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에서는 소시호탕증에 대변이 막히는 증상에 많이 사용하는 시호가망초탕을 소개하겠다.
*시호가망초탕 빈용도 하중 2++: 시호 반하12 망초6~12 대조8 황금 인삼 생강 감초6
(於小柴胡湯方內 加芒硝六兩. 小柴胡湯의 方內에 芒硝 6兩을 더한다.)
▶처방분석: 소시호탕에 망초를 더한 처방. 넓은 의미의 소시호탕 후주가감방의 일종. 소시호탕증인데 망초를 써야 할 변비, 숙식, 소화불량 등이 보일 때.
▶약물의 임상단서: 망초 지표성++ 빈용도+, 변폐+복만이번조.
빈증 ①대변을 제때 제대로 못 보면 배에 가스가 많이 차고 더부룩 답답해 매우 불편.
혹증 ②(조위승기탕, 귤피대황박초탕 혹 도인승기탕증에서) 과식하면 소화가 안됨.
신증 ③수척, 허약, 식욕부진, 연변·설사 경향, 설사를 하고 나면 몸이 무겁고 지치는 경우, 신중하게 재고.
TIP ④임상단서가 대황과 대동소이. 대황과 배오돼 대황을 보조하는 경우가 많다. 소시호탕과 비교 감별해 처방.
▶강해: 시호가망초탕은 소시호탕에 망초를 더한 처방으로 소시호탕 후주가감방의 일종이다.
때문에 소시호탕증인데 망초를 써야 할 정도의 변비나 소화불량이 있는 경우 고려해본다. 망초는 대황과 효능이 유사하다. 대황은 대장관에 작용하지만 망초는 대장관은 물론 위장관에도 작용(위장관~대장관)하는 게 다른 점이다.
대황과 망초는 대장관에 적체된 대변을 사하시키는데 망초는 대장관 및 위장관에 작용해 위장관에 적체된 음식물을 내려줘 위장관에 음식물이 적체돼 생긴 소화불량도 치료할 수 있다. 그래서 시호가망초탕은 망초를 써야 할 정도의 변비는 물론 소화불량도 치료 가능한 것이다. 보통 소시호탕만 먹어도 대변이 잘 나오지만 변비 정도가 심하면 시호가망초탕을 쓴다. 혹은 명치가 많이 막혀서 소화불량의 정도가 높을 때도 시호가망초탕을 쓸 수 있다.
▶형색성정/신체증상: 소시호탕 바탕. 소시호탕보다 체형이 좀 더 비만으로 기운 경우가 많다. 그 외 형색성정은 소시호탕과 동일하다. 신체증상의 빈증은 인후종통, 구순건조이고 혹증은 소양경 염증(흉협고만), 목현이다. 여기에 망초증이 빈혹증으로 더해집니다. 빈증에 변폐+복만이번조가 더해지며 혹증에 숙식, 소화불량, 식체가 더해질 수 있다.
소시호탕증인데 망초를 써야 할 정도의 변비가 있다. 대변을 제때 못 보거나 잔변감이 심하면 배에 가스가 많이 차고 더부룩 답답하여 매우 괴롭고 불편하면 망초를 더해 쓸 수 있다. 상의 변비 경향일지라도 망초를 써서 공하할 필요가 있을 때 쓰기도 한다.
아토피, 두드러기 등 피부질환, 인삼만으로 관해되지 않는 완고한 소화불량이 있을 때, 소시호탕만으로도 변비가 치료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확실히 치료하고자 할 때 상의 변비 경향일지라도 망초를 써서 공하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망초를 쓰기 때문에 적어도 연변·설사 경향은 아니며 평소에 변비 경향이다. 대변을 매일 못 본다, 변아 단단하다, 대변이 잘 안 나온다, 대변을 오래 본다, 설사를 해도 쾌변을 보면 몸이 가볍고 개운하다 등으로 얘기한다.
혹증으로 소화불량, 식체가 나타날 수 있다. 과식하면 소화가 안 된다, 체한다, 명치가 막힌 듯 더부룩 답답하다 등. 시호가망초탕은 망초를 써서 인삼만으로 관해되지 않는 완고한 소화불량, 식체를 치할 수 있다. 이때는 변비가 없어도 적어도 연변·설사 경향만 아니라면 쓸 수 있다.
▶빈용병증: 소시호탕과 대동소이하다. 추가적으로 변비, 소화불량에도 응용될 수 있다. 옛 의가들은 소시호탕증인데 협하에 단단한 덩어리가 있는 경우 썼다. 『상한론』에서는 소시호탕증인데 소시호탕만으로 열이 떨어지지 않을 때 망초로 공하해 열을 떨어뜨리고자 썼다.
▶임상조문:
“傷寒十三日不解 「胸脇滿而嘔 日晡所發潮熱」 已而微利 此本柴胡證 下之以不得利 今反利者 知醫以丸藥下之 此非其治也 潮熱者 實也 「先宜服小柴胡湯以解外 後以柴胡加芒消湯主之」”
“…흉협부가 그득하면서 구역질이 나고, 날이 질 무렵이면 조열이 오르면…먼저 마땅히 소시호탕을 복용하여 외부를 풀어준 이후 시호가망초탕으로 주치한다” -『상한론』
조현창 원장(TEM,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