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한의타임즈 2021년 12월호
P. 19
19
광고
Dec 1, 2021 Vol. 33 Hani Times Herbal Medicine
SOAP노트 작성 및 이학적 검사 ⑦
김용훈 원장의 『방약합편』(21) 한(寒)
한사로 인한 환자들의 각종 질환에 대한 방제들 총정리
임산부용 감기 및 유사증상에 사용할 수 있는 처방까지 다양
침흘리고 맥침. 陰), 맥지(脈遲), 신통급(身痛及) 얼굴이 붉은 증상. 이중탕 상6.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사지역냉(四肢逆冷). ▲ 전율(戰慄): 상한 오한으로
중15 - 상한음증(傷寒陰症) 두 ∙이중탕(理中湯) 상6 - 치(治) 심하게 떠는 경우
신통(頭身痛) 한열(寒熱).외감 태음복통(太陰腹痛), 자리불갈 ∙이중탕(理中湯) 상6. - 치(治)
(外感)급 협체(挾滯) (自利不渴). 태음복통(太陰腹痛), 자리불갈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중 ▲ 양극사음(陽極似陰): 양증이 (自利不渴).
16 - 상한음증(傷寒陰症) 외 극성하면 열이 내복하므로 몸이 ∙사역탕(四逆湯) 상8. - 삼음(三
감(外感)풍한 내상생냉(內傷生 차고 사지가 궐역하여 음증과 유 陰), 맥지(脈遲), 신통급(身痛及)
冷), 증한장열(憎寒壯熱), 두동 사하다. 맥침활 유력 사지역냉(四肢逆冷).
신통(頭疼身痛) ∙대시호탕(大柴胡湯) 하9 - 치소 ▲ 자리(自利): 상한양증 대변
∙이음전(理陰煎) 상11 - 치비신 양전(治小陽轉) 속양명(屬陽明) 자리 - 시령탕(柴笭湯) 하14. 상
허(治脾腎虛) 신열(身熱) 변견요적(便堅尿赤) 한 양증, 신열 맥삭, 번갈, 자리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중 섬어(譫語), 조열(潮熱). ▲ 허리(虛利): 상한병 맥허
14 - 상한음증(傷寒陰症) 여신 ∙백호탕(白虎湯) 하7 - 치양명 자 설사
통(與身痛) 불분표리(不分表裏). 경병(治陽明經病), 한다번갈(汗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상19.
∙지황탕(地黃湯) 상40 - 치신수 多煩渴), 맥홍대(脈洪大). ∙백출산(白朮散) 상120. 치(治)
불족(治腎水不足) ▲ 번조(煩燥): 상한병에 하제 토사일구(吐瀉日久) 진고번만
△ 한사와 관련된 각종 질환들도 방약합편의 처방을 활용하면 좋은 효 ▲ 표증(表症): 두신통(頭身痛), 를 쓴 후 심 번 복만(服滿)하면 인음(津枯煩滿引飮) 욕성만경
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사진ⓒshutterstock_Chepko Danil Vital- 발열오한, 항강(項强), 해수(咳嗽), 치시탕(梔豉湯) 하11. (欲成慢驚)
evich.
무한(無汗), 맥부(脈浮). ▲ 번갈(煩渴): 상한병 갈증에 ▲ 괴증: 상한병 오치로 정증이
아침저녁으로 제법 쌀쌀한 바람 향소산(芎芷香蘇散)으로 해표 ∙향소산(香蘇散) 중17 - 사시상 물을 마시기만 하면 토하는 증 파괴되었을 때 - 시호작약탕(柴
이 부는 환절기가 되면서 본격적 (海表)시키고 곽향정기산(藿香 한(四時傷寒) 두신통(頭身痛), 한 세가 있으면 胡芍藥湯) 하15. 대변(大便)불쾌,
인 감기철이 시작됐다. 正氣散)으로 화해(和解)시킨다. 열(寒熱) 상풍(傷風) 상습(傷濕), △ 오령산(五笭散) 하10. 치태양 소변황(小便黃).
특히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는 자 한(寒)으로 인한 내상(內傷)은 시기온역(時期瘟疫). 입리(治太陽入裏) 번갈(煩渴) 소 ▲ 비기(痞氣): 오치로 기가 비
칫하면 가벼운 감기에 노출되기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건 ∙십신탕(十神湯) 중18 - 음양감 변불리(小便不利) 결했을 경우 - 길경지각탕 중134.
