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Acupuncture Times Oct. 2021
P. 19

19
                                                                                                                                광고
        Oct 1, 2021  Vol. 31  Hani Times                                                                       Herbal Medicine

                         SOAP노트 작성 및 이학적 검사 ⑦
                                    김용훈 원장의『방약합편』(19) 맥(脈)
                      중풍환자의 맥이 부하고 완하면 길해




                                  각장부의 정상맥에서 각 병증에 나타나는 길, 흉맥 정리


                                                               므로 지유맥(遲濡脈).               汗)으로 나누거나 또는 황달, 곡달, 주     △ 조잡애기(嘈雜噯氣): 우촌(右
                                                               △ 치통(齒痛): 귀와 같이 신허         달, 여로달, 흑달(黑疸)로 나눔): 반드    寸)맥과 관(關)맥을 살펴 긴(緊),
                                                               (腎虛)이므로 척맥(尺脈)이 유          시 홍(洪), 삭맥(數脈)이요, 미한(微寒)  활(滑)하면 다스릴 수 있고, 현(弦)
                                                               (濡)하고, 대(大)하다.             한 것은 허열(虛熱)에 속하며, 갈증       하고 급(急)하면 어렵다.
                                                               △ 통풍(痛風): 침현맥(沈弦脈)은  (渴症)이 발하는 것을 일절 꺼린다.             △ 구토(嘔吐): 반위(反胃)로 구토(嘔
                                                               간비(肝脾)가 습(濕)을 받은 것이        △ 창만(脹滿): 현(弦)맥, 토(土, 비위脾  吐)한 경우 부(浮), 활(滑)맥은 다스릴
                                                               고, 소음경락(少陰經絡)에 속한 통        胃)가 목(木 간담肝膽)의 제어를 받       수 있으나, 현(弦), 삭(數), 긴(緊), 삽(澁)
                                                               풍(痛風)은 약부맥(弱浮脈)이며, 풍       는 증이다. 맥이 부(浮)하면 허창(虛      하거나 결장(結臟)되는 것은 죽는다.
                                                               혈제급(風血製急)은 삼음경락(三          脹)해지고 /긴맥(緊脈)이면 중실증(       △ 애역(愛逆): 부(浮), 완(緩)맥은
        △맥진을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지 말고 친근한 내용부터 차근차근 시
        작하면 임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사진ⓒshutterstock_Tyler Olson         陰經絡)에 속한 통풍(痛風)이다.         中實症) /부대맥(浮大脈)이면 살 수  심히 위험하나 현(弦), 급(急)한 맥(
                                                               △ 비(脾)의 맥(脈): 부삽(浮澁)       있으나 허소(虛少)하면 위급하다.         脈)은 살 수 있고, 결(結), 대(大), 촉
        이번 호에서는 『방약합편』에 나와  △ 습(濕)이 혈(血)을 상(傷)하면 맥             하고 긴(緊)하다.                 △ 조결(燥結): 침복맥.             (觸), 미(微)한 것은 반드시 죽는다.
        있는 맥에 대해 소개하겠다. 각 장부        (脈)이 완(緩), 세(細), 삭(數)해진다.  △ 해수(咳嗽): 부맥(浮脈)이 많다.  △ 유정(遺精): 백탁맥(白濁脈)은 촌          △ 질(疾: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
        의 기본 정상맥에서 각 병증에서 나         △ 허화(虛火): 맥(脈)은 부삭(浮數)하다.  이는 폐기(肺氣)가 모이고 위기(胃        맥(寸脈)에서, 심허유정(心虛遺精) 맥      생한 증상): 현직(弦織)하거나 침세(
        타나면 위험한 맥과 쉽게 치료할 수  △ 실화(實火): 맥(脈)이 침대(沈大)하다.         氣)가 열린 탓이다. 맥이 침세(沈細)      은 좌촌맥(左寸脈)이 단소(短小)하다.  侵細)하다. 약간 복견(腹堅)하면 아직
        있는 맥을 각각 알아본다. 자신이 자        △ 음식(飮食) 내상(內傷): 기구        하면 약간 위험하고, 부유(浮濡)하        유정(遺精)증은 지(遲) 맥이면 살 수  괜찮으나 복현(腹弦)하면 상(傷)한다
        주 보는 환자의 유형의 맥을 기억했         (氣口) 급활(急活)하다.             면 다스리기 쉽다. 해수(咳嗽)는  있으나 급질(急疾)하면 곧 요절한다.              △ 나병: 부홍(浮紅)맥이 좋다.
        다가 임상에서 실제 적용해보면            △ 노역(勞役) 내상(內傷): 비맥        오장(五臟)의 맥(脈)과 관련이 있        △ 요통(腰痛): 침, 현맥이며,  △ 간(肝): 간질(癎疾)맥은 허(虛)
        『방약합편』에 나와 있는 설명에  (脾脈)이 아주 약(弱)해져 맥이 침                으니 장부(臟腑)를 잘 살펴야 한다.       침, 활하면 쉽게 고친다.             한 것이 좋다. 양간(陽癎)은 부(浮)
        자신의 경험이 더해져 점차 맥진에  (沈)해진다.                            △ 곽난(藿亂): 맥이 대(大)하면 궐      △ 산(疝): 산증(疝症: 생식기와 고      하고, 음간(陰癎)은 침침한 것인데,
