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학은 성리학 토대 위 인간 이해하는 독창적 체계”
인종∙문화 넘어 체질 진단 및 효과적 치료, 5월 특강에 임상 노하우 소개
“기존의 증치의학과 사상의학의 접근방식이 다르다 보니 다소 부담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중의학은 기존 음양오행사상 위에서 이해하고 사상의학은 특유의 사원구조적 인간관에 대한 이해 위에서 접근하는 것이 오해를 없애고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중의학과 한국 사상의학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경희대 한의대 고병희 교수<사진>의 설명이다. 고 교수는 경희대 사상체질의학과 박사, 경희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사상의학과 과장, 사상체질의학회 3대 회장,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수많은 학술 발표와 임상 경험을 통해 세계 3대 인명사전 중 하나인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Who’s Who in Medicine and Healthcare 2011-2012)’에 등재되기도 한 ‘사상의학의 대가’다.
그는 한국사상체질의학회를 대표해 대한민국 최초 한의학 박사 1호로 경희대 초대학장 및 교수, 경희의료원 초대 한방병원장으로 역임한 고 노정우 박사의 사상의학 관련 유품과 유물을 받기 위해 오는 5월 미국을 방문한다. 또한 한의타임즈 창간 기념을 겸해 김남일 교수(경희대 한의대)와 함께 특별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다.
고병희 교수는 “사상의학을 기존 중의학적인 토대 위에서 이해하려는 방법이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며 “사상의학적인 관찰방법에 따라 대상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조절해가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 특강은 사상의학 입문자들은 물론 기존에 이미 경험한 한의사들도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될 전망이다.
고 교수는 미국의 다양한 인종에게도 사상의학 치료가 유용하다고 보고 있다. 이미 미국인 대상으로도 체질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고 실제 임상에서도 인종에 상관없이 효과를 확인할 수 있기에 인종이나 문화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는 얘기다.
사상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체질 진단에 대해 그는 “용모사기, 성질재간, 체형기상, 병증약리를 효율적으로 잘 종합한 판단이 중요하다”며 “설문도구나, 안면진단, 음성진단, 체형계측 등을 살펴서 적용하되 확신이 안 서면 살펴 판단하라”고 조언한다.
또한 “사상의학에서 ‘땀’은 중요한 생리지표의 하나로 임상과정에서 소화상태, 대변 및 소변상태와 함께 중요한 참고자료”이며 “표실과 표허 구분에 중요인자이고 체질에 따라 병증에 따라 발한상태의 특징적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땀의 부위와 양, 발한 유무를 체질과 병증에 따라 효과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체질진단과 치료를 위한 집증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고병희 교수는 중의학과 사상의학에서의 표리의 다른 점에 대서는 “기존의 표리는 사기의 소재가 어디에 존재하는가를 두고 표리를 나눈 반면 사상의학은 체질별 장리와 성정의 차이에 입각한 개념으로 다소 차이가 있고 정기의 변화가 어디에서 나타나는가에 보다 중점을 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고 교수는 오는 5월25일 동국대LA에서 ‘사상의학의 임상응용’이란 주제로 특강을 한다. 이번 강의엔 체질 진단에서부터 구체적인 침 치료법까지 그 동안 쌓아왔던 노하우를 십분 소개할 예정이다. (강의 문의 T. 323-804-5703, [email protected])
진희정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역사 속 의학 인물로부터 현대를 보다!
의사학 전문가 ‘경희대 한의대 김남일 교수’ 인터뷰
“이번 특강에서는 한국 전통시대의 유의(儒醫)로부터 현대까지의 의학인물을 다룹니다. 이들의 의학적 행적과 의학적 업적 그리고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소개합니다.”
고병희 교수와 함께 오는 5월25일 특강을 진행할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김남일 교수<사진>의 설명이다.
경희대 한의대 학장을 역임한 김 교수는 다수의 저서와 한국내외 논문 발표를 통해 한의학 역사와 인물을 재조명해 온 의사학 전문가로 유명하다.
김 교수는 “현대 한의학의 임상은 과거로부터 내려온 이들의 유산을 계승한 것”이라며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는 한의학에 대한 이해도 제고와 임상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즉 한의학 역사나 역사 속 인물의 연구와 이해가 고리타분한 과거의 학문이 아니라 현재를 넘어 미래의 후배들에까지 더 나은 임상과 학문을 전해주기 위한 연결고리인 것이다.
그는 또한 “현대 한의학에서 주 치료 수단인 침과 약과 뜸 그리고 추나 등의 방법들은 과거 의학 인물들의 학문적 성취를 통해 창출해낸 치료술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라며 “이에 대한 이해는 현대적 임상 방법론의 개발에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남일 교수는 이번 5월 특강을 통해 자신의 연구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오늘을 사는 한의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강의를 펼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