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매화침 자침
안전성/부작용 – 문헌고찰
매화침은 피부 침술 치료에 사용된다. 매화침은 망치 같은 장치에 여러 개의 침이 모여진 돌출 부위가 있기 때문에 한 개의 침보다 더 광범위하게 자침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침이 뭉친 모양으로 인해 매화침은 종종 ‘칠성’침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매화침은 피하 조직을 천공하지 않고 표피 혹은 피부의 침술 경락을 자극한다. (1)
현재 PubMed 에는 매화침 요법에 관한 40 편의 연구 논문이 있으며, 거의 모두 중국어 논문이다. 보고된 부작용은 없다. 매화침 요법에 관한 교본이 한 편 있으며,(2) O’Connor 와 Bensky 교본에 언급되었다. (1) 극소수의 연구(대부분 중국어 연구)에서 부작용에 관한 정보를 보고했지만 실제로 부작용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3,4,5)
매화침/칠성침을 사용하여 다양한 통증 증후군(신경 병증 포함)을 치료한다는 것을 의학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논문은 대부분 중국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미국에서의 침술 실행에 대한 도움은 한정되었다. (6-9)
매화침 자침 시 부작용 예방하기
문헌에는 매화침/칠성침 치료의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지만, 해당 기구의 사용은 위험을 수반한다. 매화침의 침 돌출부는 피부 표면을 파손할 수 있고, 한 개의 혈 자리가 아닌 광범위한 부위에 사용되기 때문에 일시적 병원체가 한 곳에서 다른 부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급적 출혈을 피해야 하지만, 매화침은 혈액과 OPIM 을 피부 표면으로 옮기고 공기에 방출할 수 있다.
매화침(칠성침) 요법 안전 지침
필수
- ‘청결 지대 설치 및 유지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피부 준비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손 위생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 매화침으로 치료할 부위는 깨끗하고 피부 병변이나 외상이 없어야 한다.
- 혈액과 OPIM 이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장갑을 껴야 한다.
- 일회용 무균 매화침/칠성침이나 일회용의 떼어낼 수 있는 침 머리가 달린 기구를 사용한다.
- 매화침의 침 머리는 반드시 무균이어야 한다. 침 머리의 침 끝을 만지지 않는다.
- 사용 후 즉시 매화침을 침 폐기통에 버린다. 떼어낼 수 있는 침 머리를 떼려면 지혈겸자나 핀셋을 사용한다. 일회용 기구를 사용했을 경우, 전체 기구를 침 폐기통에 버린다.
- 재사용 가능한 침병을 사용한 경우, 반드시 살균한 다음 새 일회용 떼어낼 수 있는 침 머리를 끼운다.
강력히 권고
- 피부에 천공하지 않도록 칠성침을 너무 높이 들거나 세게 내려 치지 않는다.
- 혈액이나 OPIM 이 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칠성침을 ‘휘두르지’(flinging) 않는다.
권고
- 매화침을 사용할 때, 침구사는 보호경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참고 자료
1. O’Connor J and Bensky D (translators). Acupuncture: A Comprehensive Text. Eastland Press, Seattle, WA. 1981, p. 417.
2. Kuang An Men Hospital. Plum Blossom’ Needle Therapy. Hong Kong: Medicine & Health Publishing; 1978.
3. Wu L, Zhang GL, Yang YX. [Clinical study on electrical Plum Blossom needle for treatment of amblyopia in children].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2011 Mar; 31(3):342-5.
4. Yang JX, Xiang KW, Zhang YX. [Treatment of herpes zoster with cotton sheet moxibustion: multicentr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Zhongguo Zhen Jiu. 2012 May; 32(5):417-21.
5. Zhong J, Lin C, Fang G, Li JJ, Chen P.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Plum Blossom needle combined with medicated thread moxibustion of traditional zhuang nationality medicine on postherpetic neuralgia].Zhongguo Zhen Jiu. 2010 Sep; 30(9):773-6.
6. Feng H, Zhang YF, Ding M. [Analysis of therapeuttic effect of lower limb sensation disorder after lumbar disc herniation operation treated with Plum Blossom needle along
meridians]. Zhongguo Zhen Jiu. 2012 Feb;32(2):129-3
7. Zhong J, Lin C, Fang G, Li JJ, Chen P.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Plum Blossom needle combined with medicated thread moxibustion of traditional zhuang
nationality medicine on postherpetic neuralgia]. Zhongguo Zhen Jiu. 2010 Sep;30(9):773-6
8. Sun YZ, Liu TT. [Comparison of therapeutic effect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o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ies]. Zhongguo Zhen Jiu. 2005 Aug;25(8):539-41.
9. Yue Z., Zhenhui Y. Ulcerative colitis treated by acupuncture at Jiaji points (EX-B2) and tapping with Plum Blossom needle at Sanjiaoshu (BL22) and Dachangshu (BL 25)–a report of 43 cases. J Tradit Chin Med.2005 Jun;25(2):83-4.
