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슬통+발목 통증∙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우 슬통 환자의 치험례
이번 호에서는 소화기질환을 동반한 근골동통질환과 정신과 질환에 가장 많이 쓰는 방제 중에 반하사심탕에 대해서 이론을 설명하고 사례를 소개하겠다.
▷반하사심탕: 반하12 대조8 황금 건강 인삼 감초6 황련2~4~6 ×1~2
▲ 약물의 임상단서
▷인삼 지표성+++ 빈용도+++
- 빈증: ①과식하면 소화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소화가 안되면 명치가 막힌 듯 더부룩 답답.
- 혹증: ②식욕부진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③명치부위 복통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황련 지표성+++ 빈용도+++
- 빈증: ①성향 양적으로 외부 자극에 의한 입면장애형 불면이 보이는 경우에 쓴다. 상열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평소 잘 자는 편이어도) 내일 중요한 일이 있거나 딴 곳에서 자거나 신경, 예민, 걱정, 스트레스 등 외부 자극이 있으면 잠을 자려 해도 1~2시간 이상 잠을 못 잔다. 스트레스, 긴장, 흥분, 온열자극, 음주 등으로 상열이 유발·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 혹증: ②면적, 피부찰과발적 등의 煩赤之狀 ②심계항진 ③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속쓰림 ④출혈 등.
- 형색성정: ⑤성향 양적. 언행이 급하고 활동적, 외향적, 기세 강하고 자존감이 높고 시비지심이 뚜렷한 경우가 많다. ⑥감정은 흥분, 분노 외 예민, 긴장, 불안이 읽히는 경우가 많다. 쉽게 흥분하고 신경질, 짜증, 화를 잘 내는 경우가 많다.
▷황금 지표성+ 빈용도+++
- 혹증: ①열리-맵거나 자극적인 음식, 기름기 많은 음식을 먹으면 연변·설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②(사심탕, 대시호탕 혹 갈근황련황금탕, 황금가반하생강탕 등에서) 과식 시 소화가 안 되는 경우가 있다. ③국소부위 급성염증으로 발적, 열감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 TIP: ④빈증이 없고 혹증만 있는 약물. 지표성 낮아 임상 단서가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건강 지표성+++ 빈용도++
- 빈증: ①한리-배를 차게 하거나 찬 음료, 찬 음식 특히 찬 맥주나 우유를 먹으면 연변·설사를 자주 한다.
- 혹증: ②한산-평소 아랫배가 차다. 그로 인해 하복냉통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우혹증: ③한해-찬기온에 의해 유발·악화되는 소량의 맑고 묽은 콧물, 가래 혹 기침을 하는 경우가 있다.
▷반하 지표성++ 빈용도+++
- 빈증: ①속 메슥거림, 헛구역질을 하거나 혹 토하기도 한다. 평소 비위가 약한 편. 과음 후 속이 메슥거리거나 양치나 식사 시 헛구역질을 하거나 차멀미를 잘하는 경우가 많다. 부녀의 임신 입덧, 소아의 식욕부진에 쓰는 경우가 많다.
- 혹증: ②그로 인해 식욕부진한 경우가 있다. ③장명음이 심하게 나는 경우가 있다. ④피부트러블로 인한 피부질환이나 내부 장기점막의 종양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 우빈증: ⑤소량의 가래로 인한 인후 이물감, 자극감, 불편감 ⑥그로인해 기침을 하는 경우가 있다.
▷대조 지표성+ 빈용도+++
- 빈증: ①대조근(주로 신근, 자세유지근의 백색건 위주)의 과긴장 ②상완삼두근, 능형근, 요추기립근, 외복사근, 제하복직근, 서혜인대, 장경인대, 아킬레스건, 족저근막 등의 과긴장으로 인한 당김, 쥐내림, 뒤틀림, 강직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안진: ③삼두근-능형근의 과긴장 압통이 안진. 대조가 안진되면 대조를 쓰거나 쓰지 않을 수 있다. 대조가 안진되지 않이도 대조를 쓰는 경우가 있다.
▲ 처방기준(황련탕과 비교)
황련증탕 같은데 ①오한·궐냉 하지 않고 오열경향 ②한리>열리 위주의 높은 정도, 빈도의 연변·설사를 하는 경우 ③황련탕보다는 실열증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체형 비만, 건실하고 체력강하며 오열경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형색성정 |
체형 수척~비만, 체력 중등도 전후, 면색 백황갈, 번적 관홍 성향 양적, 감정 흥분, 분노 + 긴장, 예민, 걱정, 불안 |
|
신체증상 |
빈증 |
오한·궐냉, 소화불량, 높은 정도, 빈도의 연변·설사경향(한리>열리) |
입면장애형 불면 |
||
혹증 |
상열, 심계위주의 흉부 불편감, 오심 구토, 피부과민, 찰과발적 |
|
경향성 |
심하~협하 저항 압통, 대조 삼두근-능형근 안진 |
|
신증 |
성향·체형 모두 음적, 감정 안정, 소화양호, 변비경향 |
▲사례1. 좌 슬통, 발목 통증
박** 여 25살 사무직 163cm 59kgBMI 22.21 정상 (75%) 미혼 경기도 안양시 거주.
