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은 척수가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뼈 안의 공간이 협소하게 변해 발병하는 척추 질환이다.
특히 척추관 내 인대가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척추관 공간이 더욱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극심한 허리 통증을 일으키고 다리 저림, 하지 감각 저하, 하지방사통 등을 초래하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척추관 내 압박을 받는 신경이 하지와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퇴행이다. 일상생활 속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습관을 반복적으로 영위할 경우 척추체는 물론 주변 근육 및 인대의 퇴행이 빠르게 이뤄진다.
척추관협착증 발병 시 허리 통증으로 인해 걷기가 힘들어 휴식을 반복하기 마련이다.
심지어 일어설 수 없을 정도로 보행이 어려워 삶의 질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문제는 척추관협착증 치료 후 재발 사례가 빈번하다는 점이다.
고령층 특성 상 척추관협착증 발병 시 외과적 수술 대신 비수술 요법을 고려하기 마련이다.
젊은층 대비 회복 속도가 느리고 기타 합병증 및 출혈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수술 치료를 받은 후 허리 통증과 하지 이상 증세가 여전히 남아 고통을 받는 고령 환자들이 많다.
척추관협착증 치료 후 재발 원인으로 주변 인대의 개선이 미미하게 이뤄진 경우를 꼽을 수 있다.
척추뼈 사이 정중앙에 위치한 극간인대, 척추 각 뼈에 자리한 횡돌기 사이 인대, 척추 깊이 위치한 황인대가 정상화되지 않아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실제로 척추관협착증 환자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것이 극간인대, 횡인대, 황인대의 유착이다.
척추관협착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한 고령 환자라면 척추 부정렬이 오래 이어져 주변 인대의 만성적인 손상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다.
극심한 허리 통증으로 척추 균형이 무너져 주변 인대에 염증 물질이 달라 붙어 신경근 유착을 일으키는 것이다.
만약 척추관의 내부 공간 확대에만 주력한 채 주변 인대 유착을 방치한 경우 언제든지 허리 통증 및 하지 이상 재발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 큰 문제는 허리 통증 재발을 겪는 고령층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어 민간요법에 의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는 점이다.
외과적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 막연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정밀 진단 및 치료를 차일피일 미루기도 한다.
척추관협착증 재발 원인이 인대 손상 및 유착이라면 도침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종기를 치료했던 피침, 봉침을 현대화한 원리로 침 끝 모양이 미세한 칼 모양처럼 생겨 도침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끝이 칼 모양인 도침을 활용하여 굳은 인대 및 근육을 풀어 척추 병변 조직의 유착, 반흔을 개선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절개가 필요 없는 전통 방식이 한의학적 비수술 침 치료인 만큼 외과적 수술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최성훈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