미국에서의 결핵 감염률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지만, 결핵은 여전히 의료 보건 환경의 중요한 감염 위험이다. Jensen 등은(41) 특히 결핵 감염 위험이 있는 사람들로 다음을 지목했다:
- 어린이를 포함하여 외국에서 태어난 사람, 특히 결핵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서(예를 들어 아프리카, 아시아, 동유럽, 라틴 아메리카, 그리고 러시아) 지난 5 년 이내에 미국에 도착한 사람, 또는 결핵 발생률이 높은 지역으로 자주 여행하는 사람.
- 결핵 발생 위험이 높은 공동 생활 시설의 (예를 들어 교화 시설, 장기 간호 시설[LTCFs], 그리고 노숙자 보호소) 주민과 직원.
- 결핵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를 돌보는 의료 보건 종사자.
- 환자에게 결핵이 있으며 그 사실을 알기 전에 정확한 공기 전염 예방조치를 취하기 전에 보호 조치 없이 해당 결핵 환자에게 노출된 의료 보건 종사자.
- 소재 지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한 특정 인구 및 저소득층 인구.
- 소재 지역에서 결핵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정의한 결핵 위험이 높은 인구.
- 결핵 감염 위험이 높은 부류의 성인에게 노출된 영유아, 어린이, 그리고 청소년.
지난 2 년 이내에 결핵에 감염되었된 사람,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혈청 반응이 양성인 사람이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 영유아 또는 4 세 이하의 어린이, 규폐증(silicosis)이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 또는 적절한 결핵 치료를 받지 않았던 사람이 결핵에 감염될 경우 활동성 결핵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있을 경우 결핵에 쉽게 감염된다. 그 이유는 아마도 면역력이 저하되어 결핵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결핵 감염률을 높이는 또 다른 요인으로는 다양한 항결핵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이 존재하는 경우다.
1993 년부터, 즉 결핵 감시 체계의 범위가 넓혀져서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 결과가 포함된 후부터, 미국 내의 보고된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결핵 사례 수는 감소하였다. 이전에 치료를 받지 않았던 미국 내 결핵 사례 중 초기 약제 감수성 검사 결과, 다제내성 결핵 사례의 발생률은 2012 의 1.2%에서 (86 건의 사례) 2013 년의 1.4%로 (95 건의 사례) 약간 증가하였다. (42)
대부분의 결핵균은 항결핵제로 치료할 수 있지만, 치료 과정은 9 개 월이나 소요된다. 더구나 병원체가 약제 내성을 지닌 결핵균일 경우, 치료는 더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성 질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핵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결핵 통제 방법이다. 결핵 전염 예방을 위해 아래 조치를 준수해야 한다.
- 한의사를 포함한 의료 보건 종사자는 연례 결핵 피부 검사를 받아야 한다. 지난 번의 검사를 1 년 이내에 받지 않았을 경우, 2 주 후에 검사를 반복해야 한다. 대체 검사인 QuantiFERON 혈액 검사는 이제 승인을 받았으므로 결핵 피부 검사 대체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검사의 장점은 단 한 번의 접촉만 필요하고, 검사 결과를 더욱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으며, BCG (bacilli Calmette-Guerin) 백신 접종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 결핵 백신을 접종하였거나 피부 검사 결과가 양성인 사람은 흉부 방사선 검사와 연례 신체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 클리닉에 찾아 온 환자가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 기침을 한다면 환자에게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요구해야 한다. 클리닉에 마스크를 비치하여 결핵을 포함한 대기 중 병원체의 전염을 예방하는 것은 좋은 방침이다.
- 환자에게 결핵이 있을 거라고 의심하는 경우, 반드시 환자를 의사(physician)에게 보내 진단 및 치료를 받게 한다. 침술과 쑥뜸의 결핵 치료 또는 결핵 증상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는 여러 소규모 연구가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는 종종 매우 고무적이었다. 아직까지 면허를 소지한 한의사의 집무 장소에서 결핵 전염이 발생하였다는 보고는 없지만, 무면허 침구사에 의한 결핵 발생 사례가 한 건 있다. (43) 이는 결핵을 이해하고 식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결핵균 전파는 의료 보건 시설에서 환자와 의료 보건 종사자에 대한 공인된 위험이다. 결핵균 전파는 폐결핵이 있거나 후두가 연관된 결핵이 있는지 알지 못한 환자, 효과적인 항결핵제 요법을 받지 않는 환자, 그리고 결핵으로 인해 격리 치료되지 않은 환자로부터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의료 보건 시설에서의 결핵균 전파는 전염성 결핵이 있는 사람과의 밀접한 접촉과 연관이 있다. (44)
숙주(Host) 체외에서의 결핵균 생존력
결핵균은 건조한 비생물체 표면에서 수개월 생존할 수 있으며, 흙 속에서는 4 주, 그리고 일반 환경에서는 74 일 이상 생존할 수 있다. 결핵균은 햇빛에 쬐이면 활성을 잃는다. (45)
침술 관련 결핵 안전성
궁극적으로, 클리닉 안전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침구사가 안전한 침술 실행을 보장하는 것이다. 침구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혈행성 병원체의 전파를 예방하고, 기타 적절한 위험 관리 기법을 실행하면 침구사 본인은 물론, 한의사의 가족, 그리고 대중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호흡 에티켓과 표준 예방조치를 활용하면 침구사와 환자가 결핵에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안전한 실행은 한의사의 가장 중요한 책임이다. 정침법과 표준 예방조치는 침구사의 안전한 실행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피부 감염
침술 안전에 관한 전향성(prospective) 및 회고성(retrospective) 연구 결과, 약간의 국소 피부 감염이 침술 치료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
피부의 보편적인 상주 세균 포도상구균과 연쇄구균이다. 포도상구균이나 연쇄구균이 피부 상처를 통해 진피 또는 더 깊은 곳의 구조로 들어갈 경우 농가진 및 기타 국소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46)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포도상구균은 그램 양성 세균으로서 흔히 피부에서 발견할 수 있다. ‘포도상’ 세균, 예를 들어 표피 포도상구균이나 황색 포도상구균은 피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한의사 또는 환자의 몸으로 들어갈 수 있는 세균성 오염물이다. 이런 유형의 오염은 피부에 자침할 때 피부의 세균이 사람 몸으로 들어감으로 해서 발생한다. (47)
