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문동탕부터 대시호탕까지 시호제, 제대로 감별해 처방하려면?
이번 호에서는 지난 호에 이어 시호제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 맥문동탕–형색성정: 비~수. 체력 중등도: 전후, 면백황갈, 성음적 혹 교잡, 정 안정. 신체증상: 마른 기침, 발작적 건해나 잔기침(악화요인: 밤, 다언, 건조, 먼지, 찬 기온이나 과로, 피로. 완화요인: 따듯한 물). 소량의 가래와 그로인한 인후 이물감. 콧물 가래(거의 없음. 다량의 콧물 가래나 습성기침에 쓰지 않음). 혹 구조인건, 성시. 경향성 성인 특히 중년이상의 연령대에서 빈발. 신증 오열, 체력 강, 유소아, 습성기침, 콧물 가래가 많은 경우, 연변 설사경향.
▲ 죽엽석고탕: 맥문동탕증인데 구건 다음수(석고+인삼+갱미)가 보이는 경우. 백호가인삼탕증(건해, 인후불리 안 보임)처럼 구건 다음수가 보이는데 그보다는 허증(백호가인삼탕보다 체력 약, 식욕부진)인 경우.
외감, 열성질환, 폐렴, 폐결핵, 대병이나 수술 후 후유증, 당뇨병 등으로 체액이 고갈되고 혹 살이 빠져 갈증, 구건, 다음수 혹 식욕부진이 보일 때 쓰며 성인은 물론 소아에게 쓰는 경우도 있다.
▲ 시호가망초탕(시호16 반하12 망초6~12 대조8 황금∙인삼∙생강∙감초 각 6): 소시호탕증인데 망초증 변폐가 보이는 경우.
▲ 시호가반하탕(시호12 대조8 황금∙인삼∙생강∙감초 각6 반하24~32. 필자의 작방): 소시호탕증인데 식욕부진이 심한 경우. 소시호탕에 대반하탕을 합방한 의미. 혹 꿀 16g을 가하기도 한다.
▲ 시령탕(시령탕①-시호∙반하 각 12 대조8 황금∙인삼∙생강∙감초 각 6 택사10 저령 출 복령6 계지4. 시령탕②-시호∙반하 각 12 황금∙ 생강 각 6 감초0~4~6 택사10 저령 출 복령6 계지4)
부종이 심한 경우 소시호탕증 바탕에 부종이 있거나 심한 경우 경골상 함요부종이 안지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연변 설사경향인 경우 소시호탕 바탕이 없고 성향이 음적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오매환 감별하는데 둘 중 하나의 증상이 있으면 시령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혹 입면장애형 불면이 보이는 경우, 혹 추위를 타는 경우, 혹 오령산증 갈증 및 소변불리인 경우가 있다. 소시호탕증 바탕에 부종이나 연변설사가 보이면 쓸 수 있는데 오령산증 갈증, 소변불리가 없어도 시령탕을 쓸 수 있다. 오령산증 갈증, 소변불리는 혹유 혹무할 수 있다.
임상에서는 이명, 귀 폐색감, 난청, 어지럼증 등에 탁효를 보인다. 소시호탕증 같은데 무효, 미진한 경우(시령탕증을 안 갖춰도) 소시호탕의 플랜B로 고려해볼 수 있다.
▲ 십조탕: 근골동통질환에서 소시호탕의 영원한 플랜B. 형-중동도 전후 근육질, 살집탄탄, 건실. 체력 중~강, 색 짙은 편. 대조 삼두근-능형근 과긴장 압통. 대조근 연인강급-항강, 견통, 배통, 협통, 요통, 서혜부통, 요각통, 슬통, 발목통, 족근통, 족저통 등으로 근육이 당긴다. 뻣뻣하게 굳는다. 뒤틀린다. 경련이 일어난다. 쥐가 내린다. 혹 환부의 발적 열감 급성염증 증상 그 외 TIOM은 별무. 약간의 오열경향이거나 추위 더위 상관없다. 육체노동 종사자, 운동선수 등이 많다.
