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부작용 – 문헌고찰
부항 요법은 한의사나 기타 의료 보건 종사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치료 절차이다. 부항요법은 부분 진공을 사용하여 조직이 부풀어서 부항 컵 안에 잠기도록 한다. 부항 요법은 의도적으로 둥글거나 ‘동전’ 모양의 치료용 점상 출혈과 반상 출혈(ecchymosis)이 생기도록 한다. (1)
부항 요법은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각 유형의 안전 방침은 각기 다르다. 이 세 가지 유형은 불 부항 요법, 흡입 부항 요법, 그리고 습(wet) 부항 요법(자혈침으로 피가 나게 한 후 부항컵을 얹는 요법)이다. 불 부항 요법과 흡입 부항 요법은 마른 부항 요법의 변형이다.
마른 부항 요법과 습 부항 요법은 전총 동양 의학, 걸프만 아랍국가의 전통 의학(hijamah),(2) 유럽국가, 그리고 초기 서양 의학과 서양 의학의 초기 그리스, 로마, 이집트 의학 계통 등에 사용되었다. 현대 클리닉에서 사용되는 부항 컵은 유리, 플라스틱 혹은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진다.
한의사는 부항 요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질병 상태, 예를 들어, 급성 내지 만성 통증, 경미하거나 심한 감기, 독감, 열, 그리고 천식, 기관지염, 페기종과 같은 호흡기 질환, 기능성 내장 기관 문제, 근육 및 뼈 문제, 그리고 반복되는 혹은 만성적 고정된 통증을 치료한다. (1,3)
“1950 년부터…부항 요법은 중국 전역과 세계 곳곳의 병원에서 정식 치료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4)
Xue 등은(5) 12 년 이상의 기간 동안 부항 요법과 연관된 대부분의 부작용은 매우 경미하였으며, 주로 켈로이드 흉터, 화상, 수포(bullae)였다고 보고하였다. (1,3,6) 하지만 부항요법으로 인한 부작용, 심각한 부작용, 그리고 부주의로 인한 실수 등은 문헌에 보고되었으며, 이는 흔하지 않지만 반드시 예방해야 하고 예방할 수 있다.
불 부항 요법
문헌에 보고된 불 부항 요법으로 인한 화상은 피할 수 있는 의료 과오/부작용이다. (6-11) 불 부항 요법 절차에서는 타고 있는 솜이나 불을 붙인 알코올 스왑을 신속히 유리 부항 컵안에 넣어서 컵 안의 공기를 데운다. 그런 다음 공기가 차거워지면서 부분 진공이 생긴다.
유리는 불 부항 요법 절차에서 생기는 열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 요법에서는 유리 부항 컵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부항 컵은 환자의 피부에 2-10 분 정도 두지만 20 분까지 두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피부 점상 출혈 및 반상 출혈로 인한 일시적인 빨강 흔적이 남게 된다. 피부가 온전하지 않거나, 방금 자침한 경우, 국소 뾰루지가 있거나 기타 국소 피부병이 있는 경우, 불 부항 요법으로 인해 혈액이나 액체가 부항 컵 안으로 의도치 않게 흘러들어가는 결과가 일어날 수 있다.
화상은 불꽃이 부항 컵 입구와 너무 가까워서 컵의 테두리가 너무 뜨겁거나, 타고 있는 재료를 부항 컵 안에 넣은 후 뜨거운 재료가 컵 안에 있는 상태에서 컵을 피부에 얹어 그 재료가 피부로 떨어져서 발생할 수 있다. 전통 한의학에서는 후자를 사용하지만 현대 부항 요법에서는 해당 절차의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
흡입 부항 요법
흡입 부항 요법은 플라스틱 내지 실리콘 부항 컵을 사용하며, 컵 상단에 수작동 펌프로 연결괸 밸브가 있다. 부항 컵을 피부에 얹은 후 수작동 펌프로 컵 안의 공기를 일부분 빼내서 흡입 상태를 만든다.
일반적으로, 부항 컵은 환자의 피부에 2-10 분 정도 두지만 20 분까지 두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피부 점상 출혈 및 반상 출혈로 인한 일시적인 빨강 흔적이 남게 된다. 피부가 온전하지 않거나, 방금 자침한 경우, 국소 뾰루지가 있거나 기타 국소 피부병이 있는 경우, 불 부항 요법으로 인해 혈액이나 액체가 부항 컵 안으로 의도치 않게 흘러들어가는 결과가 일어날 수 있다.