포도상구균으로 인한 피부 감염은 일반적으로 붉으며 아프다. 어떤 감염은 거미에 물린 것처럼 아픈 혹으로 시작하였다가 고름이 가득 찬 농양(종기)으로 빠르게 변한다. (48)
침술 치료와 연관된 세균의 피부 감염 사례 중 절반 이상이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49)
침술 시술 후 포도상구균에 감염된 개별적 사례에는 심낭 농양, (50) 괴사성 근막염, (51) 균혈증, (52) 그리고 척추 경막하농흉 등이 있다. (53) 포도상구균 감염 예방을 위해 표준 절차인 손씻기를 실행하고 전염성 피부 병변이 있는 부위에 시침 또는 기타 절차를 실시하지 않는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황색포도상구균은 그램 양성, 혈장응고효소 양성인 호기성 구균으로서 상처 감염과 기타 의학적으로 중요한 감염과 연관되었다. 최근에 항생제 메티실린에 내성을 지닌 균종, 즉 메틸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이 항생제 내성 감염의 중요한 전염성 병원체가 되었다. (54,55) 이 미생물은 피부 접촉으로 인해 전염되며, 환자로부터 한의사, 직원 및 기타 환자에게로 쉽게 전염된다. 전체 인구 중 MRSA 보균자는 25%에서 30%에 달할 수 있다. (55) 대부분의 MRSA 감염은 병원감염(의료 보건 장소에서 후천적으로 감염)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12%는 커뮤니티에서 감염된 것이다. (55)
예방
환자와 직장 동료의 MRSA 감염을 예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적절한 예방조치에는 아래 사항이 포함된다. (56,57)
- 적절한 손씻기를 하고 손 세정제를 사용한다.
- 장갑, 실험실 가운, 얼굴 마스크(필요한 경우) 등 차폐 보호 장비를 사용한다.
- 침구와 같은 잠재적 오염 물질, 약솜 및 거즈와 같은 일회용 물품, 그리고 더럽혀지거나 피로 얼룩진 리넨 제품을 적절히 처리한다.
- 진물이 흐르는 상처, 뾰루지 같은 병변 또는 감염 자리가 될 수 있는 피부 병변과의 접촉을 피한다.
- 염증이 있거나 감염된 피부 부위에 시침이나 기타 침술 및 동양의학 기법을 실행하지 않는다.
- 정침법을 실행한다.
- 적절한 소독약을 철저히 사용한다.
- 감염되었을 수 있는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전문의에게 보낸다(refer). 보고에 의하면 침술 치료 후 메틸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감염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2,58) 한 건의 사례 연구 결과, 메틸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전파는 의료 요원에서 환자에게 전파된 것이 명확하였다. (59)
진물이 흐르는 상처, 곪은 상처, 또는 농포 등 의사의 검사를 받지 않은 MRSA 에 감염된 상처가 있는 환자와 연관된 위험은 상당히 크다. 또한 침구사에게 의사의 검사를 받지 않은 전염성 피부 병변이 있을 때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역시 전염 위험이 있다.
환자나 한의사에게 전염성 피부 병변이 있는 경우, 반드시 최대한 빨리 의사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 때 검사가 이루어지고 적절한 항생제 요법이 시작될 때까지 침술 치료를 지연하는 것이 마땅한 조치이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환경 생존력
대부분의 연구는 메틸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이 비생물체 및 건조한 표면에서 최고 90 일 동안 생존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MRSA 세균은 물이 없어도 살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세균과 바이러스보다 더 오래 생존 할 수 있다. (24) MRSA 는 부드러운 표면보다 딱딱한 표면에서 더 오래 생존할 수 있으나 미국 환경보호국에서 승인한 적절한 소독약으로 활성을 파괴할 수 있다.
연쇄구균(Streptococcus)
그룹 A 연쇄구균(GAS)은 사람의 목과 피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세균이다. 사람의 목 또는 피부에 있던 세균이 피하조직, 혈액 또는 폐 등 평소에 해당 세균이 없던 사람의 몸 속 부위에 들어가면 그룹 A 연쇄구균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세균은 감염자의 코나 목 점막을 직접 접촉하거나 피부의 감염된 상처 부위를 접촉하는 것을 통해서 전파한다. (60)
그룹 A 연쇄구균은 농가진 또는 기타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침술 시술과 연관된 화농성 피부 감염은 연쇄구균 감염일 수 있다. 극히 드물지만(1970 년대와 1980 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대략 50 건의 사례가 보고되었음), (61) 연쇄구균 감염은 침술 시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연쇄구균 감염 예방을 위해 표준 절차인 손씻기를 실행하고 전염성 피부 병변이 있는 부위에 시침 또는 기타 절차를 실시하지 않는다. (62)
비결핵 미코박테리아(MOT)
(미코박테리움 압세수스, 미코박테리움 포투이튬, 미코박테리움 헤모필륨) 미코박테리움 압세수스(Mycobacterium abscessus)는 물, 흙, 먼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미코박테리움 압세수스는 의료 기기를 포함하여 의료 약품과 제품을 오염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의료 보건과 연관된 미코박테리움 압세수스는 피부 및 피부 아래 연조직의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만성 폐질환이 있는 사람의 폐 감염을 야기할 수 있다. (61)
비결핵 미코박테리아(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OT)는 한의사가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세균이다. 그 이유는 여러 보고에 의하면 침술 및 동양의학과 연관된 피부 병변은 비결핵 미코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MOT 와 연관된 피부 질병의 발발은 캐나다와 한국의 침술 클리닉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2) MOT 질병의 확인 및 관리는 피부과 의사의 진료 범위다. (63) MOT 는 서서히 성장하는 세균으로서 면역력이 정상적이거나 쇠퇴한 환자 모두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임상 감염 증상은 화농성 및 괴양성 피부 결절의 출현이다. (64)
MOT 는 환경에, 특히 습토(wet soil), 습지대, 개울, 강, 그리고 하구퇴적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65) MOT 는 보통 환경 중에서 자유로히 생활하는 미생물이기 때문에 습한 환경 또는 건조한 환경에서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을 것이다.
