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진행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턱관절 장애는 전체인구의 5~12%에 달하며 만성 요통에 이어 미국에서 두 번째로 흔한 근골격계 장애다. 이번 호에서는 턱관절 질환의 정의와 이학적 검사나 진료평가 툴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정의: 턱관절 장애(TMD; Temporomandibular disorders)는 턱관절과 저작근 등 관련된 모든 조직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및 신경근육계 증상이다. 턱관절은 물론 주변 근육, 조직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증상을 포함한다. 최근엔 저작기관의 장애 복합체로 이해하는 추세다.
증상은 귀, 머리, 얼굴 부분 통증이며 턱관절 가동 범위 제한과 관절운동시 다양한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만성화되면 편두통, 섬유근통 등 광범위 통증과 관계되고 우울증, 과민성대장증후군이 동시에 나타나기 쉬우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 한의학적 이해: 턱관절은 협거골, 하아상골, 아조, 관절강은 조환이라 각각 명칭한다. 턱관절장애는 협거차, 하협골락, 함해, 탈하, 면통 등으로 부른다.
▲ 진단 및 평가: 국제적 표준 진단 기준(DC/TMD)과 이학적 검진, 영상의학적 검사 등. (하단의 표 참조)
▲ 이학적 검진
▷비정상적 턱 움직임: 턱이나 치아 돌출여부에 관심을 기울이며 입의 개폐 행동을 관찰. 위와 아래 치아가 잘 정렬됐는지 확인하고 개폐 시 턱의 편향을 찾는다. 비정상적인 턱의 움직임은4~92%의 민감도와 8~97%의 특이도를 가진다.
▷턱관절의 운동범위 감소: 개구시 기능적 운동범위를 측정. 정상 개구는 범위는 35~55mm다. 턱관절 장애 환자는 전형적으로 25mm로 제한되며 능동 및 수동 스트레칭에서 통증을 동반.
▷저작근 압통: 근육 압통과 염발음, 개폐시 소음 평가+턱관절과 저작근(교근, 측두근, 내외측익돌근)을 촉지, 압통여부 검사.
▷동적 하중시 통증: 동적 하중으로 통증을 재현시키기 위해 환자가 솜뭉치를 물거나 턱을 양쪽으로 잡게 하고 턱관절을 양측으로 아래, 뒤 방향으로 누른 뒤 통증 여부를 본다.
▷이갈기: 구강과 이의 마모상태를 검사, 치아 마모 징후를 찾는다.
▷자세 비대칭: 환자의 상체 자세를 관찰. 구부정하거나 한쪽으로 기대는 경향이 있는지 확인.
▷목과 어깨 근육 압통: 목과 어깨 주변의 근육들을 검사 및 촉지해 근육 긴장이나 압통, 트리거포인트 등을 찾는다.
▲ 치료
턱관절 관절가동범위(ROM; Range of movement)의 증가, 관절과 저작근의 통증 및 염증 경감, 관절조직의 퇴행성 변화 방지가 목표. 또한 가역적이며 보존적인 치료가 목표.
▷침 (근거수준: High/권고등급: A): 하관(ST7), 협거(ST6), 이문(TE21), 예풍(TE17) 등의 경혈과 증상에 따른 아시혈.
근위취혈 경혈로는 하관(ST7), 협거 (ST6), 이문(TE21), 예풍(TE17), 풍지(GB20) 등을, 원위취혈 경혈로는 합곡(LI4), 후계(SI3), 족삼리(ST36), 외관(TE5), 족임읍(GB41) 등.
▷한약(근거수준: Moderate/권고등급: B): 침치료와 병행하였을 때 더 좋은 효과. 쌍화탕, 갈근탕, 작약감초탕, 보중익기탕, 만금탕 및 가미소요산 등.
조남욱 기자(한의사)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TMD Pain Screener>
*국제 표준 진단 기준: 미구강안면통증학회(The American Academy of Orofacial Pain)에서는 TMD를 저작근 장애와 관련 있는 근육성 TMD, 턱관절 자체 문제 관련 있는 관절성 TMD로 분류. 이 검사가 통증성 TMD를 빠르고 간단하게 선별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 (검사 판독: a-0점, b-1점, c-2점. 총 3점 이상이면 TMD로 판단)
1. 최근 30일 동안 평균적으로 (좌우 어느 쪽이든) 당신의 턱 또는 관자놀이 부위에 통증이 얼마나 지속됐습니까? ① 없었다 ② 아주 잠시 동안부터 일주일 이상까지 지속되긴 했지만 통증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니었다 ③ 지속적으로 있었다
2. 최근 30일 동안 기상 시에 당신의 턱 부위에 통증이나 뻣뻣함이 있었습니까? ① 없었다 ② 있었다
3. 최근 30일 동안 다음의 활동들이 (좌우 어느 쪽이든) 당신의 턱 또는 관자놀이 부위의 통증 정도를 변화시켰습니까? (즉, 증가 혹은 감소시켰습니까?)
1) 딱딱하거나 거친 음식을 씹는 활동 ① 아니오 ② 예 2) 입을 벌리거나 턱을 앞쪽이나 옆쪽으로 움직이는 활동 ① 아니오 ② 예 3) 이를 맞닿게 하거나 악물거나 갈거나 껌을 씹는 턱 습관 ① 아니오 ② 예 4) 그 외, 말하기, 키스하기, 하품하기 같은 턱 활동들 ① 아니오 ② 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