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에서는 시호제에서 소화기 질환 및 다양한 질환에 많이 사용하는 『상한론(傷寒論)』 처방인 대시호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대시호탕 빈용도 중 4++++
대시호탕: 시호 반하12 생강10 지실 대조8 황금 작약6 대황0~4 ×1
▲ 처방분석
소시호탕의 일부, 사역산의 일부, 생강사심탕의 일부, 소승기탕의 일부를 합방한 처방.
소시호탕: 시호 황금 반하 생강 대조 ⊖인삼 감초
사역산: 시호 작약 지실 ⊖감초
생강사심탕: 반하 황금 인삼 생강 대조 ⊖감초 건강 황련
소승기탕: 대황 지실 ⊖후박
시호, 황금이 소양경 상 염증을 소염시켜 흉협고만을 푸는 것으로 보인다. 지실, 작약, 대황이 장관 운동성을 촉진시켜 복만, 변폐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반하, 황금, 지실, 생강은 소화기 음식 적체를 해소시켜 소화불량, 오심, 구토를 치료하는 약리를 보인다.
소시호탕 바탕에 대황, 지실 등이 배오되어 실열증에 기울고 성향도 소시호탕보다는 교잡~음적으로 기운다.
▷강해: 대시호탕 구성약물 중 임상단서가 나타나는 약물은 시호, 황금, 지실, 작약, 대황 등입니다. 반하, 생강, 대조는 혹 나타날 수 있다.
실열증자로 소시호탕 바탕이 나타난다. 소시호탕이 배오되어 소시호탕 유형 인후종통, 구순건조, 소양경 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시호, 황금이 배오되어 빈증으로 흉협고만이 안진되고 혹증으로 흉만, 늑협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실열증에 기울어 소양경 염증으로 인한 흉협고만이 뚜렷하게 안진되곤 하는데 흉협고만(시호, 황금) 뿐만 아니라 심하압통(황금), 복직근상 경결압통(작약, 지실), 제하압통(대황) 등이 안진되는 경우도 많다고 보면 된다.
황금, 지실이 배오되어 빈증으로 소화불량이 나타난다. 반하, 생강이 배오되어 혹증으로 오심,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대황, 지실, 작약이 배오되어 빈증으로 변폐(便閉)+복만이번조(腹滿而煩躁)가 나타나는 경우도 잦다. 작약, 대조가 배오되어 혹증으로 작약근 대조근이 안진될 수 있다. 황금, 작약, 지실, 대황이 배오되어 혹증으로 명치, 상복, 제변, 하복 전복에 걸쳐 복통이 나타나는 경우도 발생하곤 한다
▲ 처방기준(소시호탕과 비교감별): 실열증, 비만 건실, 체력강, 성향 교잡
소시호탕 바탕: 인후종통, 구순건조, 소양경 염증, 흉협고만↑
소화불량, 식욕왕성 변폐(便閉)+복만이번조(腹滿而煩躁)~복만
하단의 대시호탕 처방기준표는 소시호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진한 검은 색은 중요한 차이점(감별점), 줄선은 참고적 차이점(감별점), 검은색은 공통점이라고 보면 된다.
▷강해: 대시호탕은 소시호탕 더 정확히 말하면 시호가망초탕과 비교감별되어 접근되는 경우가 많다. 실열증자로 소시호탕 바탕에 대개 흉협고만이 뚜렷하게 안진되기도 한다.
여기에 소화불량, 복만, 변폐가 보이면 고려할 수 있으며 시호가망초탕증 같은데 실열증으로 기울고 소화불량이 있으면 이런 경우에도 사용해 볼 수 있다.
소시호탕은 빈용도가 가장 높은 처방 중 하나이고 시호가망초탕은 빈용도가 매우 낮은 처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소시호탕은 쉽게 떠올려질 수 있지만 시호가망초탕은 잘 떠올려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대시호탕은 소시호탕과 비교감별되어 접근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알아 두면 된다.
▲ 형색성정
실열증이다. 체형 비만, 건실하고 체력 강한 편이며 면색 짙은 편>옅은 편이고 오열 경향이다.
흉부, 복부가 모두 큰 경우가 많다. 흉부가 솟아있고 복부가 나와있는 경우가 많지요. 골격도 굵고 늑골각도 넓은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얼굴이나 등에 화농성 여드름이 올라와 있는 경우도 많다.
성향은 소시호탕에 비해 교잡~음적으로 기울어 있다. 양적~교잡~음적으로 성향의 범위가 넓은 편입니다. 감정은 대개 안정적이다. 드물게 불안정한 경우가 있으며 예민, 긴장(시호+작약), 우울(지실) 등의 감정이 읽히는 경우도 자주 보인다.
