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에서는 중풍 및 각종 중풍후유증 치료 시 사용할 수 있는 동씨침, 사암침에 대해 알아본다.
▲ 중풍(혼미): 급성기
▷십이정혈 방혈: 손은 모두 방혈하되 발에서는 대돈, 은백, 여태만 방혈.
▷백회, 인중, 내관, 태충, 용천.
▷정회, 전회, 후회, 영골(혼미불어).
▷안궁우황환: 이진탕+삼칠근 가감+정력자, 용담초. 활혈화담 하는 처방. 정력자는 상부에 있는 수기를 내린다. 혼미하면 뇌압이 상승하므로 뇌에 물이 고이는 수종이 생기는데 정력자가 뇌수종이나 뇌압 모두 낮춘다. 용담초는 간화를 내린다.
▷오약순기산: 중풍 환자가 팔 다리가 붓고 통증 호소할 때. 붓는 증상은 습이 정체된 것이므로 순기가 안된 것이다. 습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더 아프다. 한과는 달리 습으로 아프면 무겁거나 몸에 변형이 온다. 차면 더 안 좋고 비 오면 더 안 좋다. 이때 순기만 시켜 줘도 통증이 사라진다.
▲진단 및 치료
▷대소변: 중풍 환자가 오면 먼저 대소변을 확인해 문제부터 해결한다. 변비가 심하면 간실이고 대소변이 줄줄 새는 것은 신병으로 이때 신을 보해야 한다. 신을 보하면 중풍도 같이 치료된다.
▷소화기: ① 명치(중완) 부위에 압통이 있으면 소상, 상양 방혈/해계(사), 공손(사), 내관. 해계를 사하고 바로 보한다. 해계(사) 하면 명치 밑이 풀리고 해계(보) 하면 중완 아래가 풀린다.
② 체한지 오래 되거나 식적이 있으면 해계, 양곡(보), 임읍(사)를 쓴다.
③ 사관: 합곡(사) 태충(사)는 간실증에, 밥먹다 화나서 체했을 때 쓴다. 간이 실한 증상을 보일 때 쓰는데 체기가 있으면 더 좋다. 간실증으로 인한 중풍에 간승격이나 간한보격처럼 쓴다. 중풍 초기 합곡(사) 태충(사)로 바로 효과를 보는 경우가 많다.
▷소부(사), 태백(보)(기중방): 폐정격에서 왔다. 기허증에 쓴다. 평소 지나친 걱정으로 기력 소모가 많은 사람으로 바람을 싫어하고 땀을 잘 흘릴 때, 안색이 창백하고 반신마비, 오른쪽 중풍(좌혈우기론)이 오거나 팔이 오그라들때, 파킨슨, 중풍환자가 하체에 힘없을 때 등 중풍 환자라도 바람을 싫어하면 기중방을 사용한다. 폐허 하면 여름에도 방문을 열어 놓는 것을 싫어한다. 반대로 심열이 있으면 겨울에도 방문을 열고 바람을 쐬지 않으면 가슴이 답답해 안절부절 못한다.
▷소부(사), 음곡(보): 중풍이 왔을 때 팔이 안으로 오그라들면 간으로 보고 팔이 늘어지면 심으로 대소변 불금은 신으로 각각 진단한다. 부부관계를 많이 해 중풍이 온 것도 신으로 판단한다. 중풍은 대부분이 간, 심 문제가 원인인데 간중풍, 심중풍 모두 다 해당되는 것이 소부(사), 음곡(보)다.
이유 없이 희죽희죽 웃는 사람은(소불휴) 심실이고 주로 열이 많다-음곡(보), 소부(사), 연곡(사). 중풍의 열은 일반적으로 허열이다. 열을 치고 나서 바로 보를 한다. 잘 울고 말이 어눌하고 손에 힘이 없으면 심허가 원인이기에 대돈(보), 음곡(사)를 한다.
▷팔사혈: 손등, 열 손가락이 갈라진 사이에 움푹 파인 8개의 혈로, 중풍으로 손을 못 쓰는 환자에게 좋으며 중풍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손 기능 회복에도 쓴다.
▷팔관혈 1~8혈: 간과 심의 병증으로 인한 다양한 중풍증상에 사용한다. 주로 백회와 함께 쓰고 허증으로 인한 오십견, 반신불수, 수비불거, 대퇴통증, 퇴연무력, 중풍으로 인한 이명, 무릎통증으로 굴신이 어렵고 위중, 위양혈 부위 통증에 각각 사용한다. 각 혈의 부위는 수배 제 일절 2~4지 양쪽으로 첫마디 시작점 2혈씩이다. 특히 반신불수로 힘이 없을때, 위증으로 어린아이가 제대로 걷지 못할 때, 팔관 1~8, 목화, 정회, 사봉 등의 혈은 중풍의 특효혈이다. 오십견, 수비불거, 퇴통, 퇴연무력에 팔관 3, 4만 써도 된다.
조병식 원장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