습(Wet) 부항 요법
습 부항 요법에서는, 자혈침이나 무균 침(예: 매화침)으로 피부를 찌른 다음 부항 컵을 피부에 얹는다. 습 부항 요법은 흡입 부항 컵이나 불 부항 컵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기법은 피와 기타 잠재적 전염 물질을 빼기 때문에 혈행성 병원체에 노출되고 혈행성 병원체를 전파하는 위험이 높다.
기타 부항 요법 절차
한의사는 부항 컵을 옮기거나 당기는 부항 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때 한의사는 윤활제를 바른 피부 부위, 경락, 근육 섬유를 따라 부항 컵을 천천히 옮긴다다.
빈 부항 요법(empty cupping)은 흡입 후 지체하지 않고 곧장 부항 컵을 떼어내는 방법이다. 침 부항요법(needle cupping)은 침구사가 침을 먼저 찌른 후 침 위에 부항 컵을 얹는 방법이다. 첫째 및 둘째 기법의 위험은 매우 제한적이다. 셋째 기법에서는 부항 요법보다 침으로 인한 위험이 더 크다.
침 부항 요법을 시술할 때, 부항 요법이 조직을 압착하여 침이 더 깊이 들어가도록 하거나, 조직 압착으로 인해 피하 조직이 위로 당겨져서 기흉이나 기타 내장 기관이 관통되는 위험이 높아진다(흉부에서 이 기법을 실시할 경우). 몸의 다른 부위에서 침 부항 요법을 시술할 경우, 중추신경 내지 말초신경이나 혈관에 위험할 수 있다. 침 부항 요법은 조심해서 시술하고 비스듬한 각도로 자침해야 한다.
부항 요법 부작용
피부 반응: 어떤 부항 요법의 반응은 치료 과정의 일부분일 수 있지만 다른 의료 보건 종사자나 관찰자에 의해 ‘상해’, (12) 심지어 어린이 학대로 해석될 수 있다. (13, 14) 이러한 반응에는 부기, 점상 출혈, 반상 출혈, 그리고 지속적인 과색소침착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반응은 몇 일에서 2 주 정도면 사라진다. (1)
부항 컵을 피부에 두는 적절한 시간, 이상적인 진공 흡입량 등에 관한 기준을 확립한 연구는 아직 없다. 과도한 부항 요법 시간이나 흡입량은 환자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오래 동안 지속되는 멍이나 과색소침착을 일으킬 수 있다.
수포(bullae)라고 일컫는 액체가 들은 물집은 부항 요법에서 흔히 발생한다. (14-17) 물집에 피가 섞여 있으면 출혈성 수포라고 하는데 비교적 덜 흔하게 발생하며, 항응혈 약품이나 피를 묽게하는 건강보충식품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더 자주 일어난다. 출혈성 수포는 최장 2 주가 소요되는 치유 과정에서 딱지(crusting scabs)가 생긴다. (18)
피부 장벽이 열린 상태로 있으면 노출과 감염 위험이 있다. 의도하지 않은 흡입 수포가 생긴 경우, 환자에게 항생제 크림을 발라서 덮고, 필요한 경우 수포가 아물 때까지 청결을 유지하라고 알려준다.
부항 요법 관련 문헌에서 보고된 기타 흔하지 않은 피부 병변은 지방층염(panniculitis)과 켈로이드성 반흔이다. 인위적(자초한) 지방층염(지방층 염증)은 기계적, 물리적 혹은 화학적 외상으로 생길 수 있다. (19) 지방층염은 붉은 결절, 부항 컵을 얹었던 동그란 부위 안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난다. 염증 부위는 보통 확산되지 않으며, 6 주 이내에 깊은 멍처럼 서서히 사라진다. 하지만 감염되어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16)
환자에게 붉은 피하 결절이 생기는 경우, 부항 요법을 계속하지 말고 의사에게 치료를 의뢰한다. 관련 문헌에 보고된 두 편의 논문에서는 건선(psoriasis) 환자에게 쾨브너 현상(Köebner phenomenon)을 일으킬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20, 21) 해당 논문은 표면에 압력이나 외상으로 인해 건선 병변이 나타난 것을 서술하였다. 환자에게 건성 병력이 있거나 현재 건성이 있는 경우, 너무 공격적인 부항 요법을 시술하지 않거나 부항 요법을 아예 시술하지 않는다.
문헌에는 기침을 치료하기 위해 부항 요법을 받은 환자의 위쪽 등에 켈로이드성 반흔이 생긴 사례 한 건이 보고되었다. (22) 해당 환자는 치료 전에 켈로이드성 반흔이 없었다. 따라서 이는 예기치 않는 부작용이다. 켈로이드성 반흔이 있는 환자에게 부항 요법이나 강력한 부항 요법을 시술하지 않도록 권고한다.
