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냉증은 말 그대로 손발이 찬 증상이다. 환자별로 ‘차다’, ‘시리다’, ‘저리다’ 등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다. 한의학적으로는 사지궐랭, 수족궐랭, 사지역랭, 수랭, 족랭 등으로 표현한다.
▲ 정의: 단독병명이 없기 때문에 ‘기타 말초혈관질환’, ‘궐증’, ‘궐음병증’, ‘비증’, ‘마목불인’, ‘레이노증후군’ 등 다양한 병명을 사용한다. 레이노 증후군(Raynaud’s Syndrome)은 추위에 노출되거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혈관이 과도하게 수축해 처음에는 손이 하얗게 혹은 파랗게 변했다가 이후 다시 혈관이 확장, 붉게 되면서 가려움이 생기거나 통증이 동반되기도 하는 증상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 류마티스 질환, 척추 추간판 탈출증, 말초신경염, 손목터널증후군, 동맥경화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혈관폐색 등으로 인한 경우 감별진단에 유의한다.
▲ 수족냉증의 유병률: 한국내 유병률은 전 인구의 12% 정도다. 수족부의 감각 이상자 52%는 수족냉증이 있고 수족부 감각 이상자의 16%, 추위 민감자의 32%, 수족냉증 환자의 63%는 레이노병이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또한 레이노병은 여성이 남성보다 5배 많고 대체로 20~40대에 나타났다. 미국에서 레이노병 유병률은 여성 11%, 남성 8%이다.
▲수족냉증의 진단: 손이나 발이 차가워 일상생활에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로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발이 차다고 느낄 때, 추위를 느낄 만한 온도에서 주변 사람보다 과도하게 손발이 차다고 느낄 때, 추운 곳에서 따뜻한 곳으로 이동 시 손발이 차가운 증상이 쉽게 회복되지 않는 경우, 손발이 차다는 느낌 이외 시리거나 저린 증상 등이 포함된다.
▲수족냉증 평가법
▷냉부하검사(CST): 냉증 정도와 예후를 평가. 25℃에서 휴식 후 적외선 체열영상 촬영이후 20℃ 물에 손을 1분간 담근 후 즉시 및 6분 후 재촬영해 온도 변화를 비교.
▷적외선체열영상검사(Thermography): 체내 방출된 적외선을 측정해 평가. 측정 전에는 샤워, 핫팩, 흡연, 운동, 침, 카페인을 피한다. 25℃에서 10~15분 휴식 후 해부학적 자세로 서서 촬영하며 특정 혈자리의 온도 차이를 분석.
▷VAS(Visual Analogue Scale): 냉증 정도를 0(무증상)~10(극심 상태)으로 평가. 100mm 직선에 표시해 측정.
▷NRS(Numerical Rating Scale): 냉증을 0~10 숫자로 평가. VAS보다 간편하게 임상에서 사용.
▲삶의 질 평가척도
-SF-36: RAND Corporation이 개발한 삶의 질 평가 도구. 신체 기능, 통증, 건강 상태 등 8개 항목의 36개 문항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도 높다.
-EQ-5D-5L: 건강 상태를 5개 항목(질병, 일상 활동, 통증, 불안 등)으로 평가. 15점을 척도로 사용하며 점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은 높다.
-WHOQOL-BREF: 100개 문항을 26개로 줄인 삶의 질 평가 척도. 환경, 신체 건강, 정신 건강, 사회적 관계 4개 항목으로 구성.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 1~5점 척도의 건강 상태 및 삶의 질 평가 문항이 추가.
▲한의학적 치료방법
▷한약: 냉증의 대표 병인에 따라 비양허, 신양허, 어혈, 혈허, 기허, 수독(담음) 등으로 구별하지만 임상에서는 이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서로 다양하게 조합돼 발현하므로 각 원인에 따른 치법과 처방을 적절히 병용한다. 일반 한의사 대상 설문 결과, 주로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당귀사역탕및 가감방, 보중익기탕, 오적산, 팔미지황환, 이중탕, 십전대보탕, 계지탕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침구치료: 근위 취혈 혈자리는 하지-삼음경에 있는 태계, 부류, 삼음교, 누곡, 지기, 중봉 등을 기본적으로 선혈. 족부 냉기-행간, 태충, 지오회등 족배부의 경혈 취혈. 양기 향상과 간신 기능 조절-지양, 격수, 간수, 신수, 관원 등. 상실하허-백회, 천주, 대추 등 취혈.
-온침: 침을 자입하고 침병에 쑥뜸을 올려서 침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한냉성 질환에 적용. 자침 부위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뜸: 손발 말단에 시행할 수도 있으나 전신적 조절 차원에서 임맥상 관원, 신궐, 중완 등에 시행할 수 있다.
▷사상의학적 치료: 소음인이 신대비소의 장부편차로 인해 몸이 차가우면서 수족냉증이 많이 나타나고 태음인도 많이 나타날 수 있다.
조남욱 기자(한의사)
<저작권자ⓒHani Time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