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부작용 – 문헌고찰
많은 한의사가 전침(Electroacupuncture, EA)을 기체(氣滯), 혈체(血滯) 또는 담체(痰滯)와 연관된 증상의 추가 요법으로 사용한다. 현대의 전기 제품이 출현하기 전에는 강한 기흐름을 자극하기 위해 손으로 침을 조작했었다.
EA 는 기가 많이 축적된 상황(만성 통증증후군, 기를 자극하기가 힘든 사례 등)일 때 장시간 침 조작을 대체하는 데 사용된다. (1)
전침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최근에 1979 년부터 2010 년까지의 영어 및 중구어 데이터베이스의 문헌을 고찰한 결과, 해당 기간 중 단 44 건의 부작용이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2)
대부분의 부작용은 침술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실신, 과호흡), 몇 건의 부작용은 전류 사용과 연관이 있었다(전기 부상, 방실블록/atrioventricular block, 근육 경련으로 인한 손목 관절 탈구 및 기타).(2)
어떤 한의사는 자신의 보고에서 “전침 사용과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안전 문제는 이론적이며, 문헌에는 자침에 의한 외상과 달리 전침 관련 심각한 부작용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다”라고 결론지었다. (3)
Zhao 등은(4) 전침으로 뇌 부상 후 근육 경련이 있는 60 명의 환자를 치료한 결과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전침에 필요한 자침 기법과 연관된 위험이 제고되었을 수 있다.
전침을 사용할 때, 한의사는 반드시 자침 깊이에 관한 지침을 숙지해야 한다. 한의사는 침이 전기 자극 기간동안 전기 리드(leads)와 클립의 중량을 감당할 수 있고 클립에서 빠지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전침을 사용할 때 종종 자침 깊이와 방향을 조절한다. EA 는 보통 20–30 분 정도 실시하며, 강한 근육 수축이 일어날 수 있다.
한의사가 특정 혈 자리에서의 자침 깊이를 늘리거나 자침 각도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혈 자리 아래의 해부학적 구조를 완벽하게 이해하여 안전한 자침을 실시해야 한다.
전침에 사용하는 침의 유형과 크기도 매우 중요하다. 은침과 같은 특정 금속 유형의 침은 전침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은침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든 침보다 유연하고 인체 안에서 매우 빠르게 전기 분해하여 독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전침에 사용할 최고의 침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플라스틱 침병이 있는 침은 전기 전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매우 좁은 침은 전기 전도 시 부러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사용상 우려가 있다. 전기 자극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든 침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전류 과다
치료용 전침에 사용되는 전류는 0.5 에서 6 mA 까지다. 신경 자극 장치 사용과 연관된 의학 문헌은 해당 전류가 몸 안에 전기 장치가 심어지지 않은 건강한 사람에게 안전하다고 제시한다. (5,6)
전류량이 더 높은면 국소 근육의 현저한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전기 자극으로 골격근, 심근, 평활근을 자극하여 의도하지 않은 근육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전기 자극 정도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정도 아래여야 하며, 대부분의 전침 치료에서는 근육 경련이 일어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전침을 사용할 때 근육 수축이 치료의 일부분일 때도 있지만(예: 마비 치료), 이런 치료는 유심히 감시해야 한다.
해부학적 고려사항
전침 안전에 관한 2008 년도의 한 연구 보고는 “침을 팔/다리의 혈 자리와 매우 인접한 곳에 둘 때, 팔/다리를 따라 흐르거나 가슴으로 흘러 들어가는 탐지 가능한 전류가 거의 없거나 없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침을 서로 멀리 떨어지게 놓았을 때는 전류가 넓게 번졌다”라고 밝혔다. (7)
이론적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아래 부위에서는 전침을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
1. 목의 앞쪽 삼각지대. 혈압을 조절하는 경동맥동, 호흡과 연관된 후두근, 그리고 미주 신경(10 번 째 뇌신경)이 이 부위에 있기 때문에, 이 부위에서는 전침을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
2. 목 뒤쪽. 뇌간이 있기 때문에 전침을 사용할 수 없다.
3. 척추 횡단. 전침은 정상적인 신경 전도를 방해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금지된’ 구역은 두개골까지 연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개골에 전침을 사용하는 것은 척추를 횡단하여 전침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위험을 수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연구 결과, 부작용이 없는 전침 사용은 국소 치료로 제한되었다.
예를 들어 인당-Du 20, Du 20-GB 20, 그리고 사신총이나 국소 병변에 전침을 사용하는 것 등이다.
4. 심장 횡단. 전침은 심장의 전기 시스템과 심근 수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5. 의료 장치를 몸에 심은 환자: ICDs (삽입형 제세동기), 심박조율기. 전침 사용과 연관된 부작용(또는 잠재적 부작용)이 보고된 바가 있다. 부작용은 대부분 심장 영향과 관련되었다(협심증, 삼장 마비, 사용 중인 심박조율기 방해).(7,8,9)
하지만 한 건의 보고에서, 심박조율기가 있는 사람의 팔/다리에 전침을 사용하여도 심박조율기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해당 보고의 저자들은 이 규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사례 연구의 결과는 전침이 심박조율기가 심어진 환자에게 안전한 대체 치료 방법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 . .신중하게 개별적으로 환자를 고려해야 한다.”(10)
Low 와 Reed 의 전기 요법 교본에 따르면, 생체내 인간 조직에 5 mA 직류(DC)를 적용한결과, 전극과 접촉한 부위에 화학 변화가 일어났다. 음극의 음전하는 알칼리성 환경을 만들고 단백질의 액화를 야기하였다. 양극의 양전하는 산성 환경을 만들고 단백질의 응고를 야기하였다. (11)
여러 가지 침술 동양의학 실행에 있어서 전침의 두 전극을 사용하는 것, 그리고 전침의 기능에 대해서 더 많은 연구와 해명이 필요하다.