보고에 의하면, 침술 시술과 관련된 미코박테리아 감염은 “아마도 자침 부위를 충분히 살균하지 않은 것과 연관되었을 것”이다. (66) 침구사가 정침법 규범의 모든 필수 부분을 준수할 경우, 침술 관련 미코박테리아 감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문헌에서는 여러 사례를 논의하였다. (2,66-70) 침술 시술과 연관된 감염 중 일부는 환자가 침술 클리닉으로 가져 온 먼지나 흙이 앞 뒤 환자 사이에 교환하지 않은 찜질용 타월, 진료대 시트, 또는 기타 옷감으로 옮겨져 발생한 가능성이 크다.
클리닉에서 비결핵 미코박테리아(MOT)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
- 적절히 손을 씻고 알코올 성분의 손 세정 살균제를 사용한다.
- 정침법 절차를 철저히 준수한다.
- 침구 등 잠재적으로 오염된 물품과 약솜 및 거즈와 같은 일회용 물품을 적절히 처리한다.
- 적절한 소독약으로 진료실과 진료대를 세심히 소독한다.
- 앞 뒤 환자 사이에 반드시 모든 시트와 타월을 교환한다.
- 감염되었을 수 있는 환자를 의사에게 보내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한다.
단순 포진(Herpes Simplex)
현재 확인된 단순 포진 바이러스(HSV)는 HSV-1 과 HSV-2, 이 두 가지 혈청 유형이 있다. HSV-1 은 보통 구강 병변(즉 입술/입 안 발진)과 연관이 있으나, HSV-1 과 HSV-2 모두 구강 또는 생식기 점막 병변에서 볼 수 있다. HSV-1 는 전형적으로 타액 또는 의료 보건 종사자의 손에 있는 감염을 통해 전파된다. (70)
HSV 는 표피 또는 점막 표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HSV 는 또한 섭취(ingestion), 주사, (눈, 코 또는 입) 점막 비말 노출(droplet exposure), 그리고 연무 물질(aerosolized materials) 흡입을 통해서 전파될 수 있다. (70,71)
HSV-1 과 HSV-2 의 특징은 병변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초기 감염 후(초기에는 종종 발병 증세가 가장 심함), 바이러스는 기간이 일정하지 않은 무활동 상태로 들어간다. 그 다음 단계는 전구(prodromal) 단계로서, 환자는 국소 가려움즘, 감염 부위 통증 혹은 얼얼함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때, 환자는 바이러스를 흘려서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다.
마지막 단계는 발발 단계이다. 발발 단계의 특징은 같은 부위에 초기 감염 때와 같은 증상이 일어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가벼워진다. 물집이 생길 경우, 일반적으로 7-10 일이 지나면 아물어진다. 이 때, HSV 가 있는 환자는 여전히 바이러스를 흘리며,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 그러면 HSV 바이러스 주기가 다시 시작된다.
침술, 쑥뜸, 부항 요법 및 기타 동방의학 절차는 포진의 통증을 완화하고 포진 연관 병변이 있는 사람의 건강을 향상시켰다. (72-74)
표준 예방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침술과 부항 요법은 단순 포진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도 있다. (75)
단순 포진 바이러스의 전파를 예방하려면 표준 예방조치를 준수해야 한다. 한의사는 전염성이 있는 병변을 만지지 말아야 하며, 병변이 있는 부위에 시술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환자의 손은 진료실의 표면과 접촉하고 바이러스는 다른 사람이 만진 물체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표면은 소독약으로 매일 닦아야 한다. (76,77) HSV 1 과 HSV 2 바이러스는 진료대와 카운터탑 등 작업대 표면에서 몇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 (76)
인플루엔자/독감(Influenza)
인플루엔자/독감은 주로 커뮤니티 중심의 감염이며, 일반 가정 및 의료 보건 클리닉을 포함한 커뮤니티 시설에서 전파한다.
의료 보건과 연관된 독감 감염은 어떤 의료 보건 시설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독감이 커뮤니티에서 유행할 때 가장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침술 실행 장소에서는 감염 통제 조치를 실시하여 독감 바이러스의 전파를 줄여야 한다. (78)
자세한 정보는 아래 웹사이트를 참조한다.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http://www.cdc.gov/flu/professionals/infectioncontrol/index.htm)
독감 바이러스의 환경 생존력
독감 바이러스는 일반 환경 중에서 최고 24 시간 생존할 수 있다. (79) 독감 바이러스가 진료대 표면에서 환자, 클리닉 직원, 한의사 가족 등에게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청소가 요구된다.
침술은 상호흡기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예방을 도울 수 있다. (80,81) 하지만 의료 보건 시설에 중증 환자가 있을 경우, 바이러스를 의료 보건 종사자나 다른 환자들에게 전파하는 위험성이 높아진다. 손씻기와 진료실 소독에 있어서, 표준 예방조치를 준수해야 한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독감 전염 예방 기본 요소
의료 보건 시설에서의 독감 바이러스 및 기타 전염성 병원체의 전파를 예방하려면 다방면의 조치가 필요하다. 독감 바이러스 전파는 환자, 의료 보건 종사자, 클리닉 직원, 방문객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핵심 예방 전략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78)
- 의료 보건 종사자와 독감에 걸릴 위험이 높은 대중은 매년 독감 백신 접종을 받는다.
