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원에서 두통과 어지러움증, 이명 등은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편하게 치료되기도 하지만 잘 치료되지 않는 경우,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이 힘들 수도 있다.
이번 호에서는 각 증상에 효과 있는 동씨침 및 사암침 등의 적용법을 설명한다. 이후 어려운 상황을 만났을 경우, 요긴하게 사용했으면 한다.
▲ 후두통
▷충소 방혈: 천골 1~5번 사이 압통 제일 심한 곳 선택해 많이 방혈한다.
▷위중 방혈: 만성적인 후두통에 효과. 자기 경락의 합혈을 방혈하면 그 경락 전체를 모두 치료한다.
▷정근, 정종, 속골(방광경의 수혈).
▷기타
-곤륜사, 통곡보, 삼음교
-방광정격 + 임읍, 함곡: 후두통, 두정통, 뒷목이 뻣뻣해 고개 잘 안 숙여질 때 또는 두중감을 치료.
-방광정격: 눈알이 빠질 것 같고 두통과 목덜미 뻣뻣해지는 항강, 어깨가 당기거나, 디스크, 건측 상양, 지음을 눌러줘도 효과 있다. 방광경은 몸이 냉한 사람에게 못 쓴다. 이는 방광경이 속한 태양경의 성격이 북방한수 즉, 차가운 물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전두통(미릉골통)
▷음릉천, 신관: 음릉천, 신관, 화국은 비와 위가 표리관계에 있으므로 양명경의 두통을 치료한다.
▷화국(공손 뒤, 골에 닿는 점): 화국의 국은 국화의 의미다. 국화는 청리두목하고 청열 작용이 있어서 전두통, 미릉골통, 후두통, 경부통에 특효하다. 화국은 머리의 화를 내려 시원하게 해 주므로 고혈압, 현훈, 눈이 시큼한 증상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참고로 중백은 고혈압으로 인한 전두통에 효과가 좋다.
▷화중 방혈.
▷오호1, 3, 중저, 비익.
▷해계사(화혈) 내정보(수혈): 위경의 수보화사.
▷위승한격: 임읍 함곡보 양계 해계사. 신경 많이 쓰는 사람이 앞머리에서 뒷머리까지 두통 또는 편두통을 호소할 경우.
▲ 두정통
▷영골, 대백, 명황, 용천.
▷지삼중: 후두통, 후항통, 전두통, 두정통, 편두통 모두 유효.
▷방광정격: 정수리 두통, 후두통은 모두 방광정격을 사용하면 치료가 가능하다.
▷간정격: 만져봐서 정수리에 열 있거나 정수리가 자기 손보다 뜨거울 때 무조건 중풍이 온다. 이 같은 두정통 환자는 방혈량이 많아야 한다.
▲ 전액통(이마 통증)
미릉골통은 눈썹 주위가 매우 아픈 것이다. 미릉골통, 편두통은 담(담궐 두통)과 기허에서 온다.
▷중백+태계, 이각명: 중지는 심포경상에 있으며 심포여위통(심포와 위는 상통관계)이므로 얼굴에 있는 미릉골통, 비골통, 안압이 높은 것을 치료한다.
▷화국: 전두통, 미릉골통에 자주 쓰는 특효혈이다.
▷임읍, 음릉천, 신관, 이각명, 풍시, 비익.
▷삼초승격: 통곡, 액문보 임읍 중저사. 미릉골통, 태양혈. 두통에 두루 쓸 수 있다. 미릉골통에 삼초승격이 듣지 않으면 담승격을 쓴다. 담승격을 쓰기전 임읍을 먼저 사해보고 효과가 있으면 나머지 혈을 자침한다.
▲ 현훈, 빈혈, 뇌빈혈성 두훈, 어지럼증
현은 눈이 침침한 것을, 훈은 머리가 어지러운 것을 각각 말한다. 원인은 비위허로 기혈 생산이 부족해져 머리와 눈까지 기혈이 도달하지 못하거나, 신수가 부족해 간양이 청규를 흔드는 경우, 담습이 청규를 몽롱하게 할 경우, 현훈이 발생한다.
