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Hani Times May 2019
P. 22
22 Herbal Medicine May 1, 2019 Vol. 2 Hani Times
강주봉 원장의 통치방 이해하기 ②
환자 증상 및 맥진 따라 다른 약물 선택하는 ‘맥진방’
한국 한의학은 복진ㆍ설진보다 맥진으로 약물 처방 선호, 맥진방 사용하며 임상에서 터득
p1238).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황기, 숙 인가를 맥진으로 살펴 화담(化
반하의 증으로 복잡다단한 신경 지황, 반하, 향부자 등 4가지 약 痰)과 함께 이기(理氣) 소설(疎
△ 맥진과 약물
을 연결시키는 실 증상과 함께 수족에 부종이 있 물로 구성된 처방을 맥진방으로 泄) 소도(消導)를 하고 좌관 간
질적 임상기법 으면 분심기음을 사용하는 경우 설정해 놓고 사용법을 소개하고 담맥에 비위 맥상인 완할(緩滑)
은 통치방을 사
용하면서 스스로 가 많다. 필자 경험에 의하면 본 자 한다. 이 어느 정도 인가를 맥진으로
체득해야 할 과 방은 만성 폐렴이나 기관지염과 황기, 숙지황, 반하, 향부자로 구 살펴 이기 소설과 함께 화담한
제이다. 사진ⓒ 연결돼 있다. 나아가 반하가 다 성된 맥진방은 앞에서 말한 통 다.
AdobeStock_
Kevin Oh 스리는 타깃은 근본적으로 폐와 치방들의 군제(君劑)를 모아서 관맥을 임상적으로 논하면서 약
기관지에 있다고 본다. 만든 처방이다. 임상적으로는 물과 연결시키는 맥진기법과 이
오적산은 많은 반하 처방을 합 쌍화탕에 이기제(理氣劑)와 화 론은 대단히 복잡하지만 대략
이번 호에서는 지난 호에 이어 온담탕, 반하백출천마탕, 분심 쳐 하나로 만들었다고 볼 수 있 담제(化痰劑)가 추가된 형태로 살펴보면 비위맥에 결체가 있으
반하류 통치방에 대해 소개하고 기음 등). 다. 기(氣), 혈(血), 담(痰), 음 쌍화탕 가감처방은 1960년대 면 후박, 지실, 진피, 맥아, 산사,
통치방의 운용을 제대로 하기 반하가 들어있고 통치방으로 널 (飮), 식(食)의 오적(五積)을 다 녹용 전성시대 보약처방의 총수 신곡, 사인, 백두구 등을 가한다.
위해 꼭 필요한 맥진과 약물 사 리 사용되는 이진탕과 반하후박 스린다고 하여 ‘오적산’이란 이 (總帥; 총사령관)였다. 또한 비위맥과 폐대장맥이 약하
용에 대해 살펴 보겠다. 탕을 가감해 만든 처방 예로는 름이 붙었다. 이 적취(積聚)는 맥진방에 의한 사고방식은 우리 고 대변이 무르면서 한(寒)하면
온담탕, 반하백출천마탕, 분심 모두 폐와 기관지에 정체된 담 나라 8.15 해방을 전후해 여러 인삼, 백출, 복령을 가한다. 비위
▲ 반하류 통치방 처방해설 기음, 소장강기탕, 불환금정기 음으로 심폐기능이 저하돼 발생 임상가들이 열렬히 추구했고 심 맥과 폐맥에 완활하면 반하를,
약리 실험에 의하면 에페드린이 산, 곽향정기산, 육군자탕, 향사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어 부자, 대황, 석고 같은 준 간담맥이 현긴하고 흉복에 통증
반하에 0.02%, 마황에 1.5~2.0% 육군자탕, 인삼양위탕, 금수육 오적산의 마황은 심폐를 강하 열제(峻烈劑) 약물도 복진이 아 이 있으면 행부자에 청피, 직각,
가 각각 들어있다. 즉 반하에 군전, 삼소음, 대금음자, 가미이 게 반하는 부드럽게 각각 추동 닌 맥진으로 결정할 정도였다. 삼릉, 봉출, 현호색, 천궁 등일
는 마황의 에페드린 성분 중 진탕, 해표이진탕, 평진탕, 지축 (推動)해 폐와 기관지에 정체(停 이는 우리나라 한의학이 복진과 각각 사용한다. 간담맥과 신방
1/75~1/100이 함유된 것이다. 이진탕 등이 있다. 滯)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담 설진보다 주로 맥진으로 처방을 광맥이 약하고 부족하면 작약,
이 소량의 에페드린은 기관지를 설질이 담백하고 홍강(紅絳)하 음을 제거함으로써 심폐 기능을 결정하는 맥진 숭상(崇尙) 진단 지황을, 간담맥과 심맥이 약하
확장시켜 좀 더 많은 산소량을 지 않고 오심, 구역감, 또는 현훈 정상화 및 고양시켜서 다른 적 방식에 기인한다. 면 작약과 당귀를 각각 가한다.