- 호흡 위생과 기침 에티켓을 실천한다.
- 표준 예방조치를 실시한다.
- 환자 간호 활동과 비말(aerosol) 생성 절차 중에 감염 통제 예방조치를 준수한다.
- 환경 및 엔지니어링(engineering) 감염 통제 조치를 실시한다. 의료 보건 종사자는 중증이 있을 경우 반드시 집에 머물러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의료 보건 종사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를 사용하지 않고 최소한 24 시간 동안 열이 없을 때까지 환자를 진료해서는 안 된다.
노로 바이러스(Norovirus)
노로 바이러스는 위장염, 심한 급성 구토 및 설사를 이으키는 바이러스군이다. 이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하여, 의료 보건 시설에서 급속히 전파된다. (82) 사람이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 노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료 보건 종사자, 방문객 또는 다른 환자)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
- 노로 바이러스에 의해 오염된 식품을 먹거나 음료를 마시는 경우.
- 노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표면이나 물품을 만진 후 본인의 입이나 다른 식품을 만진 경우.
노로 바이러스는 대변-경구 경로를 통해서, 오염된 손을 거쳐서, 오염된 식품과 물을 통해서, 또는 오염된 표면과 접촉하는 방식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된다. (83)
노로 바이러스는 일반 환경에서 비교적 안정적이며 딱딱한 표면에서 몇 주간 생존할 수 있다.
의학 문헌에서는 아직 노로 바이러스가 침술이나 동양의학 절차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된 바가 없다. 미국에서는 매년 1900-2100 만 건의 노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보고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84) 노로 바이러스 질병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감염 중 한 가지이기 때문에 의료 보건 종사자는 반드시 표준 예방조치를 준수하여 전염성이 매우 강한 이 미생물의 전파를 예방해야 한다.
노로 바이러스 예방
핵심 예방 전략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83)
- 손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노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이 있는 환자와 접촉한 후 비누와 물로 손을 깨끗히 씻는다.
- 노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이 있는 환자와 접촉하거나 간호하는 경우, 의사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 정기적으로 미국 환경보호국에서 승인하고 노로 바이러스 소독용 라벨이 부착된 소독약 제품을 사용하여 환자들이 자주 접하는 표면과 기기를 청소하고 소독한다.
- 오염된 의류나 시트를 교환하고 세척한다.
- 노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이 있는 의료 보건 종사자는 증상이 사라진 후 최소한 3 일이 지난 후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
적절한 손 위생은 노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전파를 통제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일 것이다.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한 철저한 손씻기로 손에 있는 노로 바이러스를 줄일 수 있다. 알코올 성분의 손 세정 살균제는 노로 바이러스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4,85)
의료 보건 종사자는 병 든 경우 업무를 중단하고 증상이 사라진 후 최소한 48-72 시간이 지난 후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 (83)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Clostridium difficile)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은 포자를 형성하는 그램 양성 혐기성 바실루스균으로서 두 가지의 독소, 즉 독소 A 와 독소 B 를 생성한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은 항생제와 연관된 설사(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AAD)를 일으키는 균으로서 AAD 의 15-25%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으로 인해 발생한다. (86)
거의 모든 항균제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과 연관된 질병(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sease, CDAD) 발전에 연루되었다. 정상적인 위장 세균군이 있고 신속한 면역 반응이 생기는 사람들은 CDAD 발생 위험이 낮다. (8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감염의 임상 증상에는 수성 설사, 열, 식욕 감퇴, 메스꺼움, 복통 및 복부 압통 등이 포함된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은 대변으로 배출된다. 대변에 오염된 표면, 기기 혹은 재료(예를 들어, 변기, 항문 체온계)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포자의 저장소가 될 수 있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포자는 주로 오염된 표면이나 물품을 만진 의료 보건 종사자의 손을 통해서 환자에게로 전파된다.(86)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과 연관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주된 치료제는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과 경구 반코마이신(oral vancomycin)이다. 이런 처치곤란한 병의 부가적인 요법으로 경구 복용 생균제를 사용하여 결장 세균군(보통 젖산균 또는 효모균)을 보충하는 방법이 있다. (8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포자는 보통 병원 소독약으로 살균할 수 없으며, 물품 표면에서 최고 5 개 월까지 생존할 수 있다. (88)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과 연관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간호할 때 특별한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확산 예방
한의사의 클리닉에서에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권고 사항: (86)
- 환자실로 들어갈 때, 그리고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보균자로 알려진 환자를 치료할 때 장갑을 착용한다.
- 장갑을 벗은 후 손 위생 절차를 실행한다.
o 알코올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포자를 죽일 수 없기 때문에 손씻기에는 비누와 물이 알코올 성분의 손 세정 살균제보다 더 효과적이다. 하지만 조기의 실험 자료는 비누와 물을 사용하더라도 다른 흔한 병원체보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을 제거하거나 활성을 잃게 하는 것이 훨씬 힘들다는 것을 제시한다.
o 장갑을 사용하여 손의 오염을 예방하는 것은 여전히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이 의료 보건 종사자의 손을 통해서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근본적인 방법이다. 비누와 물을 사용하는 이론적 혜택을 보다 복잡한 손 위생 유지 정보와 대조하여 손 위생 유지 규정을 준수하는 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o 침구사가 소속된 기관이나 클리닉에서 질병 발발이 일어난 경우,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감염 환자를 간호할 때 비누와 물만을 사용하여 손 위생을 유지할 것을 고려한다. - 환자실로 들어갈 때, 그리고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보균자로 알려진 환자를 치료할 때 장갑을 착용한다.
