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부작용 – 문헌고찰
현대 미국의 침술 및 동양의학 실행에 있어서, 쑥뜸은 침술 실행을 보완하는 방편으로 가장 자주 활용된다. 쑥뜸은 다양한 모양의 뜸쑥을 사용하여 피부의 혈 자리를 따뜻하게 데우는 절차이다. 쑥뜸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초는 애엽(Artemisia vulgaris), 즉 쑥이다. 한의사는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쑥뜸을 시술한다.
예를 들어 쑥가루를 포함한 다양한 모양의 쑥, 여러 가지 크기의 쑥봉, 그리고 보다 흔히 사용되는 쑥 두루마리/moxa roll(전통식 및 ‘무연’식) 등. 침구사는 온구, 원통형 용기(cylinder)를 이용한 온구, 그리고 흉터를 남기는 쑥뜸(특정 사례)에 쑥봉이나 막대쑥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한의사는 침술과 쑥뜸 요법을 병용하여 광범위한 장애를 치료한다. 일반적인 개요는 ‘중국 침술과 쑥뜸’(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교본에서 찾아볼 수 있다. (1) 쑥뜸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연구 결과도 쑥뜸이 근육과 골격의 문제, 위장 증상, 부인과 장애, 둔위 태위, 뇌졸증 재활 치료, 암 증상에 대한 보완 관리, 전염병 치료 등 다양한 장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
면허증이 있는 한의사는 각종 쑥뜸 요법 사용에 대해 아주 많은 훈련을 받았다. 직접 뜸과 간접 뜸 안전에 관한 몇 개의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ies)가 있다.
2010 년에, Park 등은(2) 쑥뜸과 연관된 부작용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고자 의학 문헌을 고찰하였다. 데이터는 한정되었지만, 그들이 고찰한 임상 시험은 ‘피부의 발적(rubefaction), 물집, 가려운 느낌, 연기로 인한 불편함, 일반적인 피로, 소화불량, 플레어업(flare-ups), 두통, 화상’ 등을 부작용이라고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그들의 결론은 하늬사는 화상, 알레르기 반응, 그리고 감염 등 뜸 요법의 부작용을 처리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고. 2013 년의 보고서에서, Xu 등은(3) 쑥뜸과 연관된 부작용은 주로 멍, 화상, 그리고 세포염(cellulities)이라고 보고하였다.
영어 문헌에는 쑥뜸 요법만 실시한 전향적 연구 논문이 아직 없다. 1999 년에 일본에서 실시한 연구(4)는 침술 자침과 연관된 부작용과 구체적으로 쑥뜸과 연관된 부작용을 분별하는 데 실패했다. 해당 연구의 결론은 “표준 실행에서는 위급하거나 심각한 부작용이 없다”라는 것이었다.
한의사는 열 요법 유형과 화상의 연관성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뜸 요법과 연관된 감염 가능성, 메스꺼움, 알레르기 등은 비교적 덜 분명하다.
감염은 피부의 정상 기능과 피하장벽을 파괴하는 화상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한 건의 사례가 흉터를 남기는 뜸 요법과 연관되었으며, 해당 사례에서는 당뇨병을 앓고 있던 여성 환자에게 반복적인 직접 뜸 요법을 실시한 후에 경막외(경추) 농양, 세포염(cellulitis), 그리고 골수염이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5)
각종 요법에서 화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당뇨환자에게 더 흔하다. (6) 쑥뜸과 연관된 감염은 자침 내지 흉터 요법 등 뜸쑥 과 같이 실행한 치료 방법의 결과일 수도 있다. (2)
뜸쑥 연기에 대한 알레르기나 뜸쑥 연기에 들은 보르네올(borneol)과 같은 휘발성 물질에 반응하면 메스꺼움 내지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정상적인 작업 조건에서, [뜸쑥 연기와 연관된] 휘발성 물질이나 일산화탄소는 안전에 위험을 주지 않는다.”(6) 적절한 통풍을 실시하면 뜸쑥 연기의 독성은 아마도 최저일 것이다. (7,8)
중국 의학 문헌에서 보고한 쑥뜸 기법과 연관된 부작용은 매우 적다. 일부 중국 문헌에서 보고한 쑥뜸 연관 부작용은 주로 피부 화상, 그리고 쑥뜸 실행과 연관된 피부 알레르기 등 국소 부작용을 설명하였다. (9)
건강을 가늠하는 화학적 매개변수에 대한 쓱뜸의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는 화상과 같은 부작용을 제외하면, 쑥뜸은 매우 안전한 절차라는 것을 제시한다. 2011 년에 발표된 연구 보고에서, 간접 뜸은 일반적으로 매우 안전하다고 연구원들은 결론지었다. (10)
한 건의 간염 사례가 뜸쑥 사용과 연관되었다고 잘못 보고한 의학 문헌이 있다. 해당 보고는 환자가 “C 형 간염에 걸린 것은 아마도 방혈(scarification)을 실시할 때 감염된 칼을 공용하거나, 침을 사용한 쑥뜸 요법을 통해서 . . .”라고 서술하였다. (11)
직접 뜸 또는 흉터가 생기는 뜸 요법이 금기인 것은 얼굴(화상 가능성이 있고 연기가 눈이나 코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젖꼭지와 생식기(민감하기 때문에), 그리고 머린 선 이내(머리카락이 탈 수 있으므로) 등 신체의 예민한 부위다.
