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열이 나거나 통증이 심해도 집에서 진통제를 먹는 경우도 흔하다.
그런데 진통제 복용 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진통제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진통제(비마약성)는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염증 유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해 통증을 가라앉히고 열을 내려가게 한다.
진통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계열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구분할 수 있다.
‘타이레놀’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진통제는 해열, 진통 효과는 있지만 염증을 없애는 데는 도움이 안 된다.
반면 ‘아스피린’을 비롯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는 항염증 효과가 있어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된다.
진통제는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른 만큼 복용 전에 표기된 주요 성분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잘못 복용할 경우 나타나는 부작용도 각기 다르다.
숙취로 인한 두통 때문에 진통제를 복용할 경우 주의해야 한다.
알코올을 분해하느라 간이 지쳐있는 상태에서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진통제를 복용하면 간이 손상될 수 있다.
또 빈속에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먹으면 위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경희대학교 약학과 서혜선 교수는 “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이 대사될 때 독성 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에 과다 섭취하면 급성 간부전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위 점막이 보호되지 않는 상태로 약 성분에 노출되기 때문에 위장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병용할 경우 위장관계 부작용이나 신독(콩팥)성, 심혈관계 부작용 발현이 증가할 수 있다”면서 “약물 기전이 다른 아세트아미노펜 계열과 비스테로이드성 계열 진통제는 병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진통제에 내성이 생긴다’는 속설 때문에 아파도 약을 먹지 않는 경우가 있다.
통증을 참는 게 더 위험하다고 한다.
서혜선 교수는 “비마약성 진통제는 카페인이 함유되지 않는 제품이라면 내성이 없다”면서 “염증성 질환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적절히 복용하지 않으면 질환이 더 악화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적정량의 진통제를 먹었는데도 열이나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원인이 되는 다른 질병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문지연 교수는 “진통제를 먹어도 증상이 낫거나 완화되지 않으면 원인을 꼼꼼히 찾아볼 필요가 있다”면서 “진통제 복용 기간은 최소화하는 게 좋고 질환별로 진통제를 얼마나 먹고 어떻게 조절할지는 전문의와 상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