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곤증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점심식사를 하고 나면 졸음이 쏟아져 오후 업무에 애로가 생기는 것.
그러나 이 증상은 식곤증이 아닌 기면증일 수도 있다.
식곤증과 수면장애 증상인 기면증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 해 치료 타이밍을 놓치는 사례도 많다.
식곤증의 원인으로 소화기에 들어온 음식물이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해 저에너지 상태를 유발하고 졸음을 유발한다는 설이 유력하다.
포도당의 혈류 유입 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 기타 신경조절물질 등이 복잡하게 반응해 졸음 증상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다만 아직까지는 식곤증 원인과 관련해 정확한 의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식곤증 개선 방법으로 실내 환기, 산책, 스트레칭 등이 제시된다.
그러나 식사 후 졸음이 단순한 식곤증이 아니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뇌 기능 장애, 즉 중추성 과수면증의 하나인 기면증이라면 단순한 자가 생활 개선 요법으로 치유를 기대하기 어렵다.
기면증은 중추신경계에 문제가 발생해 자고 일어나야 할 시기를 스스로 조절하지 못 하는 수면장애 증상이다.
보통 7~8시간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주간에 참을 수 없는 졸음을 느끼는 것이 기면증의 주된 임상적 양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심지어 하루에 10시간 가량 잠을 잤음에도 불구하고 낮 동안 졸린 현상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기면증은 주간에 뚜렷한 이유 없이 졸음에 시달리는 증상뿐만 아니라 갑작스레 전신에 힘이 빠지는 탈력 발작, 만성피로, 수면마비, 가위눌림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기면증의 정확한 원인도 아직까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학계 내에서는 신체 감각 조절에 기여하는 수면 발작 관련 뇌단백질인 ‘히포크레틴(hypocretin-1)’의 분비 이상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백혈구 항원 형질 유전자의 관여 때문이라고도 추정한다.
기면증을 치료하지 않고 계속 방치하면 업무 실행 능력 감소, 집중력 및 반응 감각 저하, 시야 흐림, 졸음운전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 확률 증가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이처럼 기면증이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인 만큼 적극적인 치료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기면증 치료를 위해 수면클리닉에 내원하여 확진을 위해 1박 2일에 걸쳐 야간 수면다원검사 및 주간 다중수면잠복기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수면다원검사는 야간 수면질환의 감별 및 적정 수면시간의 보장을 위해 필요한데 수면 중 뇌파와 눈의 움직임, 근육의 긴장도, 수면 중 발생하는 부정맥·동맥혈·산소포화도·호흡운동·호흡기류·자세 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다중수면잠복기 검사는 과수면 질환 유무 및 진단, 심한 정도 판별을 위해 필요한 검사 과정이다.
정밀 검사 후 환자 개인 별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기면증 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데 먼저 뇌 속 각성 전달 물질인 히포크레틴을 측정한 다음 수면 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생활 요법, 약물치료 등을 시행한다./한의타임즈 기사제휴지 e-헬스통신
최성훈 기자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