- 환자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보균자로 알려졌을 때, 해당 환자 전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거나 진료실의 공용 의료 기기를 철저히 세척한다. 환자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 보균자로 알려진 경우, 아래 환경 청소 및 소독 전략을 실천한다.
- 환경 표면과 재사용 가능한 기기, 특히 대변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물품과 자주 만지는 표면을 충분히 세척하고 소독하는 것을 보장한다.
- 포자 살균 효능이 있는 미국 환경보호국(EPA)에 등재된 소독약을 사용하여 제품 라벨의 설명에 따라 환경 표면을 세척하고 소독한다. 차아염소산염 성분의 소독약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의 전파를 예방하는 데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침술 실행의 질병 전염 예방 요약
필수 기본 원칙
- 침술, 그리고 관련 침술 및 동양의약 절차에서 정침법을 준수한다.
- 일회용 무균 침만 사용한다.
- 자혈침, 칠성침을 포함하여 피부로 들어가는 기기는 모두 일회용 무균 기기를 사용한다.
- 시침을 포함한 임상 절차 직전에, 앞 뒤 환자 치료하는 사이, 그리고 체액 또는 기타 잠재적 전염 물질과 접촉한 후 곧장 손을 씻는다.
- 항상 청결 지대를 설치하여 한의사와 환자 피부의 청결성과 침체 및 기타 의료 기기의 무균성을 보장한다.
- 사용한 침과 기타 침구는 즉시 적절한 침 폐기통에 격리시킨다.
- 활동성 병변이 있는 피부에 시침하거나 치료를 실행하지 않는다. 환자로부터 환자에게 옮기는 교차 감염 예방 – 필수 사항
- 침술 침, 자혈침, 칠성침을 포함하여 피부로 들어가는 침과 기타 기기는 모두 일회용 무균 침을 사용한다.
- 앞 뒤 환자를 치료하는 사이에 정확한 손씻기 기법을 활용한다.
- 진료대와 진료실 청소 절차를 설립하고 준수한다.
- 환자 사이 또는 환자와 침구사 사이에 일상적인 접촉(예를 들면 옷 접촉)은 염려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만약 환자에게 활동성 급성 감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환자 사이의 접촉을 제한하기 위한 처리 방침을 설립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환자로부터 침구사에게 옮기는 교차 감염 예방
- 사용한 침의 침체 또는 침첨 혹은 기타 의료 보건 침구를 만지지 않는다.
- 사용한 침구는 항상 즉시 적절한 폐기통에 격리시킨다.
- 마른 솜이나 거즈를 사용하여 혈 자리를 닫는다. 절대로 손가락을 사용하여 발침한 피부 부위를 덮어서는 안 된다.
- 한의사의 손에 있는 모든 피부 베인 곳을 가린다.
- B 형 간염 백신 접종을 고려한다.
한의사로부터 환자에게 옮기는 교차 감염 예방
- 손씻기는 필수불가결하다.
- 자침하기 전에 환자의 피부로 들어가는 침체를 만지지 않는다.
- 한의사에게 명확한 임상 감염이 있을 경우 환자 접촉을 피한다. 열이 있거나 객담성 기침이 있으면 환자를 치료하지 말아야 한다.
- 피부 베인 곳, 상처 또는 기타 병변 부위를 모두 가린다.
- 미국 직업 안전 위생국(OSHA)/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설명에 따라 매년 적절한 검사를 받는다.
고찰(Review)
의료 보건 장소에서 발생하는 감염을 모두 피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여러 전향적 연구 결과, 감염을 제한하여 전염병 발생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중요한 요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 감소에 영향을 주는 실행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손씻기를 통해 한의사의 양손이 항상 깨끗하도록 보장한다.
- 활동성 환부에 시침하지 않는 것, 그리고 적절한 피부 준비 등을 포함하여 시침 부위를 적절히 준비한다.
- 피부로 들어가는 침과 기타 기기는 무균 제품을 사용하고, 적절히 보관한다.
- 정침법.
- 사용한 침과 기타 기기의 세심한 관리 및 폐기.
- 깨끗한 작업 환경.(침술 및 동양의학 대학 평의회(CCAOM) www.ccaom.org © 2015 by the Council of Colleges of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2017 년 5 월 19 일에 검토 및 업데이트 되었음.)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참고 자료
1. Witt CM; Pach D; Brinkhaus B; Wruck K; Tag B; Mank S; Willich SN. Safety of acupuncture: results of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229,230 patients and introduction of a new medical information and consent form . Forsch Komplementarmed 2009 Apr;16(2):91-7 2009
2. Xu S, Wang L, Cooper E, Zhang M, Manheimer E, Berman B, Shen X, Lao L. Adverse Events of Acupuncture: A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 2013 http://dx.doi.org/10.1155/2013/581203. http://www.hindawi.com/journals/ecam/2013/581203/ Accessed May 2013
3. Lao L, Hamilton GR, Fu J, Berman BM.Is acupuncture safe? A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Altern Ther Health Med. 2003 Jan-Feb;9(1):72-83.
4. White A. A cumulative review of the range and incidence of significant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acupuncture. Acupunct Med 2004;22:122–133.
5. Ho EY, Ha NB, Ahmed A, Ayoub W, Daugherty T, Garcia G, Cooper A, Keeffe EB, Nguyen MH. Prospective study of risk factors for hepatitis C virus acquisition by Caucasian, Hispanic, and Asian American patients. J Viral Hepat. 2012 Feb;19(2):e105-11. doi: 10.1111/j.1365-2893.2011.01513.x. Epub 2011 Oct 7.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ABCs of Hepatitis. http://www.cdc.gov/hepatitis/resources/professionals/pdfs/abctable.pdf. August 2012. Accessed November 2012.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A. I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Atkinson W, Wolfe S, Hamborsky J, eds. 12th ed., second printing. Washington DC: Public Health Foundation, 2012.http://www.cdc.gov/vaccines/pubs/pinkbook/downloads/hepa.pdf. Accessed November 2012.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Hepatitis A FAQs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www.cdc.gov/hepatitis/hav/havfaq.htm#vaccine. Updated June 6, 2013. Accessed February 2015.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HIV/AIDS, Viral Hepatitis, STD and TB Prevention. Disease Burden from Viral Hepatitis A, B, and C in the United States. http://www.cdc.gov/hepatitis/PDFs/disease_burden.pdf. Accessed November 2012.
