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만 되면 건조한 날씨로 인해 안구건조증을 경험하는 이들이 많다.
안구건조증은 명칭 그대로 눈물 생성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빠르게 증발해 건조 증상을 겪는 이상 증세다. 그런데 눈물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는 증상도 안구건조증의 주요 증상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늦겨울과 초봄 시기에 찬바람을 직접적으로 맞을 때 눈물이 계속해서 흐르는 경험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눈물이 많으면 안구가 촉촉할 것 같지만 사실 이는 눈물층의 균형이 무너진 상태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건강한 안구라면 기름층과 점액층이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눈물의 윤활 작용을 담당하는 기름 성분이 부족할 경우 눈물층이 쉽게 증발하여 안구 표면이 자극받는다.
이때 뇌는 이를 눈물이 부족한 상황으로 인식하고 눈물샘을 자극하여 과도한 양의 눈물을 생성한다. 즉, 눈물은 많지만 빠르게 증발하여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셈이다.
이러한 증상을 겪는 환자들이 안과에서 안구건조증 진단을 받으면 의아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눈물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는 필수 성분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눈물막이 형성되지 못한 경우라면 아무리 눈물이 많아도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안구건조증은 눈물층을 이루는 지방층, 점액층, 수성층의 균형이 깨지거나 눈물샘 기능이 저하되면서 발생한다. 차가운 바람이나 건조한 공기, 미세먼지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안구건조증이 흔히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노화나 호르몬 변화, 콘택트렌즈 착용, 시력 교정술 등도 안구건조증 원인이 될 수 있다.
안구건조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방치하면 시력 저하 및 각막 손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만성적인 안구건조증은 안구 표면에 미세한 상처를 남겨 감염 위험을 높이는데 심할 경우 각막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안구건조증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순히 눈물양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다. 때문에 눈물층을 구성하는 기름과 점액 성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 습관 개선도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요소다. 충분한 물을 마셔 체내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고지혈증과 연관이 있는 증발형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해 오메가3가 풍부한 음식인 등푸른생선, 견과류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 트랜스지방이 많은 튀김, 마가린 등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아울러 따뜻한 찜질을 통해 눈꺼풀 기름샘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눈꺼풀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최성훈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