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성인 10명 중 7명 가까이가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가장 많은 이용 목적은 허리·등 통증, 디스크, 관절염 등 근골격계통 치료라는 조사결과가 나옸다.
한국 보건복지부는 한국한의약진흥원과 한국갤럽이 지난해 9∼11월 19세 이상 일반 국민 5160명과 19세 이상 한방의료 이용자 21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한방의료 이용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한방의료 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 국민은 67.3%로, 직전인 2022년 조사 대비 3.7%포인트 줄었다. 남성보다 여성이, 고령일수록 이용 경험이 많았다.
한방의료 선택 이유는 ‘치료 효과가 좋아서’가 42.5%로 가장 많았다.
한방의료에 만족한다는 응답률은 79.5%로, 직전 조사 76.6%보다 소폭 상승했다.
한방의료 이용 목적은 ‘질환 치료’가 93.9%로 대부분이었다.
세부적으로 ‘근골격계통’이 73.9%(복수응답)로 가장 많고 ‘염좌(삠)·열상 등 손상, 중독 및 외인(낙상사고 등)'(39.6%), ‘소화계통'(8.7%) 순이었다.
현재 한방의료를 이용 중인 외래·입원환자들도 주된 질환은 ‘근골격계통’이었다.
한방의료 비용 수준에 대해선 50% 이상이 ‘보통’이라고 답했다.
일반 국민의 37.2%, 외래환자의 21.5%는 ‘비싸다’고 답했는데 2년 전과 비교하면 일반인은 3.1%포인트 늘었고 외래환자는 9.7%포인트 줄었다. 주로 첩약, 추나요법, 한약제재 등이 비싸다고 여겼다.
앞으로 한방의료 이용 의향에 대해선 일반 국민의 75.8%, 이용자 중에선 90% 이상이 ‘이용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한방의료 개선 사항으로 일반 국민은 ‘보험급여 적용 확대'(39.0%), ‘한약재 안전성 확보'(23.7%), ‘한방의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14.1%) 등을 꼽았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제5차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2026∼2030년)을 수립할 계획이다. 의·한 협진 시범사업도 2분기 중 5단계를 개시한다.
복지부 정영훈 한의약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한방의료 이용에 대한 다양한 욕구, 특히 의·한 협진 시스템 구축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5단계 의·한 협진 시범사업이 2025년 2분기 중에 시작되고 국민들이 의·한 협진 시스템을 건강보험 제도 안에서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최성훈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