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Acupuncture Times October 2020
P. 18
18 광고 Oct 1, 2020 Vol. 19 Hani Times
Acupuncture
한국 한의학(K-Medicine)의 이해와 임상 활용 ①
한의학은 전체·공간·경락 중시, 중의학은 경혈자체의 주치 중시
의자의 호흡을 환자와 맞춰 침 치료, 환자와 함께 심신을 치료해 나가
명한 치료법이 아닐까 한다. 려면 먼저 공간 개념부터 알 또한 소화가 안 되면 일반적
▲ 한국 침법의 ‘삼의 원 아야 하는데 이를 ‘풍류도’라 으로 위만 생각하지만 한국
리’란? 고 칭했다. 식 침법은 폐대위비를 다 같
인터넷이나 스마트 폰 사용이 제5대 태우의 환웅께서는 “묵 이 보고 치료한다. 숨이 짧은
급속히 많아진 현대인의 각종 념(黙念)하고 청심(淸心)하며 사람이 잘 체했으므로 호흡
문제는 하체운동 부족으로 인 조식(調息)하면 보정(保精)이 이 잘되면 신진대사 작용이
한 경락 흐름이 원활치 못한 것 된다”며 “뇌파, 심파가 가라앉 활성화 되어 자연히 소화기
은 두뇌 쪽, 양경의 부하가 걸 으면 호흡이 자연히 골라지고 능이 좋아진다.
려서이기 때문에 경락 흐름을 건강해진다”고 했다.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도 즉 머리가 맑은 게 최우선 조 ▲ 의자의 수련을 중시하
있는데 하체 쪽으로 양경을 따 건이므로 침을 잡을 사람은 먼 는 한의학
라서 기운을 내려주어야 한다 저 머리가 맑아야 한다. 머리 한국식 침법에서는 의자가 호
한국 침법은 천인지, 음양 중 는 ‘얼굴’ 즉 ‘얼이 드나드는 흡수련을 통해 호흡이 길어야
삼의 원리로 운용된다. 경락 굴’이기 때문이다. 얼은 혼이 침을 쥐게 했다고도 한다. 의
은 3차선으로 흐르기 때문이 기에 혼은 깨어 있어야 한다. 자가 먼저 호흡법을 배우고
다 수삼음 만해도 폐,심포, 심 또한 우리나라는 공간개념이 익혀 환자의 호흡을 조율해
경이 흐르고 있다 뛰어나 집을 지어도 먼저 울 가는 것이다.
『내경』에서 말하는 순역 개 타리를 만들지 않았고 안과 밖 또한 최소 임독맥이 소통된
념이 여기에 상응하는데 경기 이라는 한계를 크게 두지 않는 다음 1년은 옆에서 침 놓는
의 속도를 조절하는 개념이다. 기경의 세계를 추구했다. 반면 것을 보게만 했다고 한다. 이
오행의 상생상극과 강은 개념 중국은 울타리를 먼저 만들어 후 무술수련을 한 뒤 보사법
으로 천천히 완만히 가면 상 두고서 집을 지어간다. 을 배우게 된다고 했는데 자
생(순), 빠르게 급히 가면 상 한국에서는 12경락보다는 기 신의 몸을 사용할 줄 알아야
극(역)이다 경을 더 중요시 해왔다. 기경 즉 기운을 부릴 줄 안다고 본
순경이란 목생화 화생토 하듯 을 통해 인간주변의 공간과 소 것이다. 이 때 보할 땐 오른발
△ 한의대에서 주로 배우는 중국식 한의 치료에 한국식 한의 치료법
을 더한다면 환자 치료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진ⓒDollarpho- 천에서 이로, 인에서 지로 하 통하며 치료해 가는 것이기에 을 앞으로 내고 사할 땐 왼발
toclub_jsco.
나씩 이동한 것이고 역경이란 기경을 경락의 원천이라 생각 을 앞으로 내었다 한다.
목극토 토극수 하듯 천에서 지 해왔다. 기경은 선천원기를 다 한국의 치료는 의사가 환자
미국에서는 한의대에서부터 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 다르 로, 지에서 인으로 하나씩 건 루고 있기 때문이다. 를 치료하는 개념이 아니라
주로 중의학에 대해 배우고 다고 할 수 있다 너뛴 것이다 기경을 통해 공간 에너지를 경 한의사 자신도 수련하고 환
한의사가 돼서도 중의학적인 즉 보사법에 큰 차이가 있다 천경이란 심소방신을 인경이란 락으로, 또 장부로 들여오고 자도 같이 좋아 진다는 상생
관점에서의 치료를 하는 경우 고 보면 된다. 한국식은 경락 심포삼초담간을 지경이란 폐 나가는 과정의 반복으로 생명 의 개념이다. 공유한 공간 에
가 의외로 많다. 하지만 여기 보사를 중시하고 중국식은 대위비 12경락을 3개로 각각 력을 영위해 간 것이다. 공기 너지를 좋게 하여 같이 좋아
에 한국 한의학적(이하 한의 경혈을 보사하는 것아다. 또 분류한 것인데 후면 측면 전 좋고 물 좋은 산에 가면 무리 진다는 것이다. 이는 공간을
학) 이론 및 임상을 효율적으 한 중국식은 수기법이 발달 면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를 하지 않아도 머리가 맑아 중시하는 한국의 특징을 반영
로 혼용해 활용할 수 있다면 되어 있다. 지고 기경이 열리는 것을 느 하는 것이기도 하다.