10. Ioannou GN. Hepatitis B virus in the United States: infection, exposure, and immunity rate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Ann Intern Med. 2011 Mar 1;154(5):319-28.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lert and Response (GAR) Hepatitis B. http://www.who.int/csr/disease/hepatitis/whocdscsrlyo20022/en/index3.html.
Accessed November 2012.
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Data and Statistic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http://www.cdc.gov/hepatitis/Statistics/. May 31, 2015. Accessed
December 2015.
13. Mast EE, Margolis HS, Fiore AE, Brink EW, Goldstein ST, Wang SA, Moyer LA, Bell BP, Alter MJ. A Comprehensive Immunization Strategy to Eliminate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the United States. MMWR December 23, 2005/ 54 (RR16); 1-23
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pdated CDC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epatitis B Virus–Infected Health-Care Providers and Students. Centers for Disease Control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rr6103a1.htm. July
6, 2012. Accessed November 2012.
15. Hughes J, Gerberding J, MargolisH, Jaffee H,Gayle H, Janssen R, Rest K, Hull R. Updated U.S. PublicHealth Serv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HBV, HCV and HIV and Recommendations for Postexposure Prophylaxis.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rr5011a1.htm.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MMWR June 29, 2001/50 (RR11); 1-42. Accessed November 2012.
16.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Fact Sheet: Hepatitis B Vaccination Protection.https://www.osha.gov/OshDoc/data_BloodborneFacts/bbfact05.pdf.
Published 2011. Accessed November 2012.
1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B. I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Atkinson W, Wolfe S, Hamborsky J, eds. 12th ed., second printing. Washington DC: Public Health Foundation, 2012. http://www.cdc.gov/vaccines/pubs/pinkbook/hepb.html. Accessed January 2013.
18. Hepatitis B Foundation. High Risk Groups. http://www.hepb.org/professionals/high-risk_groups.htm. Reviewed March 2014. Accessed February 2015.
19.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Preventing Needlestick injuries in the Healthcare Settings.
Publication No. 2000-108. http://www.cdc.gov/niosh/docs/2000-108/pdfs/2000-108.pdf. November 1999. Accessed November 2012.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Viral Hepatitis Surveillance – United States, 2010. http://www.cdc.gov/hepatitis/Statistics/2010Surveillance/Commentary.htm. Reviewed June 5, 2012. Accessed November 2012.
2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C FAQs for the Publi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http://www.cdc.gov/hepatitis/hcv/cfaq.htm. Reviewed October 27, 2015. Accessed December 2015.
2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C Virus and HIV Coinfectio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http://www.cdc.gov/idu/hepatitis/hepc_and_hiv_co.pdf.
September 2002. Accessed November 2012.
23. He Y,Zhang J,Zhong L,Chen X,Liu HM,Wan LK,Wang H,Li H,Tian L,Hu JL,Luo P,Wang L,Chen Y,Liu T,Liu SL,Lü WB.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hepatitisC virus infection among blood donors in Chengdu, China. J Med Virol.2011 Apr;83(4):616-21. doi: 10.1002/jmv.22010.
24. Jason, J. Community-acquired, non-occupational needlestick injuries treated in U.S.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Public Health, 2013, Vol. 35(3), pp.422-430
25. Chen SL, Morgan TR. The Natural History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Int J Med Sci 2006; 3(2):47-52. doi:10.7150/ijms.3.47.
26. Do A, Mittal Y, et al. Drug Authorization for Sofosbuvir/Ledipasvir (Harvoni) for Chronic HCV Infection in a Real-World Cohort: A New Barrier in the HCV Care Cascade. PLoS One.
2015; 10(8): e0135645. Published online 2015 Aug 27. doi: 10.1371/journal.pone.0135645. Accessed December 8, 2015.
2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D.http://www.cdc.gov/hepatitis/HDV/index.htm. Updated October 20, 2014 Accessed February 2015.
2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patitis E Inform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http://www.cdc.gov/hepatitis/HEV/index.htm. Update July 12, 2012 Accessed November 2012.
29. Mathers, CD, Loncar, D.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from 2002 to 2030. PLOS Medicine, Nov 28 2006 http://www.plosmedicine.org/article/info:doi/10.1371/journal.pmed.0030442. Accessed December 2012
3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HIV Surveillance report, 2012; vol. 24. Published 2014. http://www.cdc.gov/hiv/pdf/statistics_2012_HIV_Surveillance_Report_vol_24.pdf. Accessed February 2015. . Accessed November 2012
31. Panlilio AL, Cardo DM, Grohskopf LA, Heneine W., Ross CS. Updated U.S. Public Health Serv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HIV and Recommendations for Postexposure Prophylax. National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2005. Accessed November 2012
32. Avert HIV types, groups and subtypes.Avert.org. http://www.avert.org/hiv-types.htm.Accessed November 2012.
33. Beltrami EM, Williams IT, Shapiro CN, Chamberland ME.Risk and Management of Blood-Borne Infections in Health Care Workers. Clin Microbiol Rev. 2000 July; 13(3): 385–407. Availabl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8939/
3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 to Infection Prevention for Outpatient Settings: Minimum Expectations for Safe Care. http://www.cdc.gov/hai/settings/outpatient/outpatient-care-guidelines.html. Reviewed May 11, 2011. Accessed November 2012.