쉬운 데다가 한때 COVID-19 확 강(乾薑), 부자(附子)를 가(加) (陰陽感) 풍한두통(風寒頭痛), 한 △ 사령산(四苓散) 하10. 치(治) 치(治) 비기(痞氣) 흉만불리(胸
진자가 감소세를 보였다가 최근 해 쓴다. 열무한(寒熱無汗). 화설(火泄). 滿不利) 번민(煩悶) 욕사(慾死)
엔 다시 늘어나는 현상까지 겹 ▲ 태양경(太陽經)병: 불문사시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중19 ▲ 번열(煩熱): 상한(傷寒)병, ▲ 토회: 회충을 토하는 경우
쳐 많은 이들의 우려하고 있는 유두통(有頭痛), 골절통, 발열, 악 - 치(治) 상한시기발열(傷寒時 유한, 하제를 써도 심번 발열하 ∙안회이중탕(安蛔理中湯) 상70.
것도 사실이다. 한(惡寒), 무한(無汗), 등이 뻣뻣 期發熱), 두통(頭痛), 지체통(肢 며 헛소리 한증 - 진사오령산( 비허충통(脾虛蟲痛)
그렇다면 이렇게 한의학적으로 한 하고 맥(脈) 부긴(浮緊)하다. - 구 體痛), 급(及) 상풍(傷風), 해수비 辰砂五令散) 하10. 치상한(治傷 ∙소시호탕(小柴胡湯) 중25. 왕
사로 인해 발생한다고 정의돼 있 미강활탕(九味羌活湯) 중통11 색성중(咳嗽鼻塞聲重). 寒) 발열(發熱), 섬어(譫語), 산 래한열(往來寒熱)
는 ‘한(寒)’에 대해 『방약합편』 ▲ 양명경(陽明經)병: 눈이 아 ∙향갈탕(香曷湯) 중20 - 음양양감 후허번(産後虛煩). ▲ 결흉(結胸): 흉부 결기 땡긴
에서는 어떻게 바라보고 처방을 프고, 코가 마르고, 불면, 조열, (陰陽兩感), 두통한열(頭痛寒熱). ▲ 동계(動悸): 한기에 크게 상 통증. 오적산 중13.
할까. 이번 호에서는 그 주요 방 헛소리, 장맥(長脈). 목동, 비건, ∙삼소음(蔘蘇飮) 중26 - 치감상 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정신이 ▲ 장부정한(臟腑停寒): 오장
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부득화 - 갈근해기탕(葛根解肌 풍한(治感傷風寒), 두통(頭痛), 발 혼미해져 손으로 허공을 휘젓는 육부에 한기가 정체했을 경우.
湯) 중12. 열(發熱), 해수(咳嗽), 내상칠정 증.- 도씨승양산화탕(陶氏升陽散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 상9.
▲ 한(寒) 관련 기본 처방 한다번갈(汗多煩渴) 맥홍대(脈洪 (內傷七情), 담성조열(痰盛潮熱). 火湯) 중28. 치(治) 촬공(撮空, 허 중한(中寒) 구금(口噤), 신강직
‘한(寒)’은 외인성 내과 질환, 한 大) - 백호탕(白虎湯) 하7. ∙소청용탕(小靑龍湯) 중27 - 치상 공의 무언가를 잡으려고 손을 내 (身强直).
기에 손상되어 발병하는 감기, ▲ 소양경(少陽經)병: 구고인조, 한(治傷寒) 표불해(表不解) 심하 젓는 행위), 간열승폐(肝熱乘肺), ∙사주산(四柱散) 상73. 활설불
열병 등을 의미한다. 눈이 흐리고, 잘 들리지 않고. 흉 유수기(心下有水氣) 건구(乾嘔), 원기허약, 섬어신혼(譫語神昏). 금(滑泄不禁)
중한(中寒)하면 땀이 없고 사지( 협통(胸脇痛), 건구역(乾嘔逆), 기역(氣逆), 발열해천(發熱咳喘) ▲ 발광(發狂): 상한으로 발광 ▲ 노복(勞復): 상한병이 과로
四肢)가 부자연스러워 쓰러지는 한열왕래(寒熱往來). - 소시호 ▲ 리증: 두항강통(頭項强痛), 헛소리하는 증. 로 재발했을 경우 - 맥문동탕
데 총병(蔥餠; 파의 하얀 부분으 탕(小柴胡湯) 중25. 오한(惡寒), 유한오풍(有汗惡風), ∙대승기탕(大承氣湯) 하8. 상한 (麥門冬湯) 중29. 기욕절(氣欲
로 만듦)으로 배꼽을 따뜻하게 해 ▲ 태음경(太陰經)병: 복만, 인 맥부(脈浮). 리증(傷寒裏症) 대열(大熱), 대 絶), 능기사회생(能起死回生).