심장혈관: 부항 요법과 연관된 부작용에는 혈액과 심장이 연루된다.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한국의 철 결핍빈혈(IDA) 남성 사례는 습 부항 요법과 연관이 있음을 제시한다(하지만 확립되지 않았음). (23)
Lee 등은(24) 다른 원인은 모두 배제된 6 개월 동안 과도한 습 부항 요법으로 인해 IDA 가 발생한 사례 한 건을 보고하였다. 해당 환자는 습 부항 요법을 멈추고 철분을 보충한 결과 회복되었다. Sohn 등은(25) 10 년 이상 혼자서 습 부항 요법을 시행한 여성에게 심각한 철결핍빈혈과 심장 확대(심장 비대)가 발생하였다고 보고했다. 해당 여성이 습 부항 요법을 멈추고 처방약과 철분을 복용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자 증상이 회복되었다. 환자의 심장 증상은 3 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Kim 등은(26) 반복된 마른 부항 요법으로 인해 빈혈이 발생한 사례 한 건을 보고하였으나, 지속적인 과색소침착 이외의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27) 학자들은 또한 환자가 요통으로 인해 이미 의사의 자문을 구한 상태에서, 전통적 부항 요법이 치료를 지연시켰다고 주장하였다.
부항 요법으로 인해 58 세의 여성에게 아주 드문 합병증(후천성 혈우병 A)이 발생하였다. (28) 해당 합병증에서 나타난 증상은 광범위한 압착성 멍(bruising)이며, 부항 요법 후 이틀만에 왼쪽 허벅지에 계류 구획 증후군(pending compartment syndrome)을 일으켜 결국 환자는 입원하게 되었다. 후천성 혈우병 A 는 매우 드물지만 자기면역성 질환, 알레르기성 약물반응, 악성 종양, 그리고 우울증과 불안감, 위험이 높은 임신과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다. 본 지침서의 목적 상 유의할 점은, 부항 요법을 실시한 부위는 환자의 허벅지와 팔 안쪽이었다는 사실이다.
혈관미주신경 실신(Vasovagal syncope)은 아주 드문 부항 요법의 부작용으로서, (16) 실신 위험을 높이는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당뇨병, 신장 질환, 발작 장애, 금식, 저혈당) 자주 발생한다.
한 가지 흥미있는 사례는 부항 요법을 실시하고 14 시간 뒤에 뇌졸증이 발생한 것으로서, 그 원인은 부항 요법을 실시한 위치의 혈 자리인 것으로 판명됐다. 이 사례에서, 부항 컵은 동맥과 가까운 목 부위에 얹혀졌다. 이 때 환자에게 이미 부분 동맥 폐쇄증이 있다는 점을 파악하지 못했다. 부항 요법에 사용된 힘이 혈압을 높여 출혈이나 뇌졸증을 일으켰거나(가능성 최저), 동맥 내막에 금이 가거나, 충분한 국소 압력이 생성되어 폐쇄 부위의 ‘약한 벽’을 파괴하였을 것이라도 추측된다. (29)
동맥과 인접한 목 부위에 부항 컵을 얹을 때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감염
감염은 부항 요법의 부작용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Lee 등은(30) 침술과 부항 요법으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경구 항생제 치료로 치유된 경막외 농양(C1-C3) 사례 한 건을 보고하였다.
Jung 등은(31) 침술과 부항 요법으로 인해 발생한 단순 포진 사례 한 건을 보고하였다. 해당 사례에서, 단순 포진은 둥근 모양으로 부항 컵의 테두리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침술을 시술한 부위에서 발생하였다.
환자는 피부 단순 포진 바이러스(HSV)에 반복적으로 감염되는 개인 병력이나 가족력이 없었다. HSV 는 파손된 피부를 통해서 전파된다. 전통적 부항 요법은 수혈 및 입원과 함께 동북부 이란에서 사람 T 세포 친화 바이러스 I(HTLV-I) 감염률이 높은 위험 요인이다. (32)
Turlay 등은(33) 방혈 습 부항 요법(scarification wet cupping)으로 인한 허리 농양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은 부항 컵이 혈행성 병원체를 전파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Hon 등은(34) 부항 요법으로 인해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되어 입원하게된 11 세 여아 사례를 보고하였다. 환자는 만성 습진으로 치료를 받고 있던 중이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의 군락 형성은 만성 습진 환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부항 요법 부작용 예방하기
화상: 화상은 오직 불 부항 요법과 연관되었다. 화염 사용 시 일반 안전 규범을 준수해야 한다.
불 부항 요법 시 화상 예방 안전 지침
필수-한의사는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탐문하여 환자의 통증 반응을 제한하는 당뇨병, 신경 병증, 혹은 기타 질병이 있는지 확인한다. 불 부항 요법을 사용할 때 환자를 면밀히 가늠한다.
