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목이 뻐근하고 자주 아프면 목 디스크(경추 수핵 탈출증)를 의심하게 된다.
그러나 목 디스크만큼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발병률이 높고 위험한 질환도 여럿 존재한다.
‘후종인대골화증’이 대표적이다.
후종인대는 척추 뼈와 디스크의 뒷면에 붙어 뼈를 연결하고 안정성을 도모하는 인대다.
이 인대 전체 또는 일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골화(骨化), 즉 뼈처럼 딱딱해지는 질환을 후종인대골화증(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이라고 명명한다.
척추관이 좁아지거나 가시뼈들이 자라면서 척수신경을 압박하는 상태를 경추척수증이라고 하는데 후종인대골화증도 경추척수증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후종인대골화증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경추척수증의 주요 원인이 퇴행성 변화이므로 후종인대골화증 역시 퇴행 현상에 의해 발병될 것으로 생각되나 각종 연구자료에 따르면 인종적·유전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가족 중 환자가 있으면 발병률이 높고 서양인보단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에게서 더 많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발병 초기에는 뒷목이 뻣뻣하거나 어깨가 가끔 아플 뿐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대개 교통사고 등으로 목을 다쳐 검사를 받는 와중에 발견된다.
골화된 인대가 척수신경을 누르면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다가 점진적으로 감각이 무뎌지게 된다.
젓가락질을 하거나 단추를 끼우는 등 정밀한 동작을 하기가 힘들고 심각한 경우 보행장애, 대소변장애, 사지마비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증상의 진행과정이 목 디스크와 흡사하므로 정확하게 진단되지 않는 사례가 적지 않다.
정확하게 진단을 받더라도 후종인대골화증은 아직 난치병이다.
골화되는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증상을 완전히 멈추거나 이전으로 되돌릴 수 없다.
그러므로 후종인대골화증 치료를 위해선 척수신경을 압박하는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 유일하다.
목 앞쪽을 절개한 후 후종인대를 제거하거나 경추 뒤쪽의 후궁을 절제해 공간을 넓혀주면 척수신경이 눌리지 않아 증상이 호전된다.
다만 워낙 큰 수술이고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종인대골화증이 경추 전체에서 동시에 진행될 경우 수술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다.
현재로서는 경추의 퇴행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후종인대골화증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목에 무리를 주지 말고 근육을 단련시켜 인대의 골화증이 진행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후종인대골화증에 비하면 경추척수증은 그나마 치료의 폭이 넓다.
초기에는 인대강화주사만으로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증상이 어느 정도 진행돼도 미세현미경술로 경추척수증의 원인을 비교적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경추척수증도 심할 경우 보행장애, 대소변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때는 대수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최성훈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