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지제의 다양한 방제와 함께 기타 방제 처방까지 총정리.
이번 호에서는 계지제와 함께 그동안 언급하지 못한 상한방을 정리해 살펴보겠다.
▷계지가작약생강인삼신가탕+작약8 인삼6: ①계지탕증인데 과식 시 소화불량을 호소. ②작약이 증량돼 있다. 대개 작약이 안지. ③그러나 계지가작약탕처럼 복만, 연변 설사가 나타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오히려 상의 변비경향(연변 설사 경향일 경우에는 신용). 소화불량, 복통, 두통, 근골동통질환, 산후풍, 피부병 plan B 생강감초탕, 대건중탕, 인삼양위탕(계강양위탕).
▷계지가황기탕+황기4: 계지탕증인데 ①다한출 ②미부종 ③소량의 맑은 콧물이 나는 비염, 또는 소량의 맑은 진물이 흐르는 중이염, 혹 맑은 진물이 흐르는 피부병(피부병에는 대개 황기건중탕을 쓰는 경우가 많다.)-계지탕 상충으로도 다한출할 수 있지만 계지황기탕은 다한출하면서 미부종이 있다. 얼굴이 약간 푸석푸석하고 환자도 약간 붓는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한랭자극, 식사 시 소량의 맑은 콧물이 나는 경미한 비염. 재채기는 거의 없다.
▷기작계주탕: 황기계지오물탕은 계지탕의 구조가 남아있지만 기작계주탕은 계지탕에서 대조, 감초가 빠지면서 계지탕의 구조가 깨진다. 황기계지오물탕증 같은데 계지탕증이 보이지 않고 황기증 다한출, 피수 악창 등을 보고 쓰는 처방.
①체형의 비~수, 성향의 음~양, 한열의 오한~오열 등의 범위가 넓다-추위를 타는 경우도 있고 타지 않는 경우도 있다. 환자는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을 몸에 열이 많아 더위를 많이 탄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②전신적 국소적 다한출-온몸에서 땀이 많이 나는 경우. 손발 등 국소부위에서 땀이 많이 나는 경우에 쓸 수 있다.
③(진물이 나는) 피부병. 습진, 한포진, 건선 등
▷오수유탕: 오수유가 군약, 오수유 하나의 약증을 보고 쓰는 처방. 면백황, 성향 음적, 인. 오한, 궐냉한데 대개 한산이 보이고 혹 흉만, 두통, 구토가 보이는 경우. 신증: 체력강, 면적갈흑, 성양적, 오열, 부종→계지(거작약)탕보다 비수, 한열, 체력의 범위가 넓다.
한산형: 평소 아랫배가 차다. 생리때 아랫배를 따듯이 지지는 것을 좋아한다.
②신중형: 평소 체력이 (매우) 약하다. 기초체력이 약해 조금만 무리해도 금방 지치고 쉬 피로해진다. 남보다 잠을 (7~8시간 이상) 많이 자야 덜 피곤하다. 수면이 부족한 상황이 오래되면서 어떤 병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목욕탕 사우나에서 땀을 빼고 나면 몸이 무겁고 지친다.
③구토형: A(두통, 생리통 등)으로 인하여 오심, 구토 오수유탕증의 두통(또는 생리통)은 오심 구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부터 여타 두통을 치하는 처방과 감별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④흉만번조형: 흉만 그로인한 숨참, 혹 불안, 불면. 가슴이 답답한 경우가 있다. 가슴이 답답해 숨 차기도 하고 혹 불안, 불면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근골동통질환, 부인과질환(생리통, 산후풍, 냉대하), 피부과질환 혹 심혈관계질환(흉부불편감으로 인한 유사심장질환), 혹 호흡기질환(비염, 숨참), 혹 소화기 질환(구토), 혹 신경정신과질환(한산 냉증의 하복통-복강수술후 하복냉통 등-두통, 어지럼증 등).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오수유탕증 같은데 체형은 비만~중등도, 체력은 약한 편, 오수유탕보다는 체력이 좋은 편. 오수유탕과 비교 감별해 선방되는 경우가 많다.
