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에서는 시호제에서 정신과 질환 및 체액 소모성 질환에 많이 사용하는 시호강계탕에 소개하려고 합니다.
시호강계탕 빈용도 하상 3+++
시호계지건강탕 시호강계탕: 시호12 괄루근6~8 황금 계지6 건강 모려 감초4 ×1
▲ 처방분석: 소시호탕에서 ⊖반하, 인삼, 대조, 생강(소반하탕, 생강감초탕) ⊕과루근, 계지, 건강, 모려한 처방.
소시호탕 후주가감방에 시호거삼가계지탕, 시호거반하가인삼과루근탕, 시호거조가모려탕, 시호거인삼생강대조가오미자건강탕이 있다. 소시호탕 후주가감을 따라 거인삼가계지, 거반하가인삼과루근, 거대조가모려, 거인삼생강대조가(오미자)건강하면 시호계지건강탕이 된다. 때문에 시호계지건강탕은 넓은 의미의 소시호탕 후주가감방이며 소시호탕류의 처방기준을 공유하고 있다. 소시호탕증 바탕에 반하, 인삼, 대조, 생강증이 없고 계지, 과루근, 건강, 모려증이 보이는 경우에 쓰는 처방이다.
그러나 소시호탕에서 반하, 인삼, 대조, 생강은 지표성이 낮아 임상단서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실제 임상에서 시호계지건강탕은 소시호탕 바탕으로 성향 양적, 오한·궐냉 혹 상충(계지)하고 혹 모려증, 건강증, 과루근증 등이 나타나면 고려할 수 있다.
▷TIP PTSD에 준하는 o/s history: 병증이 어떤 사건·시점 이후 정신적·육체적 충격으로 인하여 트라우마틱(Traumatic)하게 발현되는 경우가 많다.
▷강해: 시호계지건강탕 구성약물 중 임상단서가 나타나는 약물(처방)은 소시호탕, 계지 혹 모려, 건강, 과루근 등으로 넓은 의미의 소시호탕류이다. 소시호탕 바탕에 성향 양적, 오한·궐냉 혹 상충이 나타나 시호계지탕처럼 보일 수 있다. 여기에 모려, 건강, 과루근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모려가 더해져 혹증으로 심한 불안감, 유발형 불면, 소변지변 등이 나타나거나 건강이 더해져 혹증으로 평소 연변·설사·빈변 경향, 낮은 정도의 한리 경향, 과루근이 더해져 혹증으로 높은 정도의 구건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처방기준: 시호계지탕, 시호거대조가모려탕, 시호가용골모려탕과 비교감별. 소시호탕 바탕, 성향 양적, 오한·궐냉 혹 상충.
①모려: 불안↑, 유발형 불면, 소변지변 등
②건강: 경미한 연변·설사
③과루근: 구건
시호계지탕 같은데 모려증 불안↑, 유발형 불면, 소변지변 혹 건강, 과루근증 등이 보이는 경우
▷강해: 시호계지건강탕은 시호계지탕, 시호거대조가모려탕, 시호가용골모려탕 등과 비교감별하여 접근되는 경우가 많다. 시호계지탕증처럼 소시호탕 바탕의 양적 성향자로 오한·궐냉하고 혹 상충이 나타나거나 모려형, 건강형, 과루근형 세 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나타나면 고려할 수 있다.
혹 모려형으로 심한 불안감, 유발형 불면, 소변지변, 수족 두면부 다한출 등이, 혹 건강형으로 평소 연변·설사 경향이며 낮은 정도의 한리가, 혹 과루근형으로 입이 바짝 말라 물을 자주 마시는 경우도 있다.
시호계지건강탕은 시호계지탕증 같은데 모려, 건강, 과루근형 세 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나타나거나 시호거대조가모려탕 같은데 추위를 타는 경우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시호가용골모려탕 같은데 성향 양적으로 기울고 용골증 두려움의 감정(TV, 영화 무서운 장면을 못 본다 등)이 잘 읽히지 않고 모려, 건강, 과루근형 세 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나타나면 고려할 수 있다.
이 밖에 감사거삼탕증 같은데 감사거삼탕을 쓰기에는 소시호탕 바탕이 보이고 설사, 불면의 정도가 낮은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 빈용병증
정인적방으로 방증만 맞으면 수많은 병증 다양한 질환에 득효를 기대할 수 있다.
정신과질환: 불안장애, 공황장애, 약물중독 후유증, 불면 등 제반 정신과질환에 빈용된다.
비뇨기질환: 모려증 빈뇨, 절박뇨 혹 잔뇨감이 보이는 제반 비뇨기질환에 쓰는 경우. 혹 피부질환, 근골동통질환, 부인과질환 등. 혹 열성질환으로 대수술, 다한출, 과로, 탈진 이후 미열, 한열왕래, 구건, 상충, 다한출이 보이는 경우.
옛 의가들은 폐렴, 폐결핵, 말라리아 후유증, 바세도우씨병, 정신분열증, 노이로제, 당뇨병, 두드러기, 건선, 연주창, 나력, 두통, 이명, 어지럼증 등에 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 임상조문
傷寒五六日 已發汗而復下之 「胸脇滿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 但頭汗出 往來寒熱 心煩」者 此爲未解也 「柴胡桂枝乾薑湯主之」: 흉협부가 그득하고 경미하게 맺혀 있으며 소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고 갈증이 나되 구역질은 나지 않고 머리에만 땀이 나고, 한열이 교대하고, 가슴이 번거로우면…시호계지건강탕으로 주치한다. 『상한론』
「瘧寒多微有熱 或但寒不熱者 柴胡桂枝乾薑湯主之」: 학질병으로 추위를 많이 타고 경미한 열이 있거나 간혹 추위만 타고 열이 없는 경우 시호계지건강탕으로 주치한다. 『금궤요략』
조현창 원장(TEM, [email protected])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