조현창 원장(TEM, [email protected])
<방증의 약서해명>
형색성정 | 실열증: 체형 비만·건실, 체력 강, 오열 경향 | ||
체형 비만>중등도, 건실
체력 강한 편 면색 짙은 편>옅은 편 혹 얼굴이나 등에 화농성 여드름 성향 양적~교잡~음적 ▶성향의 범위가 넓다. 감정 대개 안정 드물게 불안정, 예민 긴장 혹 우울 |
|||
신체 증상 |
빈증 |
소시호탕 바탕
-흉협고만 안진: 대개 흉협고만이 뚜렷하게 안진된다. 우>좌 협하 저항 압통이 저명하게 안진되곤 한다. -인후종통: 감기, 피로 시 목이 붓고 아프다. |
소시호탕 |
소화불량 혹 오심, 구토 | 황금, 지실
혹 반하, 생강 |
||
변폐+복만이번조 | 대황+지실, 작약 | ||
혹증 | 오열 경향 | ||
작약근 과긴장상 | 작약, 대조 | ||
흉만, 늑협통 | 시호, 황금 | ||
복통 | 황금, 작약, 지실, 대황 |
<대시호탕의 처방기준>
형색성정 | 실열증 : 체형 비만·건실, 체력 강, 오열 경향 | |
*체형 비만>중등도, 건실. 흉부, 복부가 모두 크고 늑골각이 넓고 배가 불러있는 경우가 많다. ▶사상체질 열태음인형
*체력 강한 편 *면색 짙은 편>옅은 편 혹 얼굴이나 등에 화농성 여드름 *성향 소시호탕에 비해 교잡~음적으로 기울어있다. 양적~교잡~음적으로 성향의 범위가 넓다. *감정 대개 안정 드물게 불안정, 예민 긴장 혹 우울 |
||
신체증상 | 빈증 | *소시호탕 바탕
-소시호탕 바탕이 보인다. 성향·체형 양적으로 기운 자로 소시호탕 유형이 나타나곤 한다. 성향 양적, 인후종통 혹 구순건조, 소양경 염증(흉협고만) 등 -흉협고만 안진: 대개 흉협고만이 뚜렷하게 안진된다. 우>좌 협하 저항 압통이 저명하게 안진되곤 한다. -인후종통: 감기, 피로시 목이 붓고 아프다. -구순건조: 평소 입술이 건조하다. 심하면 입안도 마른다. -소양경 상 염증: 족소양담경, 수소양삼초경 유주 상에 급성염증이 호발한다. *소화불량 혹 오심, 구토 -과식하면 소화가 안 된다. 자주 체한다. 명치가 막힌 듯 더부룩 답답하다. -내 기준에 정해진 양 이상 먹으면 10중 8,9 소화가 안 된다. 신경을 써도 소화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욕이 좋아 과식, 폭식을 자주 한다. -혹 속이 자주 메슥거리고 심하면 구토하는 경우가 있다. 소화불량시 메슥거리고 심하면 토하는 경우도 있다. *便閉+腹滿而煩躁 -평소 변비 경향이다. 배에 가스가 많이 차서 헛배가 불러오는 경우가 많다. -과식, 소화불량, 변비로 인하여 복만이 유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대황을 써야 할 정도의 便閉+腹滿而煩躁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변을 제대로 못 보면 배에 가스가 차고 더부룩 답답하다. 그래서 매우 괴롭다. -대변을 하루, 이틀 못 보면 腹滿而煩躁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매번 잔변감이 심하여 腹滿而煩躁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혹증 | *오열 경향
-몸에 열이 많아 더위를 많이 타는 경우가 많다. 혹 추위 더위 모두 타지 않거나 드물게 추위를 약간 타는 경우도 있다. *작약근 과긴장상 -작약근 과긴장상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작약근 이두근-복직근 과긴장 경결 압통이 안진되는 경우가 많다. |
|
*흉만, 늑협통
-가슴이 답답하거나 혹 갈빗대, 옆구리가 결리고 아프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복통 -배가 아픈 경우가 있다. 소화불량, 변비와 연관되어 복통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복통의 부위는 명치, 상복, 제변, 하복 등 전복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
||
경향성 | *실열증자로 오열, 다한출, 호냉수, 식욕왕성한 경향이 있다.
*두중통, 견항통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혈압이 높은 경우가 많다. 콜레스테롤 수치도 높은 경우도 많다. *흉부나 복부를 조이는 폴라티, 브래지어, 벨트, 옷을 입으면 답답해서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
|
*흉협고만 뿐만 아니라 심하압통, 복직근상 경결 압통, 제하압통 등이 안진되는 경우가 많다. 복부 전반에 걸쳐 만지는 부위마다 모두 압통이 있는 경우가 많다. | ||
신증 | *허한증, 수척, 체력 약, 면색 창백, 오한·궐냉이 심한 경우, 연변·설사 경향 |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