        자신이 생겨 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 기병(氣病): 삽약(澁弱)하면  역(厥逆: 가슴과 배가 아프면서 팔,  환의 통증이 있는 증상, 모든 하복                    실(實) 급(急)하면 나쁘다.
                                    다스리기 어렵다.                  다리가 싸늘해지고 가슴이 답답해  부 통증)맥은 현급(弦急)하고 리위                △ 숭(崇): 사수의 맥은 일정하지
        ▲ 장부본맥                      △ 실혈(失血) 제증(諸症): 침세(沈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 가슴과 배        (裏位)의 적취(積聚)로 발(發)하는  않으며, 이 모두 담(痰)이 원인이다.
        ▷ 심(心)의 맥상(脈象)은 부(浮),  細) 맥(脈)이 좋으며, 만일 부대맥(浮          가 극심하게 아프며 두 발이 갑자         산증(疝症)의 맥이 뇌급(牢急)한자        △ 후비(喉痺: 목 안이 막혀 통하지
        대(大), 산(散)이 본래의 기능이다.       大脈)이 나타나면 다스리기 어렵다.        기 차가워지는 병증, 오랫동안 머         는 살고 급약(急弱)한 자는 죽는다.       않는 증상. 인후종통, 얼굴이 붉고 뺭
        ▷ 간(肝)에 맥상(脈象)은 현(弦)하다      △ 울증(鬱症): 모두 침(沈)맥이며  리가 아픈 병증, 손발이 찬 병증 등),  △ 각기(脚氣): 맥이 결(結)하면 기              이 부어 심하면 목덜리 밖까지 부으
        가 부드러워지면 잔병이 없는 것이다.        맥활(脈活)하면 담울(痰鬱)/맥긴         지미(遲微)하면 위험하다.             가 양(兩) 척맥(尺脈)을 공격(攻擊)하     며, 목 안에 주먹 만한 덩이가 있는 것
        △ 신(腎)에 본맥(本脈)은 침(沈), 석(    (脈緊)은 식울(食鬱)이나 기울(氣        △ 심복통(心腹痛): 세지(細遲)         여 좋아지지 않으며 반드시 죽는다.        같아 물도 안 넘어가고 목소리도 안
        石) 한데 활형(滑形)을 띄기도 한다.       鬱)/맥삽(脈澁)하면 혈울(血鬱)/        한 맥은 길맥(吉脈)이요, 부대(浮        △ 삼소(三消, 소갈병의 상소, 중        나오며 오한 발열이 나고 촌맥이 척
        △ 폐(肺)의 맥(脈)이 부(浮), 삭(數),  맥규삭(脈竅數)하면 화울(火鬱)/          大)하면 복통(腹痛)이 오래 간다.        소, 하소): 부(浮), 대(大)한 자는  관맥보다 작고 약한 것은 표증임.):
        단(短)하면 평맥(平脈)으로 삼는다.        맥세(脈細)하면 습울(濕鬱)이다.         △ 학질(瘧疾: “처음 발작할 때에는  살고, 소(小), 미(微), 삽(澁)하면  미(微), 복(伏)한 것을 가장 꺼린다.
        △ 명문(命門)의 맥(脈)은 침실(沈        △ 허로(虛勞): 현(弦), 대맥(大脈)이다.  먼저 솜털이 일어나고 하품이 나고  놀랄 만큼 형탈(形脫)된다.                   △ 위병(萎病): 폐가 허(虛)하고
        實)한 것을 가장 좋게 여긴다.           △ 노채(勞蔡: 기혈부족으로 인해  춥고 떨리면서 턱이 마주치고 허리                △ 임병(淋病): 세(細), 삭(數)하면 무   맥미완(脈微緩)한 경우가 많으며,
                                    노채충(勞瘵蟲)이 폐에 침입하여  와 잔등이 다 아프다. 춥던 것이 멎               방하고, 실(實), 대(大)하면 잘 났고, 허  흑 삽(澁)하거나 긴(緊), 세(細)
        ▲ 잡병 길흉맥                    생긴 것으로 기침으로 하면서 피          으면 겉과 속이 다 열이 나면서 머        (虛), 삽(澁)하면 좋지 않다.         하거나 유 하기도 한다.
        △ 중풍맥(中風脈)이 부(浮)하           를 토하며 조열, 식은땀, 가슴이  리가 터지는 것같이 아프고 갈증이  △ 적(積): 침(沈)맥 경우가 많다.  △ 시궐(尸厥: 궐증의 하나로 갑자
        고 완(緩)한 것은 길하고, 급하          아프며 몸이 여위는 등의 증상을  나서 찬물만 마시려고 한다.” 동의                오장(五臟)의 적(積)과 육부(六腑)       기 졸도해 인사불성이 되고 마치
        고 빠른 것은 흉한 것이다.             보임): 삭맥(數脈)이다.             보감): 현맥(弦脈)으로 시작, 대(大)     의 맥이 실(實), 강(强)하면 다스릴  죽은 사람처럼 되는 위중한 병증
        △ 상한맥(傷寒脈)이 열병(熱病)          △ 제풍(諸風): 현훈(眩暈)하면  하고 산(散)해지면 위험하다.                  수 있으나 침세(沈細)하면 어렵다.        이란 의미 또는 갑자기 까무라치
        인데도 땀이 안날 경우에는 강(强)         척맥(尺脈)이 실(實)하고, 촌맥         △ 설사하리(泄瀉下痢): 침(沈), 소(少),  △ 중독(中毒): 맥이 홍대하면 살        는 것 등의 증상): 침활(沈滑)하고
        한 것이 좋으나 땀난 후에 번조(          (寸脈)은 허(虛)하다.              활(活), 약(弱), 실(實), 대(大), 부(浮), 홍  고, 세미하면 죽는다.         몸이 냉하며, 반드시 난처하게 되
        煩燥) 하고 맥(脈)이 대(大)하면  △두통(頭痛): 양증(陽症)이면  (洪)한데가 발열(發熱)하면 나쁘다.                      △ 천급(喘急: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며, 척맥(尺脈)이 침(沈)하고, 활(滑)
        사기(邪氣)가 경각에 온 것이다.          현맥(弦脈), 신궐(腎厥)하면 현         △ 비만(肥滿): 활(活), 대(大)한 것인데  호흡곤란으로 답답하고 어지러운  하 면, 무서운 결과가 된다.
        △ 서(暑)가 기(氣)를 손상(損          견맥(弦堅脈) / 진두통(眞頭痛)         미삽(微澁)해지면 몸이 쇠약해진다.        증): 부활맥(浮滑脈)은 순(順)하고, 침    △ 충(蟲): 맥이 긴급하면 다스
        傷)하면: 맥(脈)이 허(虛)하고  은 단삽맥(短澁脈).                        △ 오달(五疸: 황달(黃疸), 곡달(穀疸),  (沈), 삽(澁)한 것은 사지(四肢)가 한(    리지 말아야 한다.
        신열(身熱)이 난다.                 △ 이병(耳病): 신허(腎虛)이          주달(酒疸), 여로달(女勞疸), 황한(黃     寒)하고, 산맥(散脈)은 해역(咳逆)증.         김용훈 원장(남산당 한의원)



