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원을 찾는 환자 중 자신이 만성피로증후군인지를 인지하고 있지 못하거나 만성피로증후군으로 인한 여러 증상을 주소로 방문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특히 요즘 같이 여름에서 가을,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에는 떨어진 기온으로 여름에는 그냥 지나쳤던 만성증후군 관련 질환이 도드라져 보이게 되면서 관련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번달에는 생각보다 많은 환자들이 경험하는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는 동시에 여러 형태의 리포트 제출이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증상별로 정리해봤다.
▲ 정의
만성 피로(Chronic Fatigue)는 6개월 이상 지속적인 피로가 있지만 명확한 의학적 원인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만성 피로는 다시 중증인 만성피로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과 만성피로증후군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상태인 특발성만성 피로(Idiopathic Chronic Fatigue) 등으로 구분한다.
이외 만성피로증후군은 근통성뇌척수염(Myalgic Encephalomyelitis), 양성근통성뇌척수염(Benign myalgic encephalomyelitis), 바이러스후 피로 증후군(G93.3 Postviral Fatigue Syndrome), 전신성 활동불능병(Systemic Exertion Intolerance Disease)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원인
만성 피로의 원인과 병리기전은 아직까지 불명확하며, 각각의 증상에 따른 진단기준이 있다. 또한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한 승인된 치료법도 없다. 치료 목표는 만성피로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치료, 및 관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특발성 만성 피로의 치료와 관리는 만성 피로증후군에 준한다.
▲ 증상
지속적인 피로 외에도 노력 후 불쾌감, 수면장애, 다발성 통증과 같은 증상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운동-감각 신경 장애, 재발하는 감기 유사 증상, 인지장애, 단기 기억장애, 높은 감염 감수성, 위장관 장애, 비뇨생식기 장애, 심혈관계 장애, 한열 불내성, 체온 조절의 불안전성, 기립성 조절장애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 한의학적 이해
한의학 문헌에서 나타나는 만성 피로의 증상과 유사한 병명은 해역(解㑊), 식역(食㑊), 곡로(穀勞), 비로(脾勞), 연라증(軟懶證) 등이다. 또한 한의학 문헌에서 나타나는 만성 피로의 초기 개념은 허로와 유사하다.
만성 피로에 대한 한의학적 변증은 비기허증, 간비불화증, 비허습곤증, 심비구허증, 기혈구허증, 간신음허증, 소양반표반리증등이 있다.
▲한의학적 변증
▷비기허: 증상은 정신피로(신피), 사지권태, 단기, 나언, 식소, 식후복창, 대변당박, 소변불리, 지체부종이 나타나며 면색위황도 보일 수 있다. 여성의 경우 월경량이 감소하거나 월경색이 엷어지고 심하면 월경이 끊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설진과 맥진은 설담홍, 설태백, 맥완약.
▷간울비허증: 증상은 흉협창만, 흉협찬통, 복창, 납매, 변의 등을 동반한 복통, 설사 후 복통은 완화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배변후 불쾌감, 장명음 항진, 잦은 방귀가 나타나고 변은 무르다. 한숨이 잦고 정지억울, 급조이노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설태박백, 맥현, 또는 맥완.
▷비허습곤증: 완복비민, 완복부 은통, 식소 또는 식욕이 없고 구점, 오심, 구토, 대변당박, 두중 및 지체곤중, 심한 경우 지체부종, 소변불리 등이 나타난다. 여성의 경우에는 백대하 증가. 면색위황, 탁하며 어둡다. 설담반, 설태백활 혹은 설태백니, 맥유완.
▷심비양허증: 심계, 정충, 두훈, 다몽, 건망, 식욕부진, 복창, 변당, 정신피로, 핍력, 피부에 자반이 나타날 수도 있다. 여성의 경우, 월경량이 줄면서 월경혈 농도가 묽어지고, 찔끔찔금 흐르는 형태로 하혈한다. 면색위황, 설체담눈, 맥무력.
▷기혈양허증: 정신피로, 핍력, 자한, 소기나언, 심계, 단기, 불면, 다몽, 두훈, 목현 등의 증상이 있고 입술과 손발톱색이 희다. 모발도 윤기가 없고 취약하다. 면색 창백이나 위황하다. 설질담눈, 맥세약.
▷간신음허증: 현훈, 목현, 이명, 건망, 협통, 요슬산연, 구조, 인건, 실면, 다몽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저열(低熱) 또는 오심번열과 함께 권홍(顴紅)의 소견이 보이며 남자의 경우 유정, 여자의 경우 월경량소의 증상이 나타난다. 설홍태소, 맥세삭.
▷소양반표반리증: 구고목현, 한열왕래, 흉협고만, 인건, 식욕 감소, 구역질(喜嘔), 심번 등의 증상. 설태활백, 맥현.
▲만성 피로에 효과적인 치료법
▷ 한약처방: 만성 피로 환자의 치료/관리시 사용했던 한약처방 중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던 것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는 모두 97개 처방을 제시했다. 처방빈도별로 보면 보중익기탕이 9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 쌍화탕 38명, 십전대보탕 35명, 귀비탕 20명, 팔물탕 14명, 공진단 13명, 육미지황탕 12 명, 청심연자탕 12명, 소요산 9명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만성 피로의 치료/관리에 효과적인 경혈: 만성 피로 환자의 치료/관리시 사용했던 경혈중 매우 효과적이었던 것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는 총 92개 경혈과 복모혈, 배수혈을 응답했다. 빈도순으로 보면, 복모혈이 10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합곡(LI4), 태충(LR3)이 각각 61명과 47명이었고, 족삼리(ST36) 45명, 견정(GB21) 29명, 풍지(GB20) 20명, 배수혈(背腧穴) 17명, 백회(GV20)와 소부(HT8)가 각각 16명, 기해(CV6)와 태백(SP3)이 각각 14명, 음곡(KI10) 12명 순이었다.
이외 뜸, 부항, 추나, 기공 등이 만성 피로의 증상 관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양방적 증상평가 도구
다음과 같은 평가 도구를 이용, 환자의 주소에 따른 각각의 항목을 평가할 수 있다.
▷피로 또는 노력 후 불쾌감(Post-Exertional Malaise; PEM): Chalder Fatigue Scale,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20, Checklist of Individual Strength, Fatigue Severity Scale, Visual Analogue Scale, Fisk Fatigue Impact Scale, Bell’s CFIDS(Chronic Fatigue and Immune Dysfunction Syndrome) disability scale, CDC Symptom Inventory for CFS, DePaul symptom questionnaire.
▷수면 장애: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Assessment Questionnaire, PROMIS(Patient Reported Outcomes Measurement Information System) sleep questionnaire.
▷통증: VAS for pain, SF-36(pain), McGill Pain Questionnaire, PROMIS, Brief Pain Inventory, Pain diagram.
▷인지장애: Checklist Individual Strength Questionnaire, Wood Mental Fatigue Inventory, The Cognitive Failures Questionnaire.
▷기립성 조절 장애(OI): Orthostatic Grading Scale, COMPASS 31(COMPosite Autonomic Symptom Scale 31).
▷기능의 실질적인 감소 또는 손상: SF-36(Short Form health survey-36),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Energy Index Point Score,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atz Index of Independ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Revised. (참고자료: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만성피로증후군, 한국한의학진흥원)
조남욱 기자(한의사)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