O’Connor 와 Bensky 는 ‘침술: 종합 교본’(Acupuncture: A Comprehensive Text)(12)에서, 머리와 얼굴에 뜸 요법을 피할 것을 강조하면서, 고대 교본에서는 다음 혈 자리에 쑥뜸을 실시할 때 조심하거나 금하도록 권고하였다고 보고했다: DU 23 (상성[上星]), ST 1 (승읍[承泣]), ST 2 (사백[四白]), ST 8 (두유[頭維]), BL 1 (정명[睛明]), BL 2 (착죽[攢竹]), SJ 23 (사죽공[絲竹空]), LI 19 (화료[和髎]), LI 20 (영향[迎香]), 그리고 ST 9 (인영[人迎]).
쑥뜸 부작용 예방하기
화상
쑥뜸을 시술하는 한의사는 환자에게 화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흉터가 남는 쑥뜸 요법에 예외), 사람마다 열에 대한 내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신경 부상, 당뇨병, 마비를 일으키는 병리적 문제로 인해 신경의 민감성이 저하된 사람들은 쉽게 화상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환자를 치료할 때 유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침 위에서 간접 뜸 요법을 실시할 때, 반드시 환자의 피부를 떨어지는 뜸쑥이나 재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직접 뜸이나 흉터 생성 기법을 사용할 경우, 한의사는 해당 기법을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해당 기법을 실시하기 전에 환자에게 고지에 입각한 동의서에 서명하라고 한다.
환자가 화상을 당하는 경우, 가장 큰 염려는 감염이다. 화상 정도가 아주 적은 1 도 화상일 때, 현행 처리 방법은 화상 부위를 찬물로 씻은 후(얼음 사용 절대 금지), 화상 부위를 무균 거즈로 덮고 의료 테이프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화상용 크림도 포장의 설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화상 정도가 심하거나 감염 염려가 있는 경우, 환자를 의사에게 보내야 한다.
적절한 예방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침구사도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안전한 뜸 실행에 관한 내용은 제 III 장을 참고한다.
쑥뜸 화상 예방 안전 지침
필수
-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물어 환자가 통증에 반응하거나 열을 느끼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신경 병증이나 기타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 뜸 요법을 시술하는 동안 한의사는 반드시 진료실에 있어야 한다.
- 얼굴, 머리 선 이내, 매우 예민한 부위에 직접 뜸을 하지 않는다.
- 침 상단에 쑥뜸을 사용하는 경우, 재가 떨어질 것을 예상하고 환자를 떨어지는 재로부터 보호한다.
강력히 권고
- 한의사는 뜸 요법을 실시할 때 여러 가지 조작을 동시에 하려고 시도하지 말아야 한다.
- 한의사는 뜸 요법을 실시할 때, 환자의 열에 대한 느낌에만 의지하지 않고 환자의 피부 온도와 뜸쑥에 의해 생성된 열의 정도를 감시해야 한다.
권고-뜸쑥을 사용하게 될 진료실에는 물과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쑥뜸 화상으로 인한 이차 감염
쑥뜸과 연관된 감염은 화상 관련 이차 부작용이다. 화상 예방은 필수적이다. 화상을 당한 피부 범위가 1 cm 이상일 경우, 침구사는 피부 손상 정도를 가늠하고 환자를 의사에게 보내 치료를 받게 할지 고려해야 한다.