환자 치료는 물론 나아가 한 한국의 ‘침 치료관’을 잘 보여 ▲ 기를 보는 관점 낄 수 있다. 환자와 같은 공간에 있기 때
의사 스스로도 몸과 마음을 치 주는 예가 바로 ‘통기침법’인 한국 침법에서 기를 보는 관 기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극 문에 내 기운이 좋으면 환자
유하는 결과를 얻기도 한다. 데 사관혈(합곡, 태충)에 백 점은 승강완속에 주목한다면 혈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극혈 도 다 함께 같이 좋아진다(
필자는 한의대에서 학생들을 회, 인당혈이 더해진 것이다 중국은 승강출입을 주목한다. 은 단순히 급성통증에 쓰는 진공묘유; 眞空妙有)는 개념
수년 여간 가르치기도 하고 개 합곡혈은 인체의 양을 대표 승강완속이란 단어는 이제마 게 아니라 숨을 못 쉬면 답답 으로 침 놓는 일은 ‘그림자를
인 한의원을 운영한 적도 있 하고 태충혈은 모든 음을 대 선생의 『동의수세보원』에서 한 것처럼 외부로부터 기운이 향해 활을 쏜다’는 ‘사영법’이
다. 명상과 수련에 깊은 관심 표, 경락 중 양경은 대정경에 딱 한 번 언급이 된다. 수삼음, 들어오지 못해 위급한 문제가 라 했다. 상대방 혼의 에너지
을 갖고 있어 한국뿐 아니라 서 시작해서 간경으로 끝난다. 삼양 족삼음삼양 경락의 혼합 생긴 것을 치료하는 혈로 이 (身外之身)를 조절한다는 뜻
세계 곳곳의 공부 깊은 스승 이 가운데 양경의 처음인 대장 비율과 속도를 조율하며 경기 해해야 한다. 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먼저
님들을 찾아 몸과 마음을 단 경의 합곡으로, 음경의 마지막 를 빨리 돌려 줄려면 상극의 8개의 기경 중 혈은 12경락과 조율한 후 침을 놓는다는 것
련하기도 했다. 이렇게 여러 인 간경을 대표하는 태충으로 원리 역경을 선택하게 된다. 연계되어 있는 음교, 양교, 음 이다. 예전의 어른들은 내일
경험을 통해 얻은 결론 역시 마무리한다는 것으로 크게 경 갑작스럽게 용을 쓰면 근육통 유, 양유 4개만 있다. 독립된 올 환자 수까지도 정확히 알
마찬가지다. 락을 한번 돌려주는 식으로 큰 이 오고 지치는 것처럼 이 같 체계를 지닌 임, 독, 대, 충맥 았다고 하는데 “침을 잡는 것
필자는 이번 연재를 통해 기 흐름을 잡으면 스스로 회복해 은 치료법은 환자의 경기운이 은 극혈이 없다. 이 칼을 잡고 호랑이 앞에 서
존의 중의학이 아닌 한국 한 가는 방식인 것이다. 쇠하여 진다는 단점이 있다. 필자가 배운 한국식 침법은 있는 것과 같다”고 했다. 즉
의학의 기본에서부터 실제 임 반면 중국식은 경락보다는 경 기는 천천히 움직이는 진씨 태 기경팔맥을 기본으로 경락 몸과 마음이 준비기 돼 있어
상에 대해 지난 수십 년간 체 혈주치를 중심으로 치료하기 극권처럼 완만히 천천히 돌릴 보사 그리고 경혈로 치료해 야 기를 다루는 것이 침술이
득했던 각종 지식 및 경험들 때문에 수기법이 발달해있다. 수록 자체 회복이 되어가고 내 간다. 경락보사는 경기의 승 기에 의자 역시 기를 다를 줄
을 독자들과 함께 공유하고자 기운을 크게 돌려 치료하기보 기가 생긴다. 강을 주로 다루는데 보통 보 알아야 한다고 봤다.
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의 임 다는 빨리 증상을 치료하고자 조선시대에는 경기의 소모가 사법은 경혈을 위주로 보하 필자는 무재무능(無才無能)
상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 하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생겼 많았기에 사암침법은 사지말 고 사하지만 이보다는 전체 하여 30년 전에 전수받은 내
으면 한다. 다고 생각한다. 제한된 수의 한 단을 위주로 쓰기에 실증의 를 끌어올리고 내리는 방법 용들을 환갑을 바라보는 이제
의사가 많은 환자를 치료해야 급병위주로 쓰였다고 한다. 을 사용한다. 서야 조금이나마 체득되는 것
▲ 한의학, 중의학과 어떻 하는 상황이 계속 되면서 영향 예를 들면 어깨가 아프다면 같다. 너무 많은 시간이 흘러
게 다를까 을 받았을 것이다. ▲ 한국 침술 공간적 개념 하초가 허하여 위를 받쳐주 안타까운 마음에 길을 찾는
가장 큰 차이는 한국식 한의 한국식이든 중국식이든 그 치 으로 치료 지 못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지름길
학이 전체, 공간, 경락을 중 료법의 장점과 단점을 잘 파악 한국 한의학의 또 다른 특징 고 아래를 보하여 상기된 기를 로 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
시하는 반면 중국식 한의학 해서 필요한 부분을 잘 선택 은 의자의 수련을 중시한다는 끌어내려준다. 그렇지 않으면 으면 하는 바람이다.
은 경혈 자체의 효능을 중시 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로 현 점이다. 한국의 수련을 이해하 치료효과가 오래가지 않는다. 홍순호 교수(사우스배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