강력히 권고
- 타고 있는 물질은 부항 컵의 테두리 근처가 아니라 부항 컵의 제일 깊은 곳에 넣어야 한다.
- 부항 컵을 환자의 피부에 얹기 전에 타고 있는 재료를 먼저 꺼낸다.
- 절대로 타고 있는 재료를 부항 컵 안에 둔 채로 컵을 환자의 피부에 얹으면 안 된다.
감염
침술 준비와 같은 절차를 권고한다. 즉 청결 지대 설치 및 유지 안전 지침, 손 위생 및 피부 준비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습 부항 요법이나 자침 후 부항 요법을 실시할 경우, 혈액이나 기타 잠재적 전염 물질이 있을 수 있을 때는 개인보호장구(장갑 및 보호경)를 착용한다.
피부 병변, 발진, 부상, 피부 장벽 손상 부위에 부항 요법을 실시하지 않는다. 황색포도상구균과 같은 병원체 군락은 아토피성 질환(습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합병증이다. (35)
대상 포진과 기타 피부 병변에 부항 요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6) 침구사는 활동성 피부 병변에 부항 컵을 사용하기 전에 구체적인 훈련을 받아야 한다.
습 부항 요법 안전 지침은 한의사가 습 부항 요법을 실시할 때 반드시 장갑과 보호경을 착용할 것을 건의한다. 부항 컵을 얹을 부위는 모두 철저히 닦아야 한다. 피부는 70% 이소프로필 알코올이나 비누와 물, 또는 다른 방법으로 닦을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습 부항 요법을 실시하기 직전에 닦아야 한다. 해당 부위의 피부는 무균 자혈침, 미리 살균된 전통적 삼능침이나 매화침으로 뚫어야 한다. 매번 피부를 뚫을 때는 새 자혈침을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즉시 적절한 침 폐기통에 버린다. 적절히 소독한 온전한 피부 위에 얹을 부항 컵을 얹은 다음 원하는 치료 효과에 필요한 시간 만큼 둔다.
피가 들은 부항 컵을 치울 때는 진공 상태가 서서히 사라지도록 한 다음 컵을 치운다.
한의사는 장갑 및 보호경 등을 착용하여 피가 들은 부항 컵을 들어 올려서 치운다. 부항 컵에 들은 피는 분무 형태로 흩어지거나 튀어서 한의사의 손, 손목, 눈, 기타 표면을 피에 노출시킬 수 있다. 피부의 뚫은 부위를 적절한 피부 세정제로 닦는다. 피 묻은 솜, 거즈, 종이 타월이나 천은 생물학적 위험물 쓰레기에 버린다. 부항 컵은 한 번 사용 후 생물학적 위험물 쓰레기에 버리거나, 재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엔 반드시 비누와 물로 씻은 다음 멸균해야 한다. (1)
부항 요법 관련 감염 예방 안전 지침
필수
- 표준 예방조치를 준수한다.
- 청결 지대 설치 및 유지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 손 위생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 부항 요법은 깨끗한 피부에만 실시해야 한다. 활동성 피부 병변이 있는 부위에 부항 컵을 얹지 않는다.
- 습 부항 요법을 실시할 때, 장갑, 보호경 등 PPE 를 착용한다.
- 윤활제를 사용하는 경우, 한 환자에게 사용할 양을 작은 일회용 잔이나 종이 타월에 천천히 부어서 사용한다. 남은 윤활제를 원래의 용기로 다시 넣거나 용기의 출구를 건드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강력히 권고 활동성 대상 포진 병변 부위에 부항 요법을 실시할 경우, 반드시 부항 컵으로 병변을 안전하게 치료하는 고급 훈련을 받은 후 해야 한다.
부항 도구 재사용 기준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재사용하는 의료 기기의 위험 등급을 확립하였다. (36) 미국식품의약국(FDA)은 의료 기기의 위험성에 따라 필요한 소독 등급 권고 사항을 제정하였다. (37) 최근의 관찰 연구 보고는, 부항 요법의 기계적 조작은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여 액체와 혈액이 피부 표면에서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1)
저자들에 의하면, 혈액이나 액체가 의도치 않게 부항 컵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은 피부의 개방성 잡티나 뾰루지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과도한 흡입력, 피부 취약성 또는 수화(hydration) 상태와 연관이 있거나 연관이 없을 수 있다. (1,38)
부항 요법에 사용되는 기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명의 환자에게 재사용된다. 부항 컵을 온전하지 않은 피부에 사용할 계획인 경우, CDC 의 ‘재사용할 계획인 준 결정적 기기’ 등급에 근거하여 소독할 필요가 있다. (36) 여타의 재사용 가능한 준 결정적 의료 기기와 마찬가지로, 부항 컵도 반드시 깨끗이 씻은 다음 고급 소독(HLD) 용액으로 소독해야 한다.