쑥뜸 화상으로 인한 이차 감염 예방 안전 지침
필수
- 뜸 화상을 예방한다.
- 치료 기간 중 환자가 편안한지, 그리고 환자의 피부 반응에 유의하면 2 도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2 도 화상은 조직 손사상의 깊이로 인해 감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 잠재적 전염 물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화상을 치료하기 전과 후에 손 위생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 즉시 흐르는 찬물로 화상 부위를 씻는다.
강력히 권고-뜸 요법으로 인해 발생한 화상의 지름과 위치를 측정하고 환자 차트에 기록한다.
권고-손상 정도를 가늠하고 필요한 경우 의사에게 환자 치료를 의뢰한다.
뜸쑥 연기에 대한 메스꺼음 또는 기타 부작용
침구사와 환자는 뜸쑥 연기 흡입에 반응이 있을 수 있다. 이런 반응은 대개 일시적이며, 진료실에 적절한 통풍이 있으면 최소화할 수 있다.
뜸쑥 연기에 대한 부작용 예방 안전 지침
필수-뜸 요법을 실시하는 진료실에는 반드시 적절한 통풍이 있어야 한다.
강력히 권고-침구사는 뜸 요법을 실시할 때, HEPA 필터를 포함한 공기 여과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권고-환자에게 심한 천식이 있거나 연기에 반응한 적이 있을 경우, 뜸쑥을 태우기는 것이 아닌 다른 치료 옵션을 고려한다.
기타 열 요법
한의사는 적외선 및 TDP (특정 전자기 스펙트럼) 램프를 사용하여 환자를 따뜻하게 하거나 환자 몸의 특정 부위를 따뜻하게 한다. TDP 램프는 조절 가능한 팔과 거기에 연결된 가열 부분으로 구성되며, 환자의 몸 위에 두어 피부를 따뜻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램프의 가열 부분은 환자에게 화상을 일으킬 수 있을 만큼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TDP 램프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램프를 감시해야 한다. 그리고 가열 부분이 움직이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보고된 바에 의하면, 열 램프는 치료 과정에서 서서히 아래로 내려가서 따뜻하게 비춘 부위에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어떠한 장치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 중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마모는 열 램프에 기계적 고장이 일어나게 해서 열 램프의 암이 환자의 피부 근처 또는 피부에 떨어져서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TDP 램프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하자가 없는지 유심히 살펴야 한다. 하자가 있거나 고장난 가열 장치(TDP 램프 포함)는 클리닉에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화상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가 화상 부위를 평가해야 한다. 아직 침술 및 동양의학 실행에서 열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나 기타 가열 요법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전향적 연구는 없다. 암 치료를 위해 열 요법을 실시한 한 가지 연구에서는 ‘열 병변’이 열 요법의 부작용이라고 확인하였다. (13)
열은 생물학적 및 분자학적 변화를 포함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피부에 영향을 줄 수 있다(임상 실습에서 간헐적으로 열을 가할 경우 이러한 영향은 매우 적게 나타났지만).(14) 열 램프와 기타 열 요법의 현저한 부작용은 대부분 화상, 화상의 이차적 영향(감염), 그리고 화재 발생 가능성으로 제한된다.
위에 설명된 일반적인 쑥뜸 실행에 관한 정보를 참고하여 이러한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한다. 한국에서 실시되는 치료 방법으로 인한 화상 발생 빈도를 조사한 후향적 연구에서, 핫팩(hot packs)으로 인한 화상 발생 가능성은 쑥뜸보다 2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치료 시 화상을 일으킨 기타 열 요법에는 전기 방석과 방사열/열 램프 사용이 포함되었다. (15)
쑥뜸이 아닌 기타 열 요법에 대한 안전 지침
필수
- 열 램프는 갓난아기, 어린이, 행위 능력이 없는 사람, 수면 중인 사람, 또는 의식불명인 사람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
- 물, 습기, 액체 또는 금속 물품이 램프와 접촉하는 것을 예방한다. 습한 환경에서 열 램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 램프의 어느 부분에 파손이 있으면 사용하지 않는다. 램프의 어느 부분도 부속 장치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열 램프를 열에 대한 반응이 저하된 환자에게 사용할 때, 반드시 처음부터 끝까지 사용한 열의 정도를 감시해야 한다.
