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은 고난의 신체 부위로 통한다. 잠을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종일 볼링공 무게의 머리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 큰 문제는 목의 내구도가 그리 튼튼하지 않다는 점이다.
경추를 지지하는 주변 근육 및 인대의 힘은 그리 강하지 않은데 실제로 잘못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 외상을 입는 경우 경추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경추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가장 흔한 질환은 경추 추간판탈출증(목디스크)이다.
목디스크 발병 시 디스크 내부 수핵이 압박에 의해 탈출하여 주변 신경을 자극, 통증을 야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목디스크 발병 이후 상지 관련 신경도 자극을 받는데 이로 인해 뒷목 통증과 더불어 어깨, 팔, 손까지 저릿한 느낌을 경험한다.
또 손가락에 감각 이상 및 힘 빠짐이 나타날 수 있다. 목 통증과 더불어 원인을 알 수 없는 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목디스크 환자 및 보호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수술 여부다.
목디스크로 커다란 고통을 겪는 가운데 외과적 수술의 필요성을 두고 고민하는 사례가 다반사다.
치료를 받았으나 목디스크 증상 재발이 나타나 스트레스를 받아 수술을 진지하게 고려하는 환자 사례가 부지기수인 셈이다.
분명한 것은 목디스크 치료를 위해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이다.
돌출된 수핵을 제거함으로써 신경 자극 요인을 없애주면 통증 및 저림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경추의 손상 여부 뿐 아니라 주변 근육 및 인대의 정상 여부 역시 면밀히 살피는 것이 필수다.
따라서 문진, 신경학적 검사, 엑스레이(X-ray),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등을 통해 경추의 상태를 정밀 진단하는 것이 우선 과제다.
중요한 점은 만성과 급성 여부인데 목디스크 발병 기전이 어떠하냐에 따라 수술적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만성 목디스크는 서서히, 점진적으로 나타난다. 잘못된 자세, 외상 등 위험 요인이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수 년 동안 디스크 내부의 수핵 탈출을 야기하는 것이다.
이때 경추가 조금씩 변형되면서 주변 근육 및 인대의 상태를 덩달아 악화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리스크가 쌓이면서 결국 내부 수핵 탈출을 유도하는 것이 만성 목디스크의 발병 기전이다.
하지만 급성은 다르다. 갑작스레 경추에 큰 충격이 가해져 움직이기도 힘들 정도로 극심한 경추 통증 및 상지 관련 마비 증상을 겪을 수 있다.
이때 즉각 병원을 찾아 응급 수술을 받는 것이 필수다.
또한 목디스크를 오래 방치하여 신경 손상이 악화돼 수술을 받아야 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디스크 퇴행성 변화가 심해 수시로 목디스크 증상이 재발하는 경우 역시 마찬가지다.
따라서 목디스크의 정확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문진 및 신경학적 검사, 방사선 촬영 검사,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등 체계적인 정밀 검사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수다.
이후 환자 개인 별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도수치료 등의 비수술 요법을 시행한다.
만약 목디스크 병증이 악화된 상태라면 미세 현미경 디스크 제거술 및 유합술, 인공 디스크 치환술 등을 고려할 수 있다./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최성훈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