신증: 대조가 안지되지 않는 경우, 수종이 있는 경우 십조탕은 대개 붓지 않는다. 형색이 치우친 경우: 고도 비만, 고도 수척, 면홍적 면창백이 저명한 경우. TIOM의 문제가 있는 경우: 추위 더위를 심하게 타는 경우, 소화불량이나 속 쓰림이 심한 경우, 연변설사경향, 흉부불편감, 불면경향 등.
▲ 시호계지건강탕: 시호계지건강탕은 소시호탕증 바탕에 오한 궐냉하고 구건형(과루근), 한리형(건강), 불안형(모려) 등 세가지 유형. 소시호탕에 준하는 형색성정으로 혹 인후종통, 구순건조 시호거삼가가계지탕처럼 오한 궐냉(계지) 혹 시호거반삼가과루근탕처럼 구건(과루근)
혹 시령탕처럼 경도의 한리(건강), 혹 시호거조가모려탕처럼 불안 혹 불면(모려)이 보이는 경우.
형색성정: 비만~수척, 체력 강~중등도, 성 양적, 정 예민 긴장+불안. 신체증상: 빈 소시호탕 바탕 혹 인후종통 구순건조, 오한 궐냉(계지). 혹증 구건(과루근), 경한 한리(건강), 불안 혹 불면(모려)
그 외 상충, 심계, 다한출, 속쓰림, 연변경향. 경향성 좌>우 협하~심하저항 압통.
구건형은 시호거반하가인삼과루근탕과 감별. 소시호탕 바탕에 구건한데 오한 궐냉하면 시계강 오한 궐냉하지 않다면 시호거반가삼과탕(그러나 계지가 없음에도 혹 오한, 궐냉한 경우 있음).
소시호탕 바탕에 구건하고 오한 궐냉한데 혹 경한 한리, 혹 불안 불면이 보이면 시계강을 확진, 구건형 시계강의 플랜B는 시호거반가삼과탕.
한리형은 시령탕과 감별, 시령탕은 연변설사경향이나 한리 하지 않지만 혹 수종.
불안형은 시호거조가모려탕∙시호가용모탕과 감별, 오한, 궐냉하지 않는다.
시계강탕은 성향 양적, 감정에서 두려움이 안 읽힘. 시모탕은 성향 음적, 감정에서 두려움 읽힘. 구건, 한리가 보이는 경우가 있다. 시모탕은 구건, 한리가 없다.
한리+불안형은 감사거삼탕과 감별. 감사거삼탕증 같은데 오한 궐냉(감사거삼탕 가계지하고 싶은 경우), 낮은 연변 설사 정도(한리만 보이고 열리는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낮은 불면 정도 (불면이 원발성이 아니라 속발성인 경우가 많다), 혹 구건이 보이면 시계강을 확진. 즉 가계지를 하고 싶은 경우 감사거삼탕을 쓰기에는 연변 설사 정도가 낮다.
시호계지탕이 졸병에 쓰이는 경우: 열성질환, 감기, 대병수술 이후 후유증으로 오한, 미발열, 구건, 多汗出, 상충 혹 경한 마른 기침 등이 보일 때 쓸 수 있다.
▲ 시호가용모탕: 형 비만~중등도, 체력 강~중, 성향 음적~교잡, 감정 두려움, 잘 놀람 혹 불안, 걱정, 긴장 예민. PTSD에 준하는 o/s 히스토리: 스트레스 충격적 사건이후 상기 감정과 불면, 소변지변을 비롯한 모종의 병증이 발현. 주된 감정에 따라 용골형(두려움, 잘 놀람) 혹 모려형(불안), 복령형(걱정), 소시호탕형으로 구분. 소시호탕형은 소시호탕증 성정 교잡, 혹 인후종통 구순건조가 보이는데 용골, 모려, 복령증 중 어느 하나이상이 보이는 경우.