FDA 에서 승인한 화학약품 중 상당수는 믿을 수 있는 의료 기기용 고급 소독약이다. (37) 침구사가 의료 기기의 계획한 용도에 적합한 화학 소독약을 선택하고 포장 라벨의 지침을 따르며, 기기를 소독할 때 PPE 를 착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재사용 가능한 의료 기기세척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제 VI 장을 참고한다.
정상적인 상황일 때 피부는 교차 감염을 예방하는 장벽이다. 하지만 습 부항 요법에서는 피부가 뚫려서 더 이상 온전하지 않으므로, 습 부항 요법에 사용되는 부항 컵은 의문의 여지 없이 준 결정적 재사용 가능한 의료 기기이다. (36) 이 경우, 규정상 일회용 부항 컵을 사용하거나(사용한 부항 컵은 생물학적 위험물 쓰레기에 버린다), 재사용할 계획인 경우, 비누와 물로 씻은 다음 고급 소독약으로 소독한다. (1,36)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부항 컵을 살균해도 된다. 부항 컵을 소독할 때는 반드시 모든 안전 절차와 포장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 일부 소독약은 부식성이 있기 때문에 삼킬 경우 위험하거나 치명적이다. 소독약을 눈, 피부, 옷에 묻히지 않도록 한다. 라벨의 지침에 따라 통풍, 적절한 용기, 보안경, 장갑을 사용한다.
한의사는 어떤 유형의 소독 용액을 사용할 것인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 중 많은 제품의 명칭이 유사하다. 침구사는 적절한 제품을 선택할 때, 반드시 제품의 사용 지침, 사용 위험, 그리고 폐기 방법을 신중하게 읽어야 한다. 의료 기기용 고급 소독약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37)
(http://www.fda.gov/medicaldevices/deviceregulationandguidance/reprocessingofreusablemedicaldevices/ucm437347.htm.)
부항 컵 세척 및 소독
본 지침서를 편찬할 즈음에는 부항 컵에 어떤 등급의 소독이 필요한지 문헌에서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부항 컵을 온전한 피부에만 사용할 경우, 컵은 비결정적 재사용 가능한 의료 기기로 취급된다.
이 경우 비누와 물로 세척한 다음 적절한 중급 소독약으로 라벨의 지침에 따라 소독해야 한다. 부항 컵을 씻은 다음 깨끗한 타월로 물기를 닦은 후, 깨끗하고 밀폐된 용기에 보관해야 한다.
부항 컵을 온전하지 않은 피부에 사용했거나 사용할 계획이면, 반드시 준 결정적 재사용 가능한 의료 기기로 취급해야 한다. 이 경우 비누와 물로 부항 컵을 씻어 윤활제(사용한 경우)와 생물학적 물질을 제거한 다음 고급 소독약으로 라벨의 지침에 따라 소독해야 한다. 부항 컵을 온전하지 않은 피부에 사용할 계획이면, 무균수, 증류수, 또는 여과수로 씻어야 한다. 씻은 후 물기를 닦고 재오염되지 않는 방식으로 보관해야 한다. (36)
현재의 논쟁은 온전한 피부에 부항 요법을 실시할 경우, 얼마나 자주 피부 장벽에 손상이 가는가에 대한 것이다. 베스 이스라엘 의료센터(Beth Israel Medical Center)의 연구원들은 부항 요법 절차에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피와 기타 잠재적 전염 물질이 자주 등장한다고 밝혔다.(1,38) 하지만 부항 요법의 부작용 문헌고찰에서는 감염 보고가 없었다. (3,4,5,6)
온전한 피부에 실시하는 부항 요법은 전 세계 곳곳의 문외한이나 면허를 소지한 한의사가 사용하는 치료 방법이다. Xu 등은 2013 년의 고찰 논문에서, 10 건의 부작용 사례만 발생하였으며, “이 중 6 건의 사례에서는 침구사의 훈련에 관한 정보가 없었고 나머지 4 건의 사례는 (환자) 자신이 부항 요법을 실시하였다”라고 밝혔다. 이 10 건의 보고 중 감염인 것은 없었다. (5)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포진 병변 감염 사례는 온전한 피부가 아니라 포진 병변에 부항 요법을 실시한 것으로 발생하였다. (31)
아직까지 미국에서 면허를 소지한 한의사나 부항 요법을 사용하는 기타 치료사(안마사, 척추 지압사, 물리 치료사)가 온전한 피부에 부항 요법을 실시하여 감염을 초래했다는 보고는 없다.