전침 부작용 예방하기
영어 문헌에는 전침과 연관된 흔한 부작용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다. 적절한 훈련과 전침 요법의 금기를 알면 대부분의 흔치 않은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은침과 같은 특정 금속 유형의 침은 전침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은침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든 침보다 유연하고 인체 안에서 매우 빠르게 전기 분해하여 독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전기 자극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든 침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전침 부작용 예방 안전 지침
- 강력히 권고: 심장 부위에서 가슴을 횡단하는 방식(앞쪽에서 뒤쪽으로, 혹은 옆쪽에서 반대편의 옆쪽으로)으로 전기 자극을 해서는 안 된다. 전기 회로는 환자의 정중시상(midsagittal) 라인을 횡단해서는 안 된다.
- 권고: 뇌간 인근에 전침을 실시하지 않는다. 전기 자극으로 척추를 횡단하지 않는다. 발작 장애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전침을 실시하기 전에, 주치의에게 자문을 구한다.
근육 수축으로 인한 부상
과다한 전류는 현저한 근육 수축을 일으켜서 국소 조직이나 뼈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절대로 지속적인 강한 근육 경련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전침을 실시하면 안 된다.
전침 치료 중 과다한 근육 수축 예방 안전 지침
- 필수: 전침은 갓난아기, 어린이, 행위 능력이 없는 사람(incapacitated), 수면 중인 사람, 또는 의식불명인 사람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전침 기계의 전류를 서서히 올리고, 환자에게 통증을 느끼는지 물어본다. 환자의 몸에서 발침하기 전에 전기 자극을 먼저 끈다. 자극 정도는 절대로 통증을 느낄 정도와 가까워서는 안 된다.
- 강력히 권고: 근육이 수축되지 않는 방식으로 전침을 실시한다. 근육 자극이 예기된 결과일 경우는 예외다.
전기로 인한 부상
전기 사용 안전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전기 안전에 관한 개요는 다음 링크를 참조한다.
https://www.osha.gov/dte/grant_materials/fy09/sh-18794-09/electrical_safety_manual.pdf)
전침 치료 중 전기로 인한 부상 예방 안전 지침
필수: 물, 습기, 액체 또는 금속 물품이 환자나 진료대와 접촉하는 것을 예방한다. 습한 환경에서 전침을 사용하지 않는다. 전침 기계의 어느 부위에 금이 갔거나 손상이 있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전선이나 전기 리드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는다.
심박조율기 방해
전기 자극은 심박조율기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환자의 병력을 구체적으로 물어 환자에게 심박조율기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
전침 치료 중 심박조율기 방해 예방 안전 지침
- 필수: 심박조율기 등 심장 장치를 심은 환자의 몸에 전침을 실시하지 않는다.
- 강력히 권고: 심박조율기 내지 기타 전자 장치를 심은 환자 몸의 어느 부위에도 전침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침술 및 동양의학 대학 평의회(CCAOM) www.ccaom.org © 2015 by the Council of Colleges of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2017 년 5 월 19 일에 검토 및 업데이트 되었음.)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참고 자료
1. Audette JF, Ryan AH. The role of acupuncture in pain management. Phys Med Rehabil Clin N Am; 15 (2004) 749–77
2. Zheng W, Zhang J, Shang H. Electro-Acupuncture-Related adverse events (AE): A Systematic Review. Medical Acupuncture. June 2012, 24(2): 77-81. doi:10.1089/acu.2011.0858.
3. Cummings M. Safety aspects of electroacupuncture.Acupuncture in Medicine 2011 Jun 29 (2): 83-5 29 (2) 83-5. 2011
4. Zhao W, Wang C, Li Z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Acupoint Stimulation to Treat Muscle Spasticity following Brain Injury: A Double –Blinded,
Multicenter, RCT. PLoS One. 2015 Feb 2;10(2):e0116976. doi: 10.1371/journal.pone.0116976.
5. Electrical Safety Testing Reference Guide. QuadTech, Inc. 4th Edition, May 2002, P/N 030120/A4 http://www.psma.com/ul_files/forums/safety/estguide2.pdf Accessed
December 2012
6. Hadzic A, Vloka J, Hadzic N, Thys DM, Santos AC.Nerve stimulators used for peripheral nerve blocks vary in their electrical characteristics.Anesthesiology 2003; 98-969-74
7. Thompson JW, Cummings M. Investigating the safety of electroacupuncture with a Picoscope. Acupunct Med. 2008 Sep;26(3):133-9.
8. Lau EW, Birnie DH, Lemery R, et al. Acupuncture triggering inappropriate ICD shocks. Europace 2005;7:85–6.
9. White A. A cumulative review of the range and incidence of significant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acupuncture. Acupunct Med 2004;22:122–133. http://aim.bmj.com/content/22/3/122.full.pdf
10. Vasilakos DG, Fyntanidou BP. Electroacupuncture on a patient with pacemaker: a case report. Acupunct Med. 2011 Jun;29(2):152-3. doi: 10.1136/aim.2010.003863. Epub 2011 Mar
11. Low J, Reed A. Electrotherapy Explained: Principles and Practice. Oxford: Butterworth-Heinemann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