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2.7배가 더 많고 환자들은 침 치료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다.
자생척추관절연구소(소장 하인혁)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국민환자표본(HIRA-NPS) 자료를 활용해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총 9년간 편두통(상병분류기호: G43)을 진단받고 1회 이상 한방진료나 양방진료를 받은 환자들 가운데 무작위층화 표본 추출을 거친 11만715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국내 편두통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분석 결과, 여성(72.9%)이 남성(27.1%)보다 2.7배 많았고 연령대는 45-54세(21.31%), 35-44세(18.15%), 55-64세(15.92%) 순이었으며 35~54세 연령층에 해당하는 비율이 39.4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두통 환자의 의료이용 내역의 경우, 내원 유형에서는 외래 99.1%, 입원 0.9%로 대부분 외래 치료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편두통은 근골격계 질환과 달리 환자 거동에 제약이 없고 대부분 만성적이기 때문에 외래치료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총 치료비는 2010년 92만1858달러에서 2018년 171만1220달러로 85.63%나 증가하며 2015년 소폭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9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방치료와 양방치료 각각의 진료 건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한방치료에 해당하는 침치료가 16만6430건으로 9년간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양방치료의 피하 또는 근육 내 주사가 5만7942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한방치료 가운데 침치료 다음으로는 온냉경락요법(5만715건), 뜸치료(3만7573건), 건식 부항(3만503건) 등의 치료법이 이뤄졌다.
이 외에 연구팀은 편두통 치료에 사용된 약물 추이 분석도 실시했다.
그 결과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틸살리실산과 같은 단순진통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가 54.95%로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편두통 예방약물 처방의 경우 2010년에 1만3600건이었으나 2018년에 2만546건으로 약 1.51배에 달하는 상승 폭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편두통에 대한 의료현황을 한방과 양방으로 구분해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이원화된 보건의료체계를 반영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편두통 관련 질환의 건강보험수가 결정 및 예산 책정 등 국가 보건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서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영국 의학 저널 오픈(BMJ open, IF=3.007)’ 3월호에 게재됐다./자료=자생한방병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