오수유탕증처럼 오한, 궐냉, 한산 혹 흉만, 두통이 보이는데 ①부종이 있는 경우가 많다. ②혹 소변을 자주 보거나 잘 안 보거나, 소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치 않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목통). ③그리고 경미한 소화불량, 연변설사경향. ④때로 부자를 써야할 정도로 오한, 수족궐냉이 심한 경우. ⑤상충이 나타나는 경우. ⑥작약이 안지되는 경우.
-근골동통질환: 국소부위 냉감을 동반한 제반 근골동통질환.
-부인과질환: 생리통, 한산복통, 냉대하, 불임, 불감증.
-냉증질환: 심한 오한과 수족냉증, 레이노병, 버거씨병, 동상.
-피부과질환: 두드러기, 콜드알러지 등 그 외 두통, 수족다한증.
▷당귀사역탕: 계지탕증 같은데 수족궐냉이 유달리 심하나 계지가부자탕, 오두계지탕증은 아닌 경우. 혹 부종, 소변불리, 속쓰림, 맥미세약
▷계지부자탕: 계지거작약가부자탕증인데 부자증 오한, 궐냉 혹 불인, 침중이 저명해 부자를 일미증강해 써야할 것 같은 경우. 계지거작약가부자탕-계지부자탕의 관계는 계지가부자탕-오두계지탕의 관계와 비슷. 필자의 경우 계지거작약가부자탕보다 계지부자탕의 임상빈도가 (훨씬) 더 높다.
▷황금탕: 계지가작약탕증인데 추위를 타지 않는 경우. 유소아 계지가작약탕증은 오한에 구애받지 않고 쓰는 경우가 있다. 황금탕은 계지가작약탕보다 체형이 건실하고 체력도 강하며 성향도 양적으로 기울어져 있고 오열자로 열증이 보이는 경우에 쓴다.
▷황금가반하생강탕: 황금탕증인데 반하 생강증 오심, 구토, 트림빈발 등이 보이는 경우. 피부질환에 반하 생강증이 특별히 보이지 않아도 루틴하게 반하 생강을 가해 쓰는 경우가 많다.
▷감초분밀탕: 임상에서는 소아의 원인불명의 복통빈발에 빈용. 임상에서는 소아복통에 소시호탕, 소건중탕, 감초분밀탕 혹 감초건강탕 등이 빈용. 감초분밀탕은 수척, 식욕부진, 상의 변비 경향, 복부가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긴장됨. 이때 작약이 안지되면 소건중탕을 쓴다. 소건중탕, 소시호탕 등이 배제되고 감초분밀탕을 써야할 경우가 있다.
▷작약감초탕: 소건중탕증 같은데 ①형 비~중등도, 체력 중등도 이상으로 약하지 하고 ②오한, 궐냉이 보이지 않고 오히려 몸에 열이 많아 더위를 타는 경우 ③작약이 안지.
-근골동통질환: 좌섬요통, 좌골신경통, 다리 쥐내림(각연급), 족근통, 배통 등.
-그 외 복통, 소아야제, 설강직, 저작근 강직으로 인한 턱관절통.
▷작약감초부자탕: 작약감초탕증인데 부자를 써야할 정도로 ①오한 궐냉이 심한 경우 ②거기에 더하여 불인 또는 침중이 보이는 경우
▷감수반하탕: 작약감초탕증 같은데 좀 더 체형이 건실하고 오열자. 특히 부종 혹 소변지변이 보이는 경우.
▷지실작약산: 작약감초탕증에 준하는 형색과 신체증상을 가진 자의 생리통, 생식기관련 복통에 쓴다. 지실작약산은 생리통에 쓰이는 경우가 많다. 체형은 비만~중등도, 체력은 중등도 이상, 성향은 음적이고 감정은 다소 우울(depressed)되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생리통의 원인 참조, 『금궤요략』 부인과 참조.