3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onitoring Selected National HIV Prevention and Care Objective by Using HIV Surveillance data – United States and 6 U.S. Dependent Areas – 2-1-. HIV Surveillance Supplement Report, Vol. 17, No. 3 (Part A). http://www.cdc.gov/hiv/library/reports/surveillance/2010/surveillance_Report_vol_17
_no_3.html. Published June 2012. Accessed November 2012.
3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urveillance of Occupationally Acquired HIV/AIDS in Healthcare Personnel, as of December 2010. http://www.cdc.gov/HAI/organisms/hiv/Surveillance-Occupationally-Acquired-HIV-AIDS.html. Reviewed May 23, 2011. Accessed November 2012.
37. Calfee D.,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The Mount Sinai Journal of Medicine 2001, 73, (6), 852-
856.
38. The White House Office of National AIDS Policy. Naitonal HIV/AIDS Strategy for the United States.,https://www.aids.gov/federal-resources/national-hiv-aids-strategy/nhas.pdf. Published July 2010. Accessed December 2012.
3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Living with HIV. In: HIV Basics. http://www.cdc.gov/hiv/basics/. Reviewed January 16, 2015, Accessed February 2015.
4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Health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Travel 2014. http://wwwnc.cdc.gov/travel/yellowbook/2014/chapter-3-infectious-diseases-related-to-travel/tuberculo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Accessed February 2015.
41. Jensen PA, Lambert LA, Iademarco MF, Ridzon R.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Health-Care Settings, 2005. MMWR 2005;54(No. RR-17). http://www.cdc.gov/mmwr/pdf/rr/rr5417.pdf. Accessed November 2012
4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act Sheet: Trends in Tuberculosis, 2014. http://www.cdc.gov/tb/publications/factsheets/statistics/TBTrends.htm. Updated
September 24, 2015. Accessed December 2015
43. Kim JK, Kim TY, Kim DH, Yoon MS. Three cases of primary inoculation tuberculosis as a result of illegal acupuncture. Ann Dermatol. 2010 Aug;22(3):341-5. doi:
10.5021/ad.2010.22.3.341. Epub 2010 Aug 5
4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Tuberculosis (TB) in Healthcare Settings. http://www.cdc.gov/HAI/organisms/tb.html. Updated February 7, 2011. Accessed
December 2012
45. Kramer, A., Schwebke, I., & Kampf, G. How long do nosocomial pathogens persist on inanimate surfaces? A systematic review. BMC Infectious Diseases 2006 Aug 16;6:130.
46. Washtenaw County Public Health.Fact Sheet: Impetigo.http://www.ewashtenaw.org/government/departments/public_health/disease_control/cd_fact_sheets/impetigo.pdf. Revised January 2013. Accessed January 2013.
4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Blood Safety:Diseases and Organisms. http://www.cdc.gov/bloodsafety/bbp/diseases_organisms.html. Reviewed August 1,
2011. Accessed December 2012.
48. Georg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Fact Sheet: Staph Skin Infections. http://health.state.ga.us/pdfs/epi/notifiable/Staph%20infection%20patient%20fact%20
sheet%20and%20instructions.pdf. Accessed December 2012
49. Barclay, Laurie, M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Needed for Acupuncture. Medscape Medical News Mar 19, 2010.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718856. Accessed January 2013
50. Han WS, Yoon YJ, Park CW, Park SH, Nam OO, Rhee I. Staphylococcus aureus pericardial abscess presenting as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after acupuncture therapy. Korean Circ J. 2012 Jul;42(7):501-3. doi: 10.4070/kcj.2012.42.7.501. Epub 2012 Jul 26.
51. Hsieh RL, Huang CH, Uen WC. Necrotizing fasciitis after acupuncture in a patient with aplastic anemia. J Altern Complement Med. 2011 Sep;17(9):871-4. doi:10.1089/acm.2010.0617.
52. Seeley EJ, Chambers HF. Diabetic ketoacidosis precipitated by Staphylococcus aureus abscess and bacteremia due to acupuncture: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Infect Dis. 2006 Jul 1;43(1):e6-8. Epub 2006 May 23.
53. Chen MH, Chen MH, Huang JS. Cervical subdural empyema following acupuncture. J Clin Neurosci. 2004 Nov;11(8):909-11.
54. Martins A, Cunha Mde L. Methicillin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aureus and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epidemiological and molecular aspects. Microbiol
Immunol. 2007;51(9):787-95.
55. Safdar N, Maki DG. The commonality of risk factors for nosocomial colonization and infection with antimicrobial-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nterococcus, gram-
negative bacilli, Clostridium difficile, and Candida. Ann Intern Med. 2002 Jun 4;136(11):834-44.
5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RSA Infections. Recognize and Prevention. 2012. http://www.cdc.gov/features/mrsainfections/. Accessed January 2013
5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RSA AND THE WORKPLAC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0. http://www.cdc.gov/niosh/topics/mrsa/. Accessed January 2013
58. Woo PC, Lau SK, Yuen KY. First repor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eptic arthritis complicating acupuncture: simple procedure resulting in most devastating outcome.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09 Jan;63(1):92-5. doi:
10.1016/j.diagmicrobio.2008.08.023. Epub 2008 Nov 5.
59. Murray RJ, et al. Outbreak of invasiv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ssociated with acupuncture and joint injection.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8 Sep;29(9):859-65. doi: 10.1086/590260.
6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roup A Streptococcal (GAS) Disease, GA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cdc.gov/groupastrep/about/faqs.html.
Reviewed May 1, 2014. Accessed February 2015.
61. Woo PCY, Lin AWC, Lau SKP, Yuen KY. Acupuncture transmitted infections BMJ 2010;340:c1268
6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iseases and Organisms in Healthcare Settings. http://www.cdc.gov/hai/organisms/organisms.html. 2010. Accessed January 2013.
63. Elston D.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skin infections: recognition and management. Am JClin Dermatol. 2009;10(5):281-5. doi: 10.2165/00128071-200910050-00001.
