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몸이 피로하다며 클리닉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웬일인지 나른하고 의욕이 떨어지고, 아침엔 일어나기가 어렵고, 밤에 많이 자도 낮에 또 졸리고, 점심 식사 후에는 더 졸린다.
그래서 집에 오자마자 잠을 청하고 주말을 온통 잠으로 때우지만 출근하면 더 피곤하고 졸음이 몰려온다.
점차 풀리는 날씨 탓에 찾아온 춘곤증이라 넘기기엔 도저히 견디기 힘들다면 만성피로를 의심해볼 수 있다.
피로 때문에 봄에 병원을 찾은 환자 중엔 흔히 말하는 춘곤증에 기인한 환자가 많았다.
온몸이 나른하고 이유 없이 졸음이 쏟아지는 증상을 춘곤증이라 하는데 봄이 되면 많은 분들이 경험하는 증상이지만 의학적인 질병이 아니라 일종의 생리적 피로감이다.
봄에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항상 피곤함을 느끼고 시도 때도 없이 졸리고 업무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서 크고 작은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차갑고 건조하던 겨울 날씨가 갑자기 따뜻해지면서 봄 날씨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증상으로 해석된다.
겨우내 줄어들어 있던 모세혈관이 다시 확장되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에너지 공급과 소비가 늘어나게 되고 에너지 소비가 늘어나게 되면서 피로가 쌓이며 영양소가 부족해지면 이런 증상이 더 심해지기도 한다.
다만 춘곤증은 보통 2~3주 정도 적응 기간이 지나면 호전된다.
반면에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의 심한 피로나 체중감소, 계단을 올라가거나 빠른 걸음으로 걸을 때 생기는 호흡 곤란, 밤에 옷이 젖을 정도의 식은땀이 나는 경우에는 만성피로일 수 있다.
피로로 내원하는 환자들은 흔히들 간이 나쁘진 않을까 걱정한다.
아마도 특정 약품에 대한 광고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지나치게 과음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자신도 모르던 간질환에 의해 피로가 유발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의학적으로 피로가 1개월 이상 지속될 때는 지속성 피로, 6개월 이상 지속될 때는 만성피로라 하는데 만성피로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 의하면 약 25%의 환자에서는 우울증이나 불안증과 같은 정신의학적 문제가 발견됐고 또 약25~50%의 환자에서는 다양한 신체질환이 발견됐다.
보통 정신의학적 문제에 의한 피로는 스트레스와 관련이 많고 아침에 심해지며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고 신체활동을 하면 오히려 피로가 호전되기도 한다.
반면에 신체질환이 있을 경우엔 스트레스와 관련이 없는 경우가 많고 오후나 저녁에 더 심해지며 점차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신체활동을 하면 피로가 더 악화된다.
피로를 이기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과로 때문에 피로가 온 경우에는 쉬어야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피곤하다고 잠을 더 자거나 무조건 쉬면 피로가 점점 더 심해진다.
8시간 이상 잠을 자는 것은 피로회복이나 건강에 별 도움이 안 되고 특히 낮잠은 1시간 이내로만 자야 한다.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피로를 물리치고 의욕을 되찾는데 좋다.
물론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에는 몸이 더 피곤해질 수 있다.
그러나 서서히 운동량을 증가시켜 나가면 육체적으로 적응이 되어, 피로에 대해 저항력이 생긴다. 운동은 정신적인 스트레스까지 해소시켜주므로 일석이조라 할 수 있다.
또 피로회복을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공급이 꼭 필요하다. 여러 음식을 섭취하고 가능하면 비타민이 풍부한 야채, 과일을 곁들이도록 한다. 물론 담배도 끊는 것이 좋다.
처음에는 더 졸리고 피곤할 수도 있겠지만 10일 정도 지나면 몸이 가뿐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과음하는 습관도 고쳐야 한다.
그 이외에 피로를 물리치기 위해 생활의 모든 면을 긍정적으로 대처하려는 자세, 취미생활, 보람을 느낄 수 있는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이영주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