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몇 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생활해 오면서 바이러스로 인한 세균 감염이 적다가 최근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벗게 되고 외부 활동이 많아지면서 드물었던 급성중이염 환지가 병원에 방문하는 일이 늘었다.
급성중이염은 귀의 고막 안쪽 공간 중이(중간 귀)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대부분 감기의 후유증으로 발생한다.
유·소아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감염 질환 중 하나다.
급성중이염의 원인은 상기도 감염, 즉 감기이다. 목이나 편도, 코의 염증이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을 따라 귀로 번지면서 발생한다.
어느 연령에서든 급성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지만 유·소아에게서 매우 흔히 발생한다.
유·소아의 이관이 아직 구조적으로 염증을 잘 막지 못하고 유·소아가 어른보다는 자주 감기에 걸리기 때문이다.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젖병을 물고 자는 경우, 간접흡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더 흔하게 발생해 소위 말해 ‘약을 달고 산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급성중이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귀 통증이다. 감기가 걸린 상태에서 귀의 통증이 느껴진다면 급성중이염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이비인후과 최정환 교수는 “의사 표현을 하지 못하는 아이가 귀 주변을 만지거나, 평소와 다르게 심하게 보채면서 먹지 않으려 하거나, 잠을 자지 않는 증상이 있으면 반드시 중이염을 의심하고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귀를 진찰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염증이 심하면 열이 나기도 하고 심한 경우 고막이 터지면서 귀 밖으로 노란 고름이나 피 고름이 흐르기도 하는데 이때는 오히려 통증은 줄어들 수 있다”며 “이외에 청력 저하, 귀 울림, 귀 먹먹함을 동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급성중이염은 귀 안을 볼 수 있는 이경이나 귀 내시경으로 고막과 외이도를 관찰하고 특징적인 발적이나 고막의 팽창 등 염증 소견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진단을 위해 고막움직임 검사 등 몇 가지 청력 검사를 추가로 받기도 한다.
최 교수는 “급성중이염으로 진단되면 열이 나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필요에 따라 10일 정도 항생제와 진통제를 투여한다”며 “수포성 고막염의 경우 특히 통증이 심한데 협조가 가능하다면 고막을 절개해 염증을 배출해 통증을 조절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치료 과정에서 수일 간격으로 항생제에 대한 반응 정도와 병의 경과를 관찰하는데 호전되지 않고 열이 계속 나거나 통증이 지속되면 항생제를 바꾸거나 심하면 항생제 정맥 주사를 할 수도 있다.
급성중이염 이후 삼출성 중이염이 연속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고막과 중이의 소견이 정상이 될 때까지는 이비인후과 전문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는 다른 염증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항생제를 계속 복용할 필요는 없지만 반복적으로 열이 나거나 통증을 일으키는 급성중이염이 재발해 항생제를 또 복용하게 되기도 하고 동반된 다른 염증으로 약물 투여를 종종 반복하게 된다.
3개월 내 대부분 고막 내 삼출액은 없어지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난청이 지속되어 청력 호전이나 중이염 재발을 대비해 필요에 따라 고막을 절개하고 환기관을 삽입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영주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