방혈 기법과 연관되지 않은 부항 요법에서 온전한 피부가 얼마나 자주 파손되는지 결정하려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클리닉에서 고급 소독 용액을 사용하는 안전성에 관한 문제가 또 있다. (39-41)
고급 소독 용액 중 상당수는 부식성이 있기 때문에 통풍 후드와 기타 안전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개인 개업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클리닉용으로 승인된 소독 용액에는 기타 화학약품과 함께 최소한 7.5%의 과산화수소 용액이 들은 소독약이 포함된다.
이러한 용액은 특별한 통풍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38) 하지만 이러한 용액은 모두 한의사나 소독 작업을 수행하는 의료 보건 인원에게 약간의 위험이 있다. 적절한 화학약품 용액을 선택하고 라벨의 지침을 따르는 것은 감염 예방 뿐만 아니라 침구사의 사용 안전에 있어서도 필수적이다.
한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가늠하여 부항 컵을 얹을 부위의 피부가 온전한지, 그리고 부항 기법이 온전한 피부 표면의 자연 장벽을 어느 정도 파괴하게 될 지 알아야 한다. 부항 요법 중에 피가 흐르거나 개방성 물집이 생기는 것은 한의사의 기법이 피부 장벽을 파괴했다는 명백한 징후다.
한의사는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부항 요법으로 인한 피부 파괴 정도를 가늠할 수 없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침구사는 피부가 파손되기 전에는 이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고려할 때, 본 편집인은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 부항 요법이 피부를 어느 정도 파괴하는지 알 수 있을 때까지 고급 소독약을 사용하여 모든 부항 컵을 소독하는 것이 현명한 처사라고 본다. 한 가지 소독 방법을 사용하면 한의사는 항상 적절히 소독된 기기를 준비하고 사용할 수 있다.
부항 컵 소독 안전 지침
필수
- 부항 컵을 소독하기 전에 우선 비누와 물로 모든 윤활제와 생물학적 물질을 씻어낸다.
- FDA 에서 승인한 중급 또는 고급 소독약으로 라벨에 설명된 지침을 따라 부항 컵을 소독한다.
- 부항 컵을 씻고 소독할 때는 적절한 PPE 를 사용한다.
강력히 권고-준 결정적 기기용 고급 소독약을 사용하여 포장 지침에 따라 부항 컵을 소독한다.
권고-습 부항 요법에는 일회용 부항 컵을 사용하고, 사용한 컵은 생물학적 위험물 폐기통에 버린다.
광범위한 멍과 기타 피부 병변
부항 요법 실시 후 점상 출혈과 반상 출혈 발생은 예기된 것이다. 하지만 광범위한 멍은 부항 컵을 너무 오래 두거나 진공 상태가 너무 강해 일어날 수 있다. 광범위한 멍은 혈우병이나 출혈성 장애가 폰 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s disease)이 있거나 특정 건강보조식품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위험할 수 있다. 부항 컵을 피부에 얹기 전에, 침구사는 반드시 출혈성 장애와 약품 복용력을 포함한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탐문해야 한다.
출혈성 장애가 있거나 현재 혈액 희석 약품(blood thinning medications)이나 건강보조식품을 사용하는 환자에게 부항 요법을 실시할 때 조심해야 한다. 이러한 환자에게는 습 부항 요법을 실시하지 않는다. 부항 컵은 신중하게, 보수적으로 사용하고, 치료 과정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언제 부항 컵을 치울지 결정한다. 부항 컵을 유치하는 시간은 환자의 체력이 감수할 수 있는 정도로, 그리고 예기한 일시적 치료용 점상 출혈과 반상 출혈이 나타날 때까지로 제한한다. 부항 요법 절차를 관찰하여 수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환자의 병력을 물어 켈로이드와 건선이 있는지 확인한다. 켈로이드 형성 위험을 환자에게 알리고, 건선이 있는 환자에게 쾨브너 현상에 관한 정보를 알려준다.
부항 요법 시 피부 병변 예방 안전 지침
필수-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탐문하여 켈로이드성 반흔(켈로이드)이나 쾨부너 현상(건선 병력) 등 반응성 피부 병변이 있는지 환자를 선별한다. 혈우병이나 폰 빌레브란트병 등 출혈성 장애가 있는지 환자를 선별한다.