▷영골, 곡지, 신관, 내관: 구토가 동반하는 어지럼증 또는 메니에르병에 적용할 수 있다. 양방에서 메니에르병은 내이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난청, 어지럼증, 이명, 이충만감의 4대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영골은 보기 기능이 강하다. 또한 뇌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므로 두훈, 뇌질환 반신불수에 좋다.
현훈은 간의 병으로 간과 대장은 상통 및 상합할 정도로 밀접한 관계이므로 대장경에 있는 영골, 곡지가 현훈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장경은 다기다혈한 양명경으로 기혈을 다스리는데 효과적이다.
▷총추 + 내관, 곡지: 메니에르병에 곡지와 신관의 배합이 좋다. 두훈이 심해 오심구토를 유발하는 메니에르병에도 적용할 수 있다. 현훈이 아주 심해 하늘과 땅이 빙빙 돌고 오심구토가 있다면 내관과 곡지에 자침하면 특히 좋다.
현훈의 어지러운 증상은 풍의 형상이므로 간의 병으로 본다. 곡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간과 대장을 서로 상합과 상통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양금인 대장의 토혈인 곡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구토증은 위장의 문제이므로 양명으로 동명인 족양명위경의 문제 또한 수양명대장경의 곡지가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관이 위를 치료하는 것은 수궐음심포경에 속하는 내관은 족양명위경과 상통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이 증상에 방제는 반하백출천마탕을 이용하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만일 약을 쓸 상황이 아니라면 생강달인 물을 마시게 할 수도 있다. 생강은 구토를 멈추게 하는 성약이다.
▷신관, 중백, 통관, 통산, 통천: 뇌빈혈로 인한 두훈시. 빈혈이 심할 경우, 상삼황 + 백회, 육완을 사용한다.
▷오령 방혈+화경: 고혈압으로 인한 현훈에 사용하면 즉시 어지러움이 멈춘다.
▷사화중∙외, 삼중 방혈, 하삼황: 하삼황은 보신하는 효과가 있고 신은 뇌를 주관하기 때문.
▷기타
① 상삼황+신관, 부류: 눈이 아득해지면서 핑 돌며 쓰러질 것 같다. (간의 문제.)
② 곡지, 태충: 현훈 치료의 기본혈.
③ 소부사, 행간사, 경거보: 풍을 원인으로 봐, 폐금으로 간풍을 억제.
④ 팔관+비익, 차삼, 백회.
▷담훈: 태백, 태연사, 소부 어제보(담현방). 폐정격의 보사를 거꾸로 한 것.
담음에 의한 어지럼증과 두통, 구토, 구역감이 주증상일 경우에 사용한다. 어지러워 머리를 들지 못한다. 균형감각 장애, 사고로 인한 뇌진탕, 소뇌의 이상, 메니에르병 등의 치료에 쓰인다.
담연의 생성을 억제시켜 담에 의해 유발되는 현훈을 다스린다. 전간(간질)과 현훈을 치료하는 처방. 어지럽고 메슥거리면 담음 아니면 간이 원인이다. 머리가 무겁다는 것은 습이 있는 것이고 습이 있으면 당연히 담도 있는 것이다. 담음이 있는 환자가 주로 호소하는 증상은 머리가 무거워서 들지 못한다, 마치 물에 적신 수건을 올려놓은 것처럼 무겁다 등 이야기를 하며 이 같은 환자는 가슴 두근거리고, 숨차고, 어지럽고, 장명 등의 증상이 있는지 잘 살펴야 한다.
담이 화로 변하면서 현훈이 생긴다. 신체 상부에 있던 담이 화가 타올라 담을 움직여 여러 증상이 나타났다고 이해한다.
▷담현방+비익: 좌우균형에 문제 있거나 기허생담해 발생한 구역감, 중심을 못 잡는 증상, 현훈 등을 치료한다.
방제로 담현방의 효과를 내는 방은 이진탕에 황금, 치자, 황련, 창출, 강활 등을 가해 사용한다.
조병식 원장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