(8-2) 압정 침 및 피내 침
안전성/부작용 – 문헌고찰
압정 침과 피내 침은 표피에 자침하여 자침한 부위에 하루 내지 며칠 동안 유지하는 기법에 사용된다. 압정 침(enpishin)은 통상적으로 하루에서 닷새 동안 귀에 유치하며, 이는 이침 요법의 한 가지 형식이다. 체중 감량을 위한 이침(이혈 요법의 변화된 방법) 보고에 따르면
압정 침을 더 오랜 기간 유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피내 침(hainishin)은 표피에 자침되어 몸의 여러 혈 자리에 사용되는 침이다. 피내 침 요법은 이른바 현미침 요법(micro needle therapy)이며, 미용 치료의 형식으로 사용된다.
이혈 요법/압정 침
이혈 요법은 이혈에 압정 침, 전기 자극, 방혈, 또는 왕불류행(Semen vaccarria)의 씨앗이나 조그만 자석을 붙여서 지압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메타분석을 이용한 체계적 고찰에서, 이혈의 지압과 이혈 침술은 통증 치료, (2) 임신 기간의 골반 및 허리 통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임의적 임상 시험의 체계적 고찰은 이혈 요법은 화학요법으로 인한 암 환자의 메스꺼움과 구토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그리고 별도의 체계적 고찰에서, 이혈 요법의 수술 전 불안감 치료 효과는 약물 요법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문헌에는 이혈 침으로 인한 여러 건의 연골염(연골 염증) (6,7) 및 연골막염(귀의 피부와 연골막에 염증 및 감염 발생) 사례가 보고되었다. (8-14)
최근의 체계적 고찰에서는 심각한 부작용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보고된 부작용은 모두 매우 경미했다. 예를 들어, 압정 침으로 인한 자침 부위 촉진 통증 또는 통증, 현기증, 국소 불편함, 경미한 출혈 및 메스꺼움, 귀(auricular) 전침으로 인한 피부 자극, 국소 불편함, 통증, 이혈 방혈로 인한 경미한 감염. (15) 문헌을 고찰한 저자들은 해당 감염 사례들은 20-30 년 전에 보고된 것이며, 그들의 체계적 고찰에는 감염 사례가 매우 적었다고 밝히면서, 이는 일회용 무균 침 사용과 ‘엄격한 위생 절차에 관한 인식’으로 인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15)
이침 기법은 이혈 침술을 조정한 것으로서 비만 치료에 사용된다. 하지만 귀침을 2-4 개월 유치하기 때문에 합병증과 감염 발생 위험이 높다. (1,16,17) 적격한 훈련을 받은 침구사가 귀침 기법을 시술해야 하고 반드시 엄격한 정침법을 실행하여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피내 침법
피내 침법(Hinaishin)은 작은 침을 표피에 자침하고 짧은 기간 동안 자침한 부위에 유치하는 기법이다(통상적으로 의료용 테이프로 침을 피부에 붙인다). 개흉 수술(thoracotomy) 전 피내 침술을 실시한 결과는 애매모호한다. (18,19) 현미침 기법은 안면 회춘에 점점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안전성을 받쳐주는 자료가 없다. 몇 편의 보고는 알레르기성 육아종 반응, 과민성, (20) 그리고 마이코박테리아 감염등 합병증과 합병증 발생 위험을 제시하였다. (21,22)
적절한 훈련을 받은 침구사가 피내 침을 시술해야 하고 반드시 엄격한 정침법을 실행하여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환자 본인이 피내 침이나 현미 침을 자침하는 것을 말려야 한다.
핀셋을 이용하여 침을 혈 자리에 놓기 때문에, 그리고 핀셋은 환자의 온전한 피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병원 등급의 표면 소독약 티슈로 소독할 수 있다.
압정 침 사용 또는 피부내 자침 시 안전 지침
필수
- 정침법을 준수한다.
- 표준 예방조치를 준수한다.
- ‘청결 지대 설치 및 유지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 ‘피부 준비 안전 지침’을 준수한다.
- 압정 침을 찌르기 전에 피부를 깨끗이 닦는다. 70% 이소프로필 알코올, 비누와 물, 기타 방법으로 피부를 닦을 수 있다.
- 치료할 부위를 검사하여 염증, 병변, 감염 도는 피부 장벽에 손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런 부위에 자침하지 않는다.
- 피부 표면을 찌를 때는 일회용 무균 기구만 사용한다(압정 침 포함).
- 피내 침을 찌르기 전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청결한 절차를 유지한다. 침이 오염되면 폐기해야 한다.
- 피부에 찔렀던 압정 침, 피내 침 또는 현미 침을 다시 찌르면 안 된다.
- 피부에 찔렀던 압정 침, 피내 침 또는 현미 침을 다시 찌르면 안 된다고 환자에게 지시한다.
- 사용한 압정 침은 즉시 적절한 침 폐기통에 버린다.