▲ 사역산: (후세방처럼) 병만 있고 신체증상의 차팅이 거의 없다. 병류와 인형의 형색성정만을 보고 쓰는 처방. 형색성정-형 비만~중등도, 색 황갈흑, 성 음적, 정 예민 긴장, 우울. 신체증상-혹 수족냉 수족다한, 순건, 대변정상 혹 (常의) 변비경향.
입면장애형 불면, 걱정 불안+복령, 오한+계지.
*사역산 후주가감방
▷계자(悸者) 가계지오분(加桂枝五分) 사역가계지산, 사역가계산: 계지. 빈증-오한, 궐냉. 혹 상충 분돈, 심계, 신체동통, 두통, 오풍 발열, 한출. 형색성정-면색백, 성향 음적, 약인. 사역산증인데 계지증 오한, 궐냉, 상충이 보이는 경우.
▷소변불리자(小便不利者) 가복령오분(加茯苓五分) 사역가복령산, 사역가령산: 복령, 빈증-불면. 혹 심계, 두현, 신순동, 소변불리. 형색성정-면백황, 성향 음적, 소심, 의심, 유약. 감정-염려, 긴장, 불안. 약인. 사역산증인데 복령증 입면장애형 불면이 보이고 감정은 예민 긴장, 걱정, 불안 등이 읽히는 경우. 정신과질환(불안 및 공황장애, 조현병 등)에 빈용. 정신과질환에서 시호가용모탕과 감별해줄 때가 많다. 양자 모두 성음적, 감정 예민 긴장, 걱정, 불안 등이 혼재되어 읽힘. 시호가용모탕의 주된 감정(두려움)을 읽어 문진으로 확인해 시호가용모탕과 감별.
▷해자(欬者) 가오미자(加五味子) 건강각오분(乾薑各五分) 병주하리(幷主下利) 사역가오미건강산, 사역가미강산: 오미자. 빈증-건해. 혹 두모. 건강. 빈증-한리 혹 한산. 소복요이하냉통(少腹腰以下冷痛). 우빈증(又頻證) 한해(寒咳) 혹 담연(痰涎). 사역산증인데 오미자증 건해가 보이고 혹 건강증으로 한랭자극에 의한 맑은 콧물, 가래가 보이는 경우.
▷복중통자(腹中痛者) 가부자일매(加附子一枚) @사역가부자산, 사역가부산: 부자 빈증 오한, 궐냉. 혹 신체사지의 동통, 불인, 침중. 형색성정-면백황, 성향 음적, 약인, 연로자. 신증-오열, 면적, 강인, 연소자 등. 사역산증인데 부자를 써야할 정도로 심한 오한, 궐냉 혹 불인이 보이는 경우
▷설리하중자(泄利下重者) 선이수오승(先以水五升) 자해백삼승(煮薤白三升) 사역가해백산: 해백 빈증 흉비, 혹 심통, 심중비. 사역산증인데 해백증 가슴 답답함 혹 가슴 통증, 숨참 등이 보이는 경우, 지실해백계지탕의 플랜B.
▲ 대시호탕: 형색성정-비만, 장실, 체력강, 면황갈흑 혹 화농성 면종, 성음적 혹 교잡, 감정 안정 혹 불안정. 신체증상-소화불량 식체빈발 혹 오심, 변폐 복만 혹 흉만 협통, 혹 순건구조. 우>좌 협하~심하 저항 압통, 복직근~전복상 경결 압통, 대조 작약근 안지. 그 외 오열, 다한출, 호냉수, 식욕왕성, 수면양호, 견항통, 혹 두중통 등으로 차팅.
경향성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가 모두 높은 경우가 많다. 신증-수척, 체력약, 면창백, 심한 오한, 연변설사경향.
조현창 원장(TEM, c0454445@gmail.com)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