강력히 권고-부항 컵을 유치하는 시간은 환자의 체력이 감수할 수 있는 정도로, 그리고 예기한 일시적 치료용 점상 출혈과 반상 출혈이 나타날 때까지로 제한한다. 부항 요법 절차를 관찰하여 수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의도하지 않은 침의 깊은 관통
침 부항 요법을 실시할 때, 즉 자침한 침 위에 부항 컵을 얹을 때, 조직이 압착됨으로 해서 침이 안전한 깊이보다 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위험은 침 부항 요법에만 적용된다. 모든 자침 및 부항 요법의 표준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침 부항 요법 안전 지침
강력히 권고-흉부에는 비스듬히 자침하여 기흉을 예방한다.
부항 요법 부작용 예방 안전 지침
필수-화학요법 치료 전 48 시간 혹은 치료 후 24 시간 이내에 부항 요법을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
강력히 권고
- 환자가 항응혈제와 항혈소판 요법을 받고 있는 중이면, 환자의 상태를 염두에 두고 부항 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부항 요법 과정을 신중히 관찰한다.
- 부항 컵을 유치하는 시간은 환자의 체력이 감수할 수 있는 정도로, 그리고 예기한 일시적 치료용 점상 출혈과 반상 출혈이 나타날 때까지로 제한한다.
- 어린이에게 부항 요법을 실시할 때는 부모나 지정된 보호자가 있는 상태에서 해야 한다.
권고-부항 요법 시 점상 출혈과 반상 출혈은 질병, 부상 또는 학대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 환자에게 부항 요법으로 이루고자하는 치료 효과, 치료용 점상 출혈/반상 출혈의 출현 및 사라지는 시간 등을 설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부항 요법의 임상적 실행에 관한 자료를 환자에게 제공하여 부항 요법에 대한 오해로 인해 스트레스가 생기지 않도록 돕는다. (침술 및 동양의학 대학 평의회(CCAOM) www.ccaom.org © 2015 by the Council of Colleges of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2017 년 5 월 19 일에 검토 및 업데이트 되었음.)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참고 자료
1. Nielsen A, Kligler B, Koll BS. Safety protocols for gua sha (press-stroking) and baguan (cupping). Complement Ther Med. 2012;20(5) (October):340-344.
2. Abinali HA. Traditional medicine among Gulf Arabs: Part II Blood-letting. Heart Views. 2004;58(20):74-85.
3. Cao H, Han M, Li X et al. Clinical Research Evidence of Cupping Therapy in China: A Systematic Literature.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0;10(1) (November 16):70.
4. Cao H, Li X, Liu J. An updated review of the efficacy of cupping therapy. PLoS One. 2012;7(2):31793.
5. Xu S, Wang L, Cooper E et al. Adverse events of acupuncture: a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2013:581203.
6. Cao H, Zhu C, Liu J. Wet cupping therapy for treatment of herpes zoster: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ltern Ther Health Med. 2010;16(6) (Nov-Dec):48-54.
7. Iblher N, Stark B. Cupping treatment and associated burn risk: a plastic surgeon’s perspective. J Burn Care Res. 2007;28(2) (April):355-358.
8. Kose AA, Karabagli Y, Cetin C. An unusual cause of burns due to cupping: complication of a folk medicine remedy. Burns. 2006;32(1) (February):126-127.
9. Kulahci Y, Sever C, Sahin C, Evinc R. Burn caused by cupping therapy. J Burn Care Res. 2011;32(2) (April):31.
10. Sagi A, Ben-Meir P, Bibi C. Burn hazard from cupping–an ancient universal medication still in practice. Burns Incl Therm Inj. 1988;14(4) (August):323-325.
11. Seicol HH. Consequences of Cupping, to the Editor. NEJM. 1997;336:1109-1110.
12. Franco G, Calcaterra R, Valenzano M, Padovese V, Fazio R, Morrone A. Cupping-related skin lesions. Skinmed. 2012;10(5) (October):315-318.
13. Manber H, Kanzler M. Consequences of Cupping. NEJM. 1996;335:1281.
14. Peng C-Z, How C-K. Bullae secondary to prolonged cupping. Am J Med Sci. 2013;346(1) (July):65.
15. Lin C-W, Wang JT-J, Choy C-S, Tung H-H. Iatrogenic bullae following cupping therapy. J Altern Complement Med. 2009;15(11) (November):1243-1245.
16. Moon S-H, Han H-H, Rhie J-W. Factitious panniculitis induced by cupping therapy. J Craniofac Surg. 2011;22(6) (November):2412-2414.
17. Tuncez F, Bagci Y, Kurtipek GS, Erkek E. Suction bullae as a complication of prolonged cupping. Clin Exp Dermatol. 2006;31(2) (March):300-301.