기해혈(氣海穴)에 뜸을 뜨며 삼 건, 토설, 가끔 복통 - 이중탕 ∙대시호탕(大柴胡湯) 하9 - 치소 실(大實), 대만(大滿) ▲ 식복(食復): 식음 부주의 재
음(三陰)을 빨리 가려보고 하초 (理中湯) 상6. 치(治) 태음복통(太 양전(治小陽轉) 속양명(屬陽明) ∙진사오령산(辰砂五令散) 하10. 발된 증 - 도씨평위산(陶氏平胃
(下焦)를 덥게 한다. 陰腹痛), 자리불갈(自利不渴). 신열(身熱) 변견요적(便堅尿赤) 치(治) 상한(傷寒) 발열(發熱), 광 散) 하29. 치(治) 식적(食積) 류
경락(經絡)을 가리기 어려우면 ▲ 소음경(少陰經)병: 눕기를 섬어(譫語), 조열(潮熱). 증(狂症), 섬어(譫語), 산후허번 상한(類傷寒).
강부탕(薑附湯)을 달여 먹여 중 좋아하고, 구설 건조, 하리청수, ∙대승기탕(大承氣湯) 하8 - 상 (産後虛煩) ▲ 여노복(女勞復): 방사로 재
초(中焦)를 조리(調理)하여 구급 헛소리, 변비, 안면(顔面) 한냉, 한리증(傷寒裏症), 대열(大熱), ▲ 섬어(譫語): 상한으로 인한 발된 병 - 인삼소요산(人蔘逍遙
(救急)한 다음 삼음(三陰)을 살 사지궐냉(四肢厥冷). - 진무탕 대실(大實), 대만(大滿) 헛소리하는 증. 변비, 소변 적색, 散) 중30. 치(治) 여로복(女勞復)
핀다. 중완(中脘)이 아프면 태음 (眞武湯) 상7.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하8 - 손발이 더워짐. 허약자(虛弱者).
(太陰)이니 이중탕(理中湯)을 용 ▲ 삼음경(三陰經)병: 초기에 상한리증. 변견요적(便堅尿赤) 섬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하12. ▲ 잉부상한(孕婦傷寒): 잉부(孕
(用)한다, 는 열, 두통이 없다가 문득 오한 어(譫語), 조열(潮熱). 상한대열 번조, 부득면, 음주급, 婦) 두통, 한열, 해수시
발이 차면 소음(少陰)이니 사역 이 나며, 구부정하게 눕게 되며 ∙소승기탕(小承氣湯) 하8 - 변 일체 열독 ∙궁소산(芎蘇散) 중21. 온병급
탕(四逆湯)에 오수유(吳茱萸)를 상하복부가 함께 아프며 대소 비(便秘), 맥세(脈細). ∙진사(辰砂)익원산 하16. 치 중 시령감모
가(加)해 쓰고 제복부(臍腹部)가 변(大小便) 자리(自痢), 맥침(脈 ∙반표반리: 두통(頭痛) 유한(有 서 토사 하리 지사 제번 ∙자소음(紫蘇飮) 중160. 기결난
아프면 오적산(五積散)에 오수유 沈). - 사역탕 상8. 汗), 미오한(微惡寒), 수족(手足)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하16. 산(氣結難産)
(吳茱萸)를 가(加)해 쓴다. ▲ 음증(陰症) 냉, 명치 뿌듯, 무식욕, 변비, 맥 상한리증. 변견요적(便堅尿赤) 섬 ∙양격산(凉膈散) 하21. 적열번조,
만약 소복부(小腹部)가 아프면 ∙오적산(五積散) 중13 - 초기에 세. 소시호탕(小柴胡湯) - 중25. 어(譫語), 조열(潮熱). 구설생창, 장위조삽, 변요비결.
궐음(厥陰)이니 당귀사역탕(當 는 두통 갈증(渴症)이 없으나 사 ▲ 음극사양(陰極似陽): 음증이 ▲ 혈결(血結): 상한 혈증, 방광, ∙이중탕(理中湯) 상6. 치(治) 태
歸四逆湯)에 오수유(吳茱萸), 오 지궐냉, 몸을 약간 구부리고 신 극성하면 열이 떠올라 양증처럼 하복부에 어혈 급결된 증. 도인승 음복통(太陰腹痛), 자리불갈(自
미자(五味子)를 가(加)해 쓴다. 열(身熱) 오한, 흉복통, 구토하리, 번조, 요란하다.), 맥침세 무력. 기탕(桃仁承氣湯) 하13. 利不渴).
한기(寒氣)로 인한 감기는 궁지 입 거품이 많고, 침을 많이 뱉고, ∙사역탕(四逆湯) 상8 - 삼음(三 ▲ 대양(戴陽): 양기가 상승하여 김용훈 원장(남산당 한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