- cc1 左 슬통, 발목 통증 –o/s 수년전부터 무릎, 발목이 안 좋았는데 작년부터 악화. VAS: 슬통 VAS 5~6, 발목 통증 VAS 2. 무릎을 심하게 부딪친 이후 슬통 악화. 오래 걸으면 무릎이 쑤시고 아린다. 계단을 원활하게 오르내리지 못한다. 발목을 한번 삔 이후로 자주 삔다. 많이 걸으면 시큰거리고 아프다. 오른쪽 종아리가 잘 붓고 아프다. 병원 MRI상 반월판 퇴행성 마모로 인한 슬관절염으로 진단. 물리치료, 진통제를 복용하였으나 별 무효. 악화요인: 과사용, 습한 날씨, 저녁, 다리를 굴곡 후 신전 시, 계단 오르내릴 때
- cc2 손목 건초염-정도: VAS 3. o/s: 이 역시 작년부터 발생. 손목이 시큰거리고 아프다. 많이 쓰면 더 아프다. 형색성정: 비만, 면색 홍조는 뚜렷하지 않음. 체력이 강인한 편으로 보인다. 양적 성향이 명료. 언행급, 활동적, 밝은 편, 기세 강단이 있다. 성음이 빠르고 단호하게 끊어서 얘기. 문진 시 대답 명확. 감정은 불안정 등은 특별히 읽히지 않음. 안진: 삼두근-능형근 과긴장 압통 안진→160215 2년후 출산후 산후풍으로 재내원. 출산 후 전신 관절통이 생겼다. 손목 발목통이 심하다. 출산 후 무엇보다도 추위를 많이 타게 됨. 하지부위 냉감이 심함.
▷접근: 근골동통질환의 프로토콜에 따라 접근.
- ①한: 추위를 심하게 타지 않는 편. 체온저하 문제없음. 계지, 오수유, 부자r/o.
- ②I/O: 소화불량(인삼 등), 한리(건강), 열리(황금) 등.
- ③mental: 양적 성향. 외부자극에 의한 입면장애형 불면. 황련 고려.
- ④부종: 종아리가 자주 붓는다지만 함요부종 없음, 무릎이 부은 적도 없음. 부종은 고려하지 않아도 됨.
- ⑤조작: 작약근이 안지되지 않고 대조근만 안지. 환자는 무릎, 하지의 당김, 뻣뻣함, 굳음, 쥐내림 등은 없음. 근육 과긴장으로 인한 통증양상은 파악되지 않음. 대조를 증량해 쓸 필요는 없음.
반하사심탕이 가장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보였다. 이 약은 제반 근골동통질환에 탁효를 보이는 처방이다. 필자 역시 근골동통질환에 대한 반하사심탕류의 수많은 증례가 있다. 그리 어렵지 않게 반하사심탕으로 접근하였고 적효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40520 반하사심탕 35일 복용 후 슬통, 발목 통증 60~70% 호전. 생활에 불편이 없을 정도, 손목 건초염 소실.
→140630 반하사심탕 72일 복용후 슬통, 발목통 소실, 소화불량 크게 개선. 잠도 예전보다 숙면을 취할 수 있음.
▲사례2.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우 슬통
유** 여 54세 153cm 58kg BMI 24.78 과체중 (50%) BP113/67, 맥박수 61회/분. 경기도 안양시 거주.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右 슬통. o/s 2~3년 전. 정도/빈도/지속시간: VAS 5~6. 병원 검사상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 3개월 전 관절경 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받음. 직업 특성상 무릎을 많이 사용. 환부에서 냉감, 열감. 심하면 무릎이 부어오른다. 3달 전에도 무릎이 부어 병원에서 물을 뺐다. 무릎 내측 압진 시 압통. 무릎에 냉감 시린감이 있고 무릎 안쪽이 약간 붉게 발적됨. 손등으로 만지면 좌측보다 우측 환부에 약간의 열감.
-악화요인: 앉았다 일어날 때, 계단 오르내릴 때. 완화요인: 온열자극
-형색성정: 양적 성향으로 보인다. 그 외 특별한 감정이 읽히지 않음.
-안진: 능형근-삼두근 과긴장 압통
▷접근: 반하사심탕, 강금련삼탕이 가장 적합도가 높아 보임. 반하사심탕은 황련1량, 강금련삼탕은 황련3량이 배오. 황련의 용량의존성에 따라 반하사심탕은 황련증 입면장애형 불면이 혹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으나 강금련삼탕은 거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환자의 경우 황련증 입면장애형 불면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반하사심탕을 쓰는 것이 더 적절. 반하사심탕은 대조가 배오되고 강금련삼탕은 대조가 배오되지 않는다. 그래서 강금련삼탕은 근육의 과긴장으로 인한 동통을 해결해주지 못한다. 비록 이 환자에게는 근육 과긴장으로 인한 동통양상이 보이지 않았으나 근골동통질환에는 대조를 써주는 것이 좋은 경우가 많다.
근골동통질환에서 반하사심탕은 빈용도가 매우 높고 강금련삼탕은 매우 낮다. 필자도 근골동통질환에 대한 강금련삼탕의 증례는 1~2례 정도만 갖고 있다. 때문에 반하사심탕의 적합도가 더 높아 보인다.
조현창 원장(TEM, [email protected])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