18. J, Belinchon I, Banuls J, Pastor N, Betlloch I. [Skin lesions from the application of suction cups for therapeutic purposes]. Actas Dermosifiliogr. 2006;97(3) (April):212-21
19. Lee J, Ahn S, Lee S. Factitial panniculitis induced by cupping and acupuncture. Cutis. 1995;55:217-218.
20. Vender R, Vender R. Paradoxical, cupping-induced localized psoriasis: a koebner phenomenon. J Cutan Med Surg. 2014;18(0) (Dec 1):1-3.
21. Yu RX, Hui Y, Li CR. Köebner phenomenon induced by cupping therapy in a psoriasis patient. Dermatol Online J. 2013;19(6) (Jun 15):18575.
22. Birol A, Erkek E, Kurtipek GS, Kocak M. Keloid secondary to therapeutic cupping: an unusual complication.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5;19(4) (July):507.
23. Yun GW, Yang YJ, Song IC et al. A prospective evaluation of adult men with iron-deficiency anemia in Korea. Intern Med. 2011;50(13):1371-1375.
24. Lee HJ, Park NH, Yun HJ, Kim S, Jo DY. Cupping therapy-induced iron deficiency anemia in a healthy man. Am J Med. 2008;121(8) (August):5-6.
25. Sohn I-S, Jin E-S, Cho J-M et al. Bloodletting-induced cardiomyopathy: reversible cardiac hypertrophy in severe anemia from long-term bloodletting with cupping. Eur J
Echocardiogr. 2008;9(5) (September):585-586.
26. Kim KH, Kim T-H, Hwangbo M, Yang GY. Anaemia and skin pigmentation after excessive cupping therapy by an unqualified therapist in Korea: a case report. Acupunct Med. 2012;30(3) (September):227-228.
27. Nielsen A, Kligler B, Michalsen A, Dobos G. Did dry cupping cause anaemia? Acupunct Med. 2013 March 13.
28. Weng Y-M, Hsiao C-T. Acquired hemophilia A associated with therapeutic cupping. Am J Emerg Med. 2008;26(8) (October):970-971.
29. Blunt, Stavia B and Lee, Heow Pueh. Can “traditional “cupping treatment cause a stroke? Med Hypotheses. 2010 May;74(5):945-9. doi: http://dx.doi.org/10.1016/j.mehy.2009.11.037 . Epub 2009 Dec 23.
30. Lee J-H, Cho J-H, Jo D-J. Cervical epidural abscess after cupping and acupuncture. Complement Ther Med. 2012;20(4) (August):228-231.
31. Jung Y-J, Kim J-H, Lee H-J et al. A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secondary to acupuncture and cupping. Ann Dermatol. 2011;23(1) (February):67-69.
32. Rafatpanah H, Hedayati-Moghaddam M, Fathimoghadam F et al. High prevalence of HTLV-I infection in Mashhad, Northeast Iran: A population-based seroepidemiology survey. J Clin Virol. 2011;52(3) (November 16):172-6.
33. Turlay MG, Turqut K, Oguzlurk H. Unexpected lumbar abscess due to scarification wet cupping: A case report. Complement Ther Med. 2014;22(2) (Aug):645-7.
34. Hon KL, Luk D, Leong K, Leung A. Cupping therapy May be Harmful for Eczema: a PubMed Search. Case Rep Pediatr. 2013;605829 (Oct 27).
35. Hon KL, Nip SY, Cheung KL. A tragic case of atopic eczema: malnutrition and infections despite multivitamins and supplements. Iran J Allergy Asthma Immunol. 2012;11(3) (September):267-270.
36. Rutala WA, Weber DJ,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0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http://www.cdc.gov/hicpac/pdf/guidelines/Disinfection_Nov_2008.pdf Reviewed December 29, 2009. Accessed January 18, 2015.
37.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processing of reusable medical devices, FDA-cleared sterilants and high level disinfectants with general claims for processing reusable
medical and dental devices — March 2009. Sept 11, 2014. http://www.fda.gov/MedicalDevices/DeviceRegulationandGuidance/ReprocessingofReu sableMedicalDevices/ucm133514.htm (Accessed Jan 18, 2015).
38. Nielsen A, Kligler B, Koll BS. Addendum: Safety protocols for Gua sha (press-stroking) and Baguan (cupping). Complement Ther Med. 2014;22(3):446-448.
39. Rutala WA, Clontz EP, Weber DJ, Hoffmann KK. Disinfection practices for endoscopes and other semicritical item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1;12:282-8.
40. Phillips J, Hulka B, Hulka J, Keith D, Keith L. Laparoscopic procedure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ynecologic Laparoscopists’ Membership Survey for 1975. J. Reprod.
Med. 1977;18:227-32.
41. Muscarella LF. Current instrument reprocessing practice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Gastrointestinal Nursing 2001;24:25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