64. Castro-Silva AN, Freire AO, Grinbaum RS, Elmor de Araújo MR, Abensur H, Araújo MR, Romão JE Jr, Sampaio JL, Noronha IL. Cutaneous Mycobacterium haemophilum
infection in a kidney transplant recipient after acupuncture treatment. Transpl Infect Dis. 2011 Feb;13(1):33-7. doi: 10.1111/j.1399-3062.2010.00522.x.
65. Grange, J. M. (2007). Environmental mycobacteria. In Greenwood, David; Slack, Richard; Peitherer, John; & Barer, Mike (Eds.),Medical Microbiology (17th ed.), pp. 221-227. Elsevier
66. Guevara-Patiño A, Sandoval de Mora M, Farreras A, Rivera-Olivero I, Fermin D, de Waard JH. Soft tissue infection due to Mycobacterium fortuitum following acupunctur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Infect Dev Ctries. 2010 Sep 3;4(8):521-5.
67. Kim HS, Park IH, Seo SH, Han I, Cho HS. Multifocal infection of mycobacterium other than tuberculosis mimicking a soft tissue tumor of the extremity. Orthopedics. 2011 Dec 6;34(12):e952-5. doi: 10.3928/01477447-20111021-31
68. Lee WJ, Kang SM, Sung H, Won CH, Chang SE, Lee MW, Kim MN, Choi JH, Moon KC.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s of the skin: a retrospective study of 29 cases. J Dermatol. 2010 Nov;37(11):965-72. doi: 10.1111/j.1346-8138.2010.00960.x. Epub 2010 Sep 6.
69. Song JY, Sohn JW, Jeong HW, Cheong HJ, Kim WJ, Kim MJ. An outbreak of post-acupuncture cutaneous infection due to Mycobacterium abscessus. BMC Infect Dis. 2006 Jan 13;6:6.
7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enital (HSV) Infection. http://www2a.cdc.gov/stdtraining/self-study/herpes/default.htm. March 2014. Accessed February 2015.
71.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Herpes Simplex Virus Vectors. http://www.umdnj.edu/eohssweb/documents/HerpesVirusSOPFinal5.2011.pdf.Feb 2011.Accessed December 2012.
72. Pan H. [Observation of curative effect of herpes zoster treated with acupuncture based on syndrome differentiation combined with pricking and cupping] Zhongguo Zhen Jiu. 2011 Oct;31(10):901-4.
73. Takayama Y, Itoi M, Hamahashi T, Tsukamoto N, Mori K, Morishita D, Wada K, Amagai T. Moxibustion activates host defense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type I through
augmentation of cytokine production. Microbiol Immunol. 2010 Sep;54(9):551-7. doi:10.1111/j.1348-0421.2010.00250.x.
74. Liao SJ, Liao TA. Acupuncture treatment for herpes simplex infections. A clinical case report. Acupunct Electrother Res. 1991;16(3-4):135-42.
75. Jung YJ, Kim JH, Lee HJ, Bak H, Hong SP, Jeon SY, Ahn SK. A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secondary to acupuncture and cupping. Ann Dermatol. 2011 Feb;23(1):67-9. doi: 10.5021/ad.2011.23.1.67. Epub 2011 Feb 28.
76. Pray, W. Steven, PhD, DPh Preventing and Treating Cold Sores.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557162. US Pharmacist. 2007;32(4):16-23. Accessed February 2015.
77. Browning WD, McCarthy JP. A case series: herpes simplex virus as an occupational hazard. J Esthet Restor Dent. 2012 Feb;24(1):61-6. doi: 10.1111/j.1708-8240.2011.00469.x. Epub 2011 Aug 30
7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evention Strategies for Seasonal Influenza in Healthcare Settings. http://www.cdc.gov/flu/professionals/infectioncontrol/healthcaresettings.htm. Reviewed January 9, 2013. Accessed January 2013.
79. Mukherjee, Dhritiman V. ; Cohen, Bevin ; Bovino, Mary Ellen ; Desai, Shailesh ; Whittier, Susan ; Larson, Elaine L. Survival of influenza virus on hands and fomites in community and laboratory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2, Vol.40(7), pp.590-
80. Tan D. Treatment of fever due to exopathic wind-cold by rapid acupuncture. J Tradit Chin Med. 1992 Dec;12(4):267-71.
81. Lou BD et al. [Impacts on repeated common cold for the adults with different constitutions treated by acupoint application in the dog days and the three nine-day periods after the winter solstice] Zhongguo Zhen Jiu. 2012 Nov;32(11):966-70.
8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orovirus in Healthcare Settings. http://www.cdc.gov/HAI/organisms/norovirus.html. Reviewed December 2010. Accessed January 2013
83. Hall AJ, Vinje J, Lopman B. Park GW, Yen C, Gregoricus N, Parashar U. Updated Norovirus Outbreak Management and Disease Prevention Guidelines. MMWR March 4, 2011 /60(RR03);1-15
8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event the Spread of Norovirus. http://www.cdc.gov/features/norovirus/. Reviewed November 20, 2014. Accessed
February 2015.
85. Liu P, Yuen Y, Hsiao HM, Jaykus LA, Moe C. Effectiveness of liquid soap and hand sanitizer against Norwalk virus on contaminated hands. Appl Environ Microbiol 2010;76:394–9. 8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Clostridium difficile for Healthcare Providers.
http://www.cdc.gov/HAI/organisms/cdiff/Cdiff_faqs_HCP.html. Updated March 6, 2012. Accessed March 2013.
87. Gould Carolyn and L Clifford McDonald. Bench-to-bedside review: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Critical Care 2008, 12:203, http://ccforum.com/content/12/1/203. Accessed
March 2013
8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eventing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s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mm6109a3.htm?cid=mm6109a3_w. March 9, 2012 / 61(09);157-162. Accessed March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