흡입해 심장 박동을 강화시킨 두통이 있고 복진상 심하부와 취들까지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이와 함께 우척(右尺) 명문맥과
다. 또한 기관지에 정체(停滯)된 대복(大腹) 혹은 제복(際腹)에 것이다. ▲ 맥진에 따른 약물 비위맥에 침긴(沈緊)이 있어 삼
담음의 흡수와 배출을 증가시키 서 장명성(腸鳴聲)이 들리면 이 환자의 호소증을 듣고 맥진할 초에 한랭 증상이 있으면 건강,
며 해수 천식과 함께 다양한 증 것은 반하를 사용하는 포인트가 ▲ 통치방의 운용-맥진 때 좌우 촌맥이 약하면 황기를, 육계 소회향, 부자 등을 쓰고 명
상을 다스린다(박하후박탕, 도 된다. 한의학 처방을 사용하려면 먼 좌우 척맥이 약하면 숙지황(건 문 맥이 실하고 비위맥이 부완
담탕, 소자강기탕 등). 이런 기 반하의 증으로 현훈과 두통이 저 진단을 하는데 진단은 복진, 지황)을 각각 쓴다. 그리고 좌의 (浮緩)하면서 면목(面目)에 열
전과 공효로 인해 반하를 ‘부드 있으면 백출 택사 천마를 가해 맥진, 문진, 설진 등이 있다. 증 관맥이 현긴(絃緊; 간기울체)하 기가 있으면 지모, 황백을 더해
러운 마황’이라 할 수 있다. 반하백출천마탕으로, 공황장애 치적인 진단으로 처방하려면 복 면 향부자를, 완활(緩滑; 담음울 삼초 열기를 내린다.
반하는 기관지와 인후부의 담음 가 있으면 지실 죽여를 가해 온 진이 우선이지만 통치방 관점에 체)하면 반하를 각각 사용한다. 심맥이 부실(浮實)하면서 설적
뿐 아니라 위장관 내의 담음을 담탕으로 각각 사용한다. 온담 서의 처방은 복진보다는 맥진을 관맥의 부위는 촌맥과 척맥의 (舌赤)과 목적(目赤)하면 황련
흡수 배출해 복통과 설사를 다 탕에서 지실을 가하는 것은 “흉 더 선호한다. 중간이어서 수화교제(水火交 을, 폐맥이 부실하면서 설적, 목
스리고(반하사심탕, 부자갱미탕 복의 수적(水積)과 담(痰積)으 맥진으로 약물이나 처방을 결 際)가 나타나고 좌우 관맥은 목 적하면 황금을, 심맥과 폐맥이
등), 맥관(脈管) 안에 들어간 담 로 인한 강한 신경증상을 지실 정하는 것을 맥진방(脈診方)이 과 토의 관계이다. 부완하면서 면협(面頰)이 붉으
음을 배출시켜 현훈, 공황장애 이 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別 라 칭할 수 있고 백진방은 취향 우관(右關)의 비위맥에 간담의 면 치자를 각각 가한다.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분돈탕, 錄, 本草經疎: 중약대사전』 中 에 따라 얼마든지 달리 선탕할 맥상인 긴현(緊弦)이 어느 정도 강주봉 원장(샬롬 한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