강력히 권고
- 가연성 물질(쓰레기, 종이)이 있거나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건조해 지는 물질과 가까운 곳에서 열 램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탐문하여 환자의 통증 반응이나 열을 감지하는 능력을 제한하는 당뇨병, 신경 병증, 혹은 기타 질병이 있는지 확인한다.
- 지나치게 민감한 피부 위나 혈액순환이 안 좋은 사람에게 열 램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열 램프에서 발생한 열은 충분히 뜨거워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
- 한의사는 반드시 열 요법을 면밀히 감시해야 한다.
권고
- 환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확실하지 않을 경우, 당뇨병 혹은 신경 병증이 있는 환자의 팔 다리에 열 램프를 사용하기 전에 의사의 의견을 물어본다.
- 환자에게 열을 느끼는 능력이 저하되는 상태가 있는 경우, 침구사는 열 램프로 치료하는 부위의 환자 피부 온도를 주의깊게 감시해야 한다. (침술 및 동양의학 대학 평의회(CCAOM) www.ccaom.org © 2015 by the Council of Colleges of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2017 년 5 월 19 일에 검토 및 업데이트 되었음.)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참고 자료
1. Cheng Xinnong (chief editor). 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oreign Languages Press, Beijing; 1987, pp. 363-369.
2. Park JE, Lee SS, Lee MS, Choi SM, Ernst E. Adverse events of moxibustion: a systematic review. Complement Ther Med. 2010 Oct;18(5):215-23. doi:
10.1016/j.ctim.2010.07.001. Epub 2010 Aug 19.
3. Xu S, Wang L, Cooper E, Zhang M, Manheimer E, Berman B, Shen X, Lao L. Adverse Events of Acupuncture: A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 2013 http://dx.doi.org/10.1155/2013/581203.
4. Yamashita H, Tsukayama H, Tanno Y, Nishijo K. Adverse events i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a six-year survey at a national clinic in Japan. J Altern
Complement Med. 1999 Jun;5(3):229-36.
5. Lee KW, Han SJ, Kim DJ, Lee Mj. Spinal epidural abscess associated with moxibustion-related infection of the finger. J Spinal Cord Med. 2008;31(3):319-23.
6. Mun JH, Jeon JH, Jung YJ et al.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ontact burns from therapeutic modalities. Ann Rehabil Med. 2012 Oct;36(5):688-95. doi: 10.5535/arm.2012.36.5.688. Epub 2012 Oct 31
7. Wheeler J, Coppock B, Chen C. Does the burning of moxa (Artemisia vulgari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nstitute a health hazard? Acupunct Med. 2009 Mar;27(1):16-20.
8. Hatsukari I, Hitosugi N, Ohno R, et al. Partial purification of cytotoxic substances from moxa extract. Anticancer Res. 2002 Sep-Oct;22(5):2777-82.
9. Son CG. Safety of 4-week indirect-moxibustion therapy at CV4 and CV8. J Acupunct Meridian Stud. 2011 Dec;4(4):262-5. doi: 10.1016/j.jams.2011.09.018. Epub 2011 Oct 19.
10. B. Zhao, G. Litscher, J. Li, L. Wang, Y. Cui, C. Huang and P. Liu, “Effects of Moxa (Artemisia Vulgaris) Smoke Inhalation on Heart Rate and Its Variability,” Chinese Medicine, Vol. 2 No. 2, 2011, pp. 53-57. doi: 10.4236/cm.2011.22010.
11. Bardia A, Williamson EE, Bauer BA. Scarring moxibustion and religious scarification resulting in hepatitis C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Lancet. 2006 May 27;367(9524):1790.
12. O’Connor J and Bensky D (translators). Acupuncture: A Comprehensive Text. Eastland Press, Seattle, WA. 1981.
13. Wehner H, von Ardenne A; Kaltofen S. Whole-body hyperthermia with water-filtered infrared radiation: technical-physical aspects and clinical experience. Int J Hyperthermia; Volume: 17, Issue: 1, Pages: 19-30
14. Schieke SM, Schroeder P, Krutmann J. Cutaneous effects of infrared radiation: from clinical observations to molecular response mechanisms. Photodermatology. Volume 19, Issue 5, pages 228–234, October 2003
15. Mun JH, Jeon JH, Jung YJ et al.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ontact burns from therapeutic modalities. Ann Rehabil Med. 2012 Oct;36(5):688-95. doi: 10.5535/arm.2012.36.5.688. Epub 2012 Oct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