                         ‘보중익기탕·황련해독탕’, 치매 치료에 효과




                                    이머·혈관성 치매 치료에 효능이  생긴 일종의 수독(水毒)이다.                  대조군보다 37%까지 좋아졌다.          살피는 신물질 탐색 실험에선 실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한방제제 치매 치료 효         전기충격 기억 여부를 살피는 수          험군의 식별 지수가 31% 좋았다.
                                     한국한의학연구원(한의학연)은  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치                   동회피 시험 경우에서도 보중익           쥐의 뇌 조직에서 미세 아교세포
                                    임상의학부 정수진 박사 연구팀           매 질환 대표 처방인 보중익기탕         기탕 투여군의 행동지연 시간은  활성이 억제되는 염증 저해 효능
                                    이 동물실험을 통해 이같은효과           (허증 처방)과 황련해독탕(실증  치료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20배  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처방)을 각각 알츠하이머 치매          가까이 길었다.                   정수진 박사는 "치매 유형별 치료
                                     한의학에서 치매 치료는 허(虛)와  와 혈관성 치매 모사 동물 모델               황련해독탕 효능 관찰은 혈관성  에서 한의학적 변증에 기반을 둔
          △  보중익기탕과  황련해독탕          실(實)을 가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에 투여했다.                   치매 모사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한약 처방 효능을 과학적으로 증
          이  치매  치료에  효과가  있다
          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           허증 치매는 주로 뇌의 노화와 관        알츠하이머 치매 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명한 것"이라며 "변증 처방 연구
          고  있다.  사진ⓒencato-BB-      련돼 있고, 실증 치매는 몸 안의 담      한 보중익기탕 실험 결과 공간인         와이 미로 시험에서 황련해독탕 추         를 보강하고 충분한 임상시험을
          Tree2012
                                    음 등 영향으로 갑자기 발생하는  지능력이 향상했다.                        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행동 비율          거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혈
          한국 연구진이 한약인 보중익기           경향을 보인다.                  와이(Y) 형 미로를 활용한 시험        은 대조군보다 20%까지 나아졌다.        관성 치매에 대한 한의 치료 가치
          탕과 황련해독탕에 대해 알츠하           담음은 기 흐름이 순조롭지 못해  에서 행동 비율은 치료하지 않은  새로운 물건을 식별하는 정도를  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