▷당귀작약산: 형색성정-형 비~수, 체력 약~중등도 이하, 색-백황 혹 푸석, 성향-음적 완만 정적 온순 여성적, 감정 안정 혹 불안. 비수한열의 범위가 넓다. 계지복령환보다는 허증. 신체증상: 부종, 빈혈. 혹 소변불리, 경미한 수면장애, 변비경향. 불문진단-작약 안지 혹유 혹무. 하복 풍만, 좌하복~전복 저항 압통. 부인과질환: 생리통, 산후풍, 산후부종, 빈혈, 불임, 유산징후. 근골동통질환, 피부질환, 그 외 두통, 어지럼증 등.
▷홍람화주: 어혈로 인한 생리통인데 연변 설사경향인 경우.
▷궁귀교애탕: 형색성정-형 수척~중등도, 피부가 전체적으로 건조하고 꺼칠하며 각질이 보이는 경우가 많다. 체력 약~중등도, 색 백황갈, 성향 음적. 신체증상-변비경향, 오한 혹유 혹무. 불문진단-작약 안지 혹유 혹무. 빈용병류-성향 음적인 자의 하혈 최빈용방, 피부건조 혹 출혈을 동반하는 피부과질환. 만약 부종이 있고 소변불리한 경우는 당귀작약산을 쓰는 것이 마땅하다. (『유취방광의』)
-부인과질환: 하혈, 부정기출혈, 빈발월경, 혈변, 빈혈, 하혈이 있는 유산징후, 습관성유산, 불임.
-피부질환: 아토피, 주부습진, 수장각화증, 건선, 어린선, 혈소판감소성자반증.
-근골동통질환: 타박어혈통, 외상후 내출혈.
▷감초부자탕∙백출부자탕: 감초부자탕과 백출부자탕은 감별하기 어려운 처방. 냉증의 근골동통을 호소하는데 부자를 써야할 정도로 오한, 궐냉이 심하고 혹 부인, 침중이 보일 수 있다. 소변을 자주 보고 시원치 않거나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감초부자탕은 계지감초의 상충 분돈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백출부자탕은 대조를 써야할 근육의 견인감, 강직감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팔미: 신기환과 백출부자탕은 감별하기 어려운 처방. 두 처방 모두 부자를 써야할 정도로 오한, 궐냉이 심하고 거기에 부인 침중이 보일 수 있다. 소변불리, 부종, 변비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팔미는 백출부자탕 보다는 체형이 건실하고 체력도 좋은 경우가 많다. 식욕 소화도 양호한 편이다. 팔미는 병위가 제하로 국한되거나 제하 위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백출부자탕은 상하 전신에 걸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팔미는 제하의 냉감 혹 번열감, 위약 이완 무력, 감각의 둔마, 마비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백출부자탕의 소변지변은 대개 소변을 자주 보고 시원치 않거나 소변을 잘 안본다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팔미는 그외 절박뇨, 요실금, 뇨폐, 단속뇨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천웅산: 천웅산은 팔미, 영강출감탕과 감별이 어려운 처방이다. 체형은 비~수, 체력 약~중등도 전후, 성향 음적인 자이다. 부자제로서 성인에게 많이 쓰인다. 부자를 써야할 정도로 오한, 궐냉이 심하고 혹 불인이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병위도 대개 제하로 국한되어 나타난다. 소변지변도 소변불리, 빈뇨, 잔뇨감, 절박뇨, 요실금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감초탕∙저부탕: 감초탕 저부탕은 상한론 소음병 처방으로 인통에 쓰는 처방. 감초탕은 대개 수척, 체력약, 성음적인 사람에게 쓰고 저부탕은 감초탕보다는 체형이 건실하고 체력도 중등도 이하, 성음적인 사람에게 쓴다. 감초탕은 인통이라기 보다는 인후 자극감에 의한 불편감에 가깝고 저부탕은 (비교적 저명한) 인통으로 나타난다.
조현창 원장(TEM, [email protected])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