강력히 권고
- 침구사가 압정 침 유치 기간이 끝나면 압정 침을 떼어낼 수 있도록 환자에게 클리닉으로 돌아오라고 요구하거나, 환자에게 집에서 압정 침이나 피내 침을 치울 때 사용할 수 있는 침 폐기통을 제공한다.
- 환자에게 압정 침이나 피내 침을 안전하게 떼어내고 폐기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모든 환자에게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질문이 있을 때 직접 연락할 수 있는 연락 정보를 제공한다.
- 환자에게 촉진 통증, 적열 상태, 통증, 염증, 가능한 감염 등 침 합병증 징후가 있는지 관찰하고 반응하도록 알려준다.
- 환자 본인이 피내 침이나 현미 침을 자침하는 것을 말려야 한다.
권고
- 면역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거나 억제된 환자에게 이혈요법을 실시할 때, 압정 침이나 피내 침 대신 귀 씨앗이나 자석을 사용하도록 한다.
-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탐문하여 이 요법에 사용되는 의료용 테이프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확인한다.
- 피내 침을 뽑은 후 깨끗한 솜이나 거즈로 이혈에 압력을 가한다.(침술 및 동양의학 대학 평의회(CCAOM) www.ccaom.org © 2015 by the Council of Colleges of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 2017 년 5 월 19 일에 검토 및 업데이트 되었음.)
참고 자료
1. Winter L, Spiefel J. Ear stapling: a risky and unproven procedure for appetite suppression and weight loss. Ear Nose Throat J. 2010;89(11):E20-2.
2. Yeh C, Chiang Y, Hoffman S et al. Efficacy of auricular therapy for pain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934670.
3. Pennick V, Liddle S.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elvic and back pain in pregnanc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8(CD001139) (Aug1).
4.Tan J-Y, Molassiotis A, Wang T, Suen L. Current Evidence on Auricular Therapy for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in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430796
5. Pilkington K, Kirkwood G, Rampes H, Cummings M, Richardson J. Acupuncture for anxiety and anxiety disorders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cupuncture in Medicine. 2007;25(1-2):1-10.
6. Allison G, Kravitz E. Letter: Auricular chondritis secondary to acupuncture. N Engl J Med. 1975;293(15) (October 9):780.
7. Gilbert JG. Auricular complication of acupuncture. N Z Med J. 1987;100(819) (March 11):141-142.
8. Baltimore R, Moly P. Perichondritis of the ear as a complication of acupuncture. Arch Otolaryngol. 1976;102(9):572-3.
9. Davis O, Powell W. Auricular perichondritis secondary to acupuncture. Arch Otolaryngol. 1985;111(11):770-1.
10. Johansen M, Nielsen KO. [Perichondritis of the ear caused by acupuncture]. Ugeskr Laeger. 1990;152(3) (January 15):172-173.
11. Ramos S, Pinto L, [Auricular perichondritis due to acupuncture]. [due to acupuncture]. Revista Brasiliera de Otorrinolaringologia. 1997;63(6):1-589.
12. Sorensen T. [Auricular perichondritis caused by acupuncture therapy]. Ugeskr Laeger. 1990;152(11) (March 12):752-753.
13. Trautermann HG, Trautermann H. [Perichondritis of the ear auricle after acupuncture(author’s transl)]. HNO. 1981;29(9) (September):312-313.
14. Warwick-Brown NP, Richards AE. Perichondritis of the ear following acupuncture. J Laryngol Otol. 1986;100(10) (October):1177-1179.
15. Tan J-Y, Molassiotis A, Wang T, Suen L. Adverse Events of Auricular Therapy: A Systematic Review.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506758
16. Bulkhead S, Tonkinson B, Nowlin T. Auriculotherapy complications: Ear stapling gone bad.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137:215.
17. Morgan A.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due to acupunctural ear stapling. Am J Infect Control. 2008;36(819):602.
18. Deng G, Rusch V, Vickers A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special acupuncture technique for pain after thoracotomy. J Thorac Cardiovasc Surg. 2008;136(6):1464-1469.
19. Kotani N, Hashimoto H, Sato Sea. Preoperative intradermal acupuncture reduces postoperative pain, nausea and vomiting, analgesic requirement, and sympathoadrenal
responses. Anesthesiol. 2001;95:349-356.
20. Soltani-Arabshahi R, Wong J, Duffy K, Powell D. Facial allergic granulomatous reaction and systemic hypersensitivity associated with microneedle therapy for skin rejuvenation. JAMA Dermatol. 2014;150(1) (Jan):68-72.
21. Noh T, Woon C, Lee M, Choi J, Lee S, Chang S. Infection with Mycobacterium fortuitum during acupoint embedding therapy. J Am Acad Derm. 2013;70(6):e134-5.
22. Tang P, Walsh S, MUrray C et al. Outbreak of acupuncture-associated cutaneous Mycobacterium abscessus infections. J Cutan Med Surg. 2006